이 병연(李秉淵)의 문학산 ( 文鶴山)---( 문묘+ 학) 정상 217m)
----------------------
文鶴山 文鶴山
文鶴山 文鶴山
文鶴山 文鶴山
이 병연(李秉淵)
1671(현종12 신해)~1751(영조27 신미) 향년 81세
자 일원(一源), 호 사천(槎川), 본관 한산. 속(涑)의 아들, 한성부윤을 지냈다. 저서 사천시초 (槎川詩抄)
김창흡(金昌翕)의 문인. 음보(蔭補)로 부사(府使)
영조 시대에 으뜸가는 시인
----------------------------------------------------------------------------
하늘가 한 줄기의 외론 뫼에 오르니,
서쪽 바다 푸른 물결 만 길이나 깊구나.
지는 햇볕 반쯤에 구름은 조각조각
바람 세찬 산꼭대기 돌들은 솟아있네.
태평시대 늙은 병사 봉홧불 바라보고.
후미진 땅 사는 백성 나무숲서 제사하네.
가는 말 송죽 그림자 다시금 뚫고 가니
푸른 깃 새 괴성으로 서로를 부르누나.
-------------------------------------------------------------
天邊一道上孤岑。西海滄波萬丈深。
천변일도상고잠。서해창파만장심
落照半腰雲片片。烈風高頂石森森。
낙조반요운편편。열풍고정석삼삼。
時平老卒看烽燧。地僻居人祭樹林。
시평노졸간봉수。지벽거인제수림
歸馬更穿松竹影。怪聲相喚綠毛禽。
귀마경천송죽영。괴성상환녹모금。
----------------------------------------------------------------------------------
【 백촌 이해 노트】
---------------------------------------------------------------------------------
☎ 부천 시민이 된 지 이제 4 개월 . 아직도 낯설기만 한 것이 참 많다. 요즘 문학 산에 대한 뉴스가 화제이기에 文學山 이라고 생각하고 고전 번역원 문집을 검색해 보니 그런 산은 없었다. 文鶴山 이란 시 한 편뿐이었다. 여러 자료를 조사하고 검색해 보니 문학산을 제목으로 한 시는 이 시 뿐이었다. 문학산과 관련이 되는 시는 여러 편이 보였다. 한 편뿐이라는 호기심에 국역을 하고 한양대학교 정민 교수님께 보내드렸더니 매끄러워 보탤 것이 없다고 하시면서 마지막 구절 두 구 만을 수정해 주셨다. 국역을 한 뿌듯한 보람이었다. 오늘 마침 시간이 허락되어 일흔 일곱 살의 나이로
仙鶴驛에서 내리어 한 시간 반 만에 문학 산성 정상에 도착하여 윗 시를 읊고 내려왔다. 뿌연 먼지들이 잔뜩 하늘을 덮어 멀리 바다의 정경은 볼 수가 없었으나, <문학산 정상 50 년 만의 개방>을 축하한 사진 전시 작품들을 통해 새로운 역사적 지식과 문학산에 관련이 되는 몇 편의 시문을 감상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문학산 산행을 혼자서도 낯설지 않게 좋은 안내와 사진과 글을 써 주신 두 분의 블로거 님에게 고마움을 전해 드린다.
http://blog.daum.net/720306/142
http://blog.daum.net/jeitikim/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