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풍류/여름

안 승채( 安 承采) <夏日 >하일-------- 순흥안씨 문인

백촌거사 2019. 8. 11. 15:23

-----------------------------------------------------------------


어휴  더워!

-------------------------------- ---------------------------------------------------------------------------------------


                     夏日 하일

                     더운 여름날

안 승채( 安 承采)<1855 - 1914 >

자:회경(繪卿) 호: 동계(東溪)/지산(芝山)

본관: <順興> 문집: 동계유고

 

                 무더위가 대지를 한껏 태워도

                 상쾌함 수풀가에 머물러 있네.

                 아득한 태초 세상 문득 그리워

                  알몸에 둥지 틀고 살던 그 시절.

                      焦大地 爽氣在林

                       초대지 상기재림

                       却想邃初世 赤身居

                        각상수초세 적신거증소

                              ‣ 평기식 오언 절구 三肴平聲 稍巢

                     稍: 上声十八巧· 去声十九效으로도 사용

     ----------------------------------------------------------------------------------------------------------------------------

 

------------------------------------------------------------------------------------------------------------------------

《시어 이해》

炎: 몹시 심한 더위 酷暑,폭서, 폭염, 염천(炎天),

찜통더위, 가마솥더위, 불볕더위

• 三更値酷炎

• 近久阻音。不審酷炎令起居調候佳安否

• 何能鏖却酷炎?<실록 에서광해 14년 6월 19일 1622년>

爽氣: 상쾌한 기분 시원하다. 상쾌하다(爽快).

유쾌하고 쾌할하게 탁 트인 자연의 경치. 떳떳한 기개,

푸르름 산에 이어져서 아침 기운 상쾌하고 / 朝朝爽氣連山翠

‧ 마침 산신령이 시원한 바람 불어서 / 會値山靈噓爽氣

: 수풀 끝. 숲의 가지

坐看林稍靜無風 ‧ 橙林稍入縣城來

 

却想:한편 생각건대, 아마도, 도리어 생각노니

생각건대 피금각 정자에 올라서면 / 却想披襟處

도리어 늦가을 풍광이 생각나네 / 却想風煙接素秋

 

邃初아득한 옛날. 먼 옛날. 어떤 일의 처음

은거하겠다는 처음의 뜻을 이루는 것

‧ 골짝 깊어 처음 길을 헤매다가 / 洞邃初迷路

‧ 마음은 태초(太初)에 노니니 / 心游邃初

‧ 집안의 의관엔 수초가 담박하네 / 屋裏衣冠澹邃初

‧ 長夏抽籤究邃初송시열

赤身: 벌거벗은 몸. 알몸. 나체. 맨 몸 .아무것도 없음

• 중국어 사전에서는 光着身体, 形容身無錢財라고 표현함.

‧ 맨몸으로 부딪쳐선 궁지에 쉽게 몰리리 / 赤身衝突技易窮

‧ 알몸으로 우물에 드니 맑은 물 출렁이어라 / 赤身下井搖淸漣

 

소: 새둥지

증(橧)은 섶〔薪〕을 쌓아 놓고 그 위에서 자는 것을 말한다. 상고 시대 백성들은 집이 없어서 여름이면 섶(신시(薪柴))을 모아 놓고 그 위에서 살았는데, 마치 조소(鳥巢)와 같았다.

그리고 상고 시대에는 화식(火食)하지 못하고 나무 열매와 고기의 피를 마셨다. 《禮記 禮運》 《예기(禮記)》 예운(禮運)에 “옛날 선왕이 집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 때에는, 겨울엔 동굴에서 살고 여름엔 나뭇가지를 모아 만든 보금자리 위에 누워서 지냈다.[冬則居營窟 夏則居橧巢]”라는 말이 있다

증굴(橧窟) : 태고 시대 사람들이 거주했다는

새둥지처럼 생긴 허름한 집

중국어사전인용:

聚柴薪造的巢形住处。《礼记·礼运》:“昔者先王未有宫室,冬则居营窟,夏则居橧巢。” 郑玄 注:“寒则累土,暑则聚薪柴居其上。”

나무 위와 굴속 생활 청산함이여 / 去橧巢與穴窟兮

‧ 백성은 증소를 떠나 집으로 들어가고 / 民去橧巢就環堵

✴ 諱 김신겸(金信謙, 1693~1738): 증소공(橧巢公)

--------------------------------------------------------------

     순흥(順興) 안 씨(安 氏)의 문인들

안 교익(安敎翼)

1824년(순조 24) -1896년(고종 33) 자 경여(敬汝) 호 혼재(渾齋)

문집 혼재집(渾齋集)

안덕린(安德麟) 1563년(명종 18)-1609년(광해군 1)

자 인서(仁瑞) 호 사촌(沙村) 문집 사촌집(沙村集)

 

안석경(安錫儆) 1718(숙종 44)- 1774(영조 50)

자 叔華 호 霅橋, 完陽, 卓異山人.문집 삽교집(霅橋集)

삼연의 문인

안중관(安重觀) 1683년(숙종 9)- 1752년(영조 28)

자 국빈(國賓), 호 회와(悔窩) .가주(可洲) 문집 회와집(悔窩集)

안축(安軸) 1282년(충렬왕 8)-1348년(충목왕 4)

1287~1348으로 기록된 곳도 있다.

자 당지(當之). 호 근재(謹齋) 시호 文貞

경기체가 <관동별곡>과 <죽계별곡>, 문집 근재집(謹齋集)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