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 숨결/부사공파종중

돌누께 마을 ---------부사공파 상관 후손 묘자리

백촌거사 2012. 9. 20. 15:39

             府使公派 尙寬 조상님의 후손 묘 자리

            남양주 돌누께 마을 뒷산

 

 

 

 

                                                          문정공파 彰顯 정리

 

 

생 몰

 

비고 /묘의 위치

1

尙寬

1566(명종병인 21)1.91621(광해군 신유13)5.12

금시재

부사공파의 시조

蔭長湍府使

楊州 東金村 艮坐 合窆

艮坐 동북쪽을 등진 방향이나 자리

南氏1564(명종19갑자)-1600(선조33경자) 10.19

宜寧

2

昌說

1669(현종10기유) 6.14 1732(영조8임자)11.2

仲習

安岳 郡守

장단공조 左麓 艮坐 合窆

吳氏- 생몰 미상

海州

3

元謙

1693(숙종19계유) 4.301748(영조24 무진)8.23

善伯

安岳公兆下 艮坐 三合窆

尹氏 1694(숙종20갑술)- 1718(숙종44무술) 3.7

海平

申氏 1701(숙종27신사)- 1770(영조46경인) 10.22

平山

4

貞謙

1709(숙종35 기축) 8.3- 1767(영조43정해) 4 .12

直甫

長湍公兆後麓 辛坐 合窆

신방(辛方)을 등지고 을방(乙方)을 향하고 있는 자리

신방(辛方) - 북북서(北北西)

을방(乙方) -정동(正東)에서 쪽으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각도

朴氏 1707(숙종33정해)-1767(영조43 정해) 4 15

潘南

5

述行

 

1739(영조 15기미)5.19- 1817(순조17정축)11.24 1757영조33정축

繼曾

長湍公兆 右麓 酉坐 合窆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이다

尹氏 1738(영조14무오)- 1768(영조44무자) 8.17

咸安

6

履溥

 

1751(영조27신미)12.15- 1816(순조16병자) 2.28

君傳

생부 重行

 

先兆 下亥坐 合窆

亥坐 북북서쪽을 등지고 있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先兆先塋을 말한다.

李氏 1752(영조28임신)1829(순조29기축) 3.19

全州

7

壽興

1626(인조병인 4)10.26- 1690(숙종경오 16) 7.24

起之 退憂堂, 止堂 시호 文翼

長湍公兆左 第三麓 壬坐 合窆 壬坐 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貞敬夫人 尹氏 1626 (인조병인 4)-(1646병술인조24)

1706 숙종32병술) 9.6

南原

8

亨謙

1694(숙종20 갑술)10.25- 1770(영조46경인) 7.8

泰仲

退憂公兆後東麓 庚坐 합폄 남서쪽을 등진 자리

宋氏 1695(숙종 21을해)-1732(영조8 임자) 7.28

恩津

9

利謙

1700(숙종26 경진) 1.7-1755(영조31을해) 11.12

 

成敍

退憂公兆 左麓 酉坐 合窆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

林氏 1702(숙종28임오)-1748(영조24 무진) 5.24

豐川

10

觀淳

1767(영조43 정해) 1840(헌종6년경자) 6.30

王汝

公州鳴灘面鳳起洞 壬坐

壬坐 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退憂公兆右麓亥坐

亥坐 북북서쪽을 등지고 있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退憂公兆 下 子坐

子坐 정북쪽을 등지고 앉은 자리, 곧 정남향으로 앉은 자리

趙氏 1765(영조41을유)- 1792(정조16임자) 6.6 1852 철종 3

咸安

후배 朴氏 1777(정조1정유)-1825(순조25을유)2.26

高靈

11

進行

1725(영조1을사)9.30-1782 (정조6임인) 5.5

聖修

退憂公兆後東麓 酉坐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

張水 黃氏 1723(경종3계묘)-1761(영조36신사) 8.17

退憂公兆右麓 艮坐

艮坐 동북쪽을 등진 방향이나 자리

후배 晉州 姜氏 1740(영조16경신)- 1789(정조13기유) 9 7

庚坐 乾位 雙墳

 

黃氏 1723(경종3계묘)-1761(영조36신사) 8.17

張水

 

후배姜氏 1740(영조16경신)- 1789(정조13기유) 9 7

晉州

12

履銓

1770(영조46 경인)8.5-1853 (철종4 계축) 4 26

士衡

先兆 下辛坐 先塋

先兆 先塋 辛坐 신방(辛方)을 등지고 을방(乙方)을 향하고 있는 자

신방(辛方) - 북북서(北北西)

