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 유고 초고본/황산 유고

김 유근(金逌根) 의 日觀石 일관석해맞이 바위

백촌거사 2019. 1. 13. 14:30

 

 

 

                                                 < 그 언제쯤 일관석 각자를 볼  수가 있을까.>

 

 

 

 

 

 

 

          옥호정도에서

          정재훈 교수님의 허락을 받고 필자가 사진 촬영한 일관석

-------------------------------------------------------------------------------------------

삼청동 <옥호정> 안의 ----------------------------------

    日觀石 일관석

           해맞이 바위

김 유근(金逌根)

1785(정조 9)∼1840(헌종 6).

자는 경선(景先), 호는 황산(黃山).

1809년 初仕 부직(付職) 1810년 홍문록(弘文錄) 회권(會圈) 1812년 사서(司書)

도당록(都堂錄)의정부 검상(議政府檢詳) 1817년 이조 참의 1819년 아경(亞卿) 성균관 대사성 비변사 제조 호군 홍문관 부제학 1820년 영돈녕 김조순(金祖淳), 행 호군 김유근(金逌根), 재령 군수(載寧郡守) 김원근(金元根) 좌부빈객 1821년 홍문관 부제학 1822년 이조 참판 1823 년 성균관 대사성 1825년 사헌부 대사헌 홍문관 제학 1826년 선혜청 제조(宣惠廳提調) 차임(差任) 정경(正卿) 발탁

한성부 판윤 예조 판서 1827년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 평안도 관찰사 평안 감사 공조 판서 병조 판서 예문관 제학 우부빈객 좌부빈객 옥보 전문 서사관 1828년 제조 김유근(金逌根)에게 숭정(崇政)을 가자(加資) 판의금부사 이조 판서 홍문관 제학 1830년 우빈객 한성부 판윤 1831년 원접사(遠接使)로 차정 예조 판서 공조 판서 병조 판서 제조 1832 년 어영대장 공조 판서 1834년 좌부빈객 공조 판서·홍문관 제학 선혜청 제조 어영 대장 빈전 도감 1835 년 관반(館伴)으로 차출 판부사(判府事) 대제학의 회권(會圈) 예조 판서 훈련 대장 제조(提調) 1836 년 문형 회권(文衡會圈)

1837년 판돈녕(判敦寧)공조 판서(工曹判書) 예조 판서(禮曹判書)

헌종 6년 12월 17일 계유 1840년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유근(金逌根) 졸서(卒逝) <조선왕조실록 발췌인용>

 

     국역: 청음 문정공파 후손 흰마을--------------------------------------------------

                해맞이 맞는 바위 우뚝 솟아서

                   북악산 꼭대기에 홀로 섰구나.

                  비바람 불어와도 아니 닳으니

                   어울러 하늘땅에 길이 전하리.

 

===============================================================================

卓然日觀石 일관석

獨立山之 독립산지

風雨不磨泐 풍우불마륵

可幷天壤가병천양

----------------------

✶ 평수운 파악

 

三覺入聲

一先平聲

四質入聲

十四寒平聲

十一陌入聲

 

一屋入聲

十四緝入聲

十五删平聲

四支平聲

一先平聲

 

一東平聲

七麌上聲

十一尤平聲

入声五物

五歌平聲

十三職入聲

 

二十哿上聲

八庚平聲

一先平聲

二十二養上聲 

一先平聲

 

 

 

 

 

 

▶평기식 오언절구 平聲一先운 顚傳

-----------------------------------------------------------------------------

 

▶ 제 블로그에 들어오신 어떤 분이 앞으로도 <日觀石 각자 한 것을 보기가 어렵다>

는 말씀을 듣고 다시 한 번 조상님 그리워 필자의 옛 풀이가 마음에 들지 않기도 해서

 새로운 해석을 실어 보았다.

 

인터넷에 소개 <추읍산 블로그>

http://blog.daum.net/0113508344/4719707

 

우뚝한 일관석이

산꼭대기에 홀로 서 있네.

비바람에 깍이지 않으니 < 깎이다 로 표현해야함. 책에는 바로 표기됨>

천지와 함께 영원하리라.

<안동김씨 문정공파 기증유물 양평 친환경농업박물관396쪽>

 

책이 발간되기 전의 필자 해석----------------------------------------------

http://blog.daum.net/baikchon001/10475885

 

卓然日觀石 우뚝 솟은 하나의 ‘일관석’ 바위 (탁연일관석)

獨立山之顚 홀로 산꼭대기에 높이 섰네. (독립산지전)

風雨不磨泐 비바람 세월에도 깎이지 않았으며 (풍우불마륵)

可幷天壤傳 함께 어우르며 하늘땅에 알리도다. (가병천양전)

---------------------------------------------------------------------------------

 

                                                       <황산 유고 에 실린 일관석의 작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