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동 가문 시 모음/갈역잡영(葛驛雜詠)

김창흡의 葛驛雜詠 戊戌<1718년> 무술 1-2

백촌거사 2012. 2. 12. 20:22

 

                                葛驛雜詠의 작품 수효----------

                    葛驛 은 지금의 강원도 인제군(麟蹄郡) 용대리(龍垈里) 지역을 말합니다.

                                                                                 김 창흡(金昌翕)

                                                                            1653년(효종 4) - 1722년(경종 2)

                                                                           자 子益 호 洛誦子, 三淵

                                                                            시호 文康

 

三淵集卷之十四-1717년 <丁酉 숙종 43년 65세> 176수

三淵集卷之十五-1718년 <戊戌 숙종 44년 66세> 173수

又賦 7 수

三淵集拾遺卷之十一-1718년 <戊戌 숙종 44년 66세> 17수

又賦 19 수

한시의 형식 5 언 율시 7 수 7 언 절구 193수 5 언 절구 192수

----------------------------------------------------------------------

                                                               葛驛雜詠 392수

-----------------------------------------------------------------------

 

----------------------------------------------------------------------

            三淵集卷之十五-1718년 <戊戌 숙종 44년 66세>

-------------------------------------------------------------------------------

1

籬前何所見。 울타리 밖 어찌하다 바라다보니

大小麥黃黃。 크고 작은 밀보리 누렇게 익네.

那分人我飽。 남과 내가 넉넉하게 어찌 나눌까

生意覺舒長。 생의를 깨달으며 깊이 펴 보네.

이전하소견。대소맥황황。

나분인아포。생의각서장。

중심 내용: 밀보리 응시 --- 생의 자각--- 삶의 넉넉함. 여유.

---------------------------------------------------------------------------------------------------------------------------------

 

何所見 어디, …바가 무엇인가 바라보니

무엇을 보고 보이는 것 그 무엇인가. 무엇이 보이던고

볼만한 게 무엇인고 무엇이 보이는가 무엇을 보았는가의 다양한 해석들

필자도 그냥 미완성으로 놓아 두겠습니다. 좀더 연구해 보렵니다.

黃黃 보리가 누렇게 익은 모습 人我 남과 나 곧 우리들

生意 하늘과 땅이 만물을 낳아 기르는 기상. 생기

주염계(周濂溪)가 창 앞의 풀이 무성해도 베지 않으면서[窓前草不除去], 저 풀 역시 내 속의 생각과 같을 것이다[與自家意思一般]라고 말한 일화

《宋元學案 卷12 濂溪學案下 附錄》

-----------------------------------------------------------

黃黃 昨日黃黃草木枯 <茅洲集> 其白白鋪綿。其黃黃染槐<楓皐集>

黃黃陵上草 黃黃白咽牛。 君馬黃黃若雲 <三淵集>

---------------------------------------------------------------------

生意 百物皆生意。三春獨抱痾<水北遺稿>

一般生意終誰禦<苟全先生文集>

----------------------------------------------------------------------

 

2

日夕看雲起。 아침저녁 이는 구름 바라보려고

多從永矢菴구름 따라 영시암에 종종 나가네.

遐心與之泛。 은거하려 하는 마음 함께 일지만

往往挂松楠이따금 松楠나무 마음을 잡네.

일석간운기。다종영시암。

하심여지범。왕왕괘송남。

중심 내용: 永矢菴에 은거하려는 마음. 소재 구름. 송남 나무

永矢 영구히 맹세하다 구름이 유혹하지만 마음은 송남나무에 얽힘.

-----------------------------------------------------------

日夕 아침저녁/밤낮,/ 주야,/ 황혼/밤늦도록/ 밤이나 낮이나

밤낮으로 안연을 외는구나 / 日夕誦顔淵《孟子 滕文公上》

雲起 구름이 일어남.

높음의 비유. 많음의 비유. 구름같이 덩이져 보이는 것의 비유. 훌륭함의 비유. 멀다. 멀리 떨어진 구름에 비유. 무상함. 소멸감. 허무감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浮雲自體本無實 生死去來亦如 < 서산대사 게송>

살아감은 한조각의 뜬구름 일어남이고 죽음도 한 조각의 뜬구름이 사라짐이니

뜬구름 자체는 원래부터 실체 없음이라. 살고 죽고 오고 감은 또한 이와 같다네.

----------------------------------------------------------------

 

多從 여러 번을 쫓아감.

永矢菴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 2리 소재. 삼연(三淵) 선생(先生)이 은둔(隱遯)하시던 곳 백담사의 부속 암자1468년 건립. 백담사에서 동북쪽으로 계곡을 따라 4km 오르는 지점에 있음. 三淵 金先生 永矢菴 遺墟之碑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짐. 遺墟之碑文은 남아 있음.

遐心 속세를 멀리 떠나 은거하고 싶어 하는 마음. 남조(南朝) 제(齊)나라 고제(高帝)의 〈새객음(塞客吟)〉에 “조롱이 혹 속박이 됨을 깨닫고, 서글피 하심을 가지고 먼 곳에 깃들어 산다.〔悟樊籠之或累 悵遐心以棲遠〕” 하였다.- 번역원자료인용.

往往 부사. 왕왕, 늘, 항상 시간적으로 사이를 두고. 가끔 이따금.

松楠 소나무와 녹나무

=====================================================---------------------------

 

 

 

                                         작년 가을 삼연 조상님 산소 참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