을방(乙方) -정동(正東)에서 남쪽으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각도

靑松 沈氏 1769(영조45기축)- 1845(헌종11을사) 8.14

退憂公兆 左第三麓戌坐

沈氏 1769(영조45기축)- 1845(헌종11을사) 8.14

靑松

13

履佑

1762(영조 38임오)5.24-1818(순조18무인) 11.23 향년 57

仲綬

玄岩

문집 遺稿

 

金村退憂公兆後西麓 艮坐 合窆

艮坐 동북쪽을 등진 방향이나 자리

申氏 1764(영조40 갑신)- 1821(순조 21신사 )8.26 58

平山

14

陽根

1809(순조 9기사)-1829 1889(고종26기축) 3.28

道一

德川公兆右壬坐 德川公은 조부 履祐를 말함

壬坐 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돌누께 마을 바로 뒷산 숲에 비석만이 서 있다. 봉분의 흔적이 보인다.

李氏 1807(순조7정묘)-1832(순조32임진) 7.2 1892

韓山

15

炳瓘

1823(순조23계미)-1858(철종9무오)2.29

衡仲

德川公兆右酉坐 合窆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이다

돌누께 마을 뒷산 배수로 바로 옆에 큰 봉분만이 보인다. 이 산소는 혹시 炳瓘의 아드님 산소가 아닐까 셍각함.

申氏 1820(순조20경진)-1873(고종10계유)9.18

平山

 

 

 

 

 

 

 

金尙寬

1566(명종병인 21)1.91621(광해군 신유13)5.12 蔭長湍府使

자는 중율(仲栗)이고, 호는 금시재(今是齋) 증 좌찬성

부인 증정경부인 宜寧南氏 1564(명종19갑자) -1600(선조33경자) 10.19

楊州 東金村 艮坐 合窆

艮坐 동북쪽을 등진 방향이나 자리

 

부사공 주위의 묘소

18

퇴우당 1

仲習 1669(현종10기유) 6.14 1732(영조8임자)11.2 安岳 郡守

부인 해주오씨- 생몰 미상

吳斗寅 자 원징( 元徵 ) 호 양곡( 陽谷 ) 시호 충정( 忠貞 ) 1624(인조 2) - 1689(숙종 15)

장단공조 左麓 艮坐 合窆

 

19元謙

중습의 장자

善伯 1693(숙종19계유) 4.30 1748(영조24 무진)8.23 敦寧判官

海平尹氏 1694(숙종20갑술)- 1718(숙종44무술) 3.7

후배 平山申氏 1701(숙종27신사)- 1770(영조46경인) 10.22

安岳公兆下 艮坐 三合窆

19貞謙

중습의 4

直甫 1709(숙종35 기축) 8.3- 1767(영조43정해) 4 .12 蔭 漢城 庶尹

潘南朴氏 1707(숙종33정해)-1767(영조43 정해) 4 15

長湍公兆後麓 辛坐 合窆

신방(辛方)을 등지고 을방(乙方)을 향하고 있는 자리

신방(辛方) - 북북서(北北西)

을방(乙方) -정동(正東)에서 남쪽으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각도

 

20 述行

 

이겸의 자

 

 

 

 

21履溥

昌說-利謙3

述行-履溥-弼淳-碩根- 炳性-應圭-敎鎭단기 4246 /1913

 

繼曾

1739(영조 15기미)5.19- 1817(순조17정축)11.24 1757영조33정축

咸安 尹氏 1738(영조14무오)- 1768(영조44무자) 8.17

長湍公兆 右麓 酉坐 合窆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이다

 

昌說-利謙-履溥

 

생부 重行

君傳 1751(영조27신미)12.15- 1816(순조16병자) 2.28

全州 李氏 1752(영조28임신)1829(순조29기축) 3.19

先兆 下亥坐 合窆

亥坐 북북서쪽을 등지고 있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先兆先塋을 말한다.

 

 

 

 

 

 

 

 

 

   장단부사 상관의 산소

--------------------------------------------------------

 

 

金壽興 1626(인조병인 4)10.26- 1690(숙종경오 16) 7.24

起之 退憂堂, 止堂 시호 文翼

부인 貞敬夫人 南原尹氏 1626 (인조병인 4)-(1646병술인조24)

1706 숙종32병술) 9.6

생부 光爀 文正公派

長湍公兆左 第三麓 壬坐 合窆 壬坐 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퇴우공 주위의 묘소

 

19亨謙

仲習2

泰仲 1694(숙종20 갑술)10.25- 1770(영조46경인) 7.8

恩津 宋氏 1695(숙종 21을해)-1732(영조8 임자) 7.28

退憂公兆後東麓 庚坐 합폄 남서쪽을 등진 자리

19利謙

仲習3

成敍 1700(숙종26 경진) 1.7-1755(영조31을해) 11.12

豐川林氏 1702(숙종28임오)-1748(영조24 무진) 5.24

退憂公兆 左麓 酉坐 合窆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

 

 

 

22觀淳

 

尙寬-光爀-壽興-昌說-元謙1- 重行-履毅

恒根-炳殷-鳳圭-渭鎭-耆漢-翼東 <47 丁亥>

족보상으로는 부사공파의 종가댁.

王汝

1767(영조43 정해) 1840(헌종6년경자) 6.30

公州鳴灘面鳳起洞 壬坐

壬坐 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咸安 趙氏 1765(영조41을유)- 1792(정조16임자) 6.6 1852 철종 3

退憂公兆右麓亥坐

亥坐 북북서쪽을 등지고 있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후배 高靈 朴氏 1777(정조1정유)-1825(순조25을유)2.26

退憂公兆 下 子坐

子坐 정북쪽을 등지고 앉은 자리, 곧 정남향으로 앉은 자리

두 부인만이 퇴우공 근처에 있음.

 

20進行

 

 

 

 

仲父 亨謙으로 양자 가심. 생부 元謙

元謙 3 1< 重行 進行 迪行 李 垣>1859

昌說- 亨謙- 進行-履銓-度淳-勉根-炳茂

< 철종 기미1859 생부 鳳根 문충공>

聖修 1725(영조1을사)9.30-1782 (정조6임인) 5.5

退憂公兆後東麓 酉坐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

張水 黃氏 1723(경종3계묘)-1761(영조36신사) 8.17

退憂公兆右麓 艮坐

艮坐 동북쪽을 등진 방향이나 자리

후배 晉州 姜氏 1740(영조16경신)- 1789(정조13기유) 9 7

庚坐 乾位 雙墳

 

 

 

21履銓

 

昌說-亨謙-進行

 

士衡 1770(영조46 경인)8.5-1853 (철종4 계축) 4 26

先兆 下辛坐 先塋

先兆 先塋 辛坐 신방(辛方)을 등지고 을방(乙方)을 향하고 있는 자

신방(辛方) - 북북서(北北西)

을방(乙方) -정동(正東)에서 남쪽으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각도

靑松 沈氏 1769(영조45기축)- 1845(헌종11을사) 8.14

退憂公兆 左第三麓戌坐

 

 

 

 

 

 

 

 

 퇴우당의 산소

-----------------------------------------------------

 

 

 

長湍公退憂公 사이의 묘.

묘의 형체는 불확실해 잘 보이지 않고 풀숲에 입석의 비석만이 서 있었다.

履祐의 산소 형체는 돌누께 마을 앞 산속 가운데에 있고,炳瓘의 산소 형체는 바로 마을 뒤쪽에 있다.

두 비석 모두가 崇禎 紀元後 5 癸巳<1893> 8 . 出系 叅判 德圭 으로 되어 있다.

 

 

21履祐

 

尙寬-光爀-壽興-昌說-貞謙4-在行

履祐-彛淳-陽根-炳瓘-德圭<德均1<出爲族叔三后 文忠公派>

仁均2-文鎭 -九漢 -益東 ( 庚申 1980)

생부 宅行 文忠公派

자 중수(仲綏) 호 현암( 玄岩 )문집 遺稿

1762(영조 38임오)5.24-1818(순조18무인) 11.23 향년 57

1795(정조19을묘)進士. 德川郡守

平山 申氏 1764(영조40 갑신)- 1821(순조 21신사 )8.26 58

金村退憂公兆後西麓 艮坐 合窆

艮坐 동북쪽을 등진 방향이나 자리

 

23陽根

 

道一 1809(순조 9기사)-1829 1889(고종26기축) 3.28

漢山李氏 1807(순조7정묘)-1832(순조32임진) 7.2 1892

德川公兆右壬坐 德川公은 조부 履祐를 말함

壬坐 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

 

24炳瓘

 

생부 在根 休庵公派

衡仲 1823(순조23계미)- 1858(철종9무오)2.29

平山 申氏 1820(순조20경진)-1873(고종10계유)9.18

德川公兆右酉坐 合窆

酉坐 서쪽을 등지고 동쪽을 향하여 앉은 자리이다

돌누께 마을 바로 뒷산 숲에 비석만이 서 있다. 봉분의 흔적이 보인다.

돌누께 마을 뒷산 배수로 바로 옆에는 비석은 없고, 큰 봉분만이 보인다.

혹시 炳瓘 선조님의 후손 봉분은 아닌지.

 

 

德圭< 舊譜 德均 出爲 族叔 炳三 后 文忠公派

仁均- 文鎭- <생부 寧均> -九漢 -益東< 庚申 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