履祐 선조님의 墓碑
履祐 선조님 족보기록
諱 履祐<이우> 족보기록 判官公 係權派 庶尹公 璠派 府使公 尙寬派 尙寬-光爀-壽興-貞謙4- 在行- 履祐-彛淳- 陽根- 炳瓘-德圭1 仁均2- 文鎭- 九漢- 益東 생부 宅行 見 文忠公派 字 仲綏 號 玄岩 有 遺稿 1762(英祖38壬午) 閏5月24日-1818(순조18무인) 11.23일 향년 57세 1795(정조19乙卯) 進士 德川郡守 配 平山 申氏 1764 (영조40 갑신)-1821(순조21 신사) 8.26 향년 58세 부 武判書 大顯 조 贈 判書 㫬 증조 校理 贈 叅判 靖夏 외조 武摠官 趙鎭泰 本 平壤 묘 金村 退憂公兆 後西麓 艮坐 合窆 ------------------------------------------------ 족보에는 11 월 23 일이 묘비에는 12 월 23 일로 기록이 되어 상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20世 宅行 2------------文忠公派 19時謙 -18盛完2 -17壽昌- 16光炯-15尙容 字 立之 1717(숙종43 정유) 1 월 8일- 1772(영조48 임진) 11월 23일 56세 묘 大寺洞 造山 下 巳坐 배 恩津 宋氏 1713(숙종39 계사)- 1759(영조35기묘) 1월 20일 향년 47세 부 同樞 必隆 조 相億 증조 監察 奎煜 외조 朴瑒 本 務安 묘 大寺洞 內雨山 甲坐 후배 順興 安氏 1716(숙종42 병신)- 1743(영조19계해) 3 월 20 일 향년 28 세 부 進士 相經 조 邦稷 증조 承旨 宗喜 외조 叅奉 李斗恒 本 公州 묘 大寺洞 外雨山乾坐 삼배 咸悅 南宮氏 1728(영조4무신)- 1801(순조1신유) 1 월17 일 향년 74세 부 墀 조 護軍 燾 증조 僉樞 哲 외조 同樞 申植 本 高靈 묘 全義 東面姑蘇峙艮坐 자녀 3 남 2 녀 履祐 出爲族叔 在行 后見 -------------------------------------------------------
|
묘비의 앞면
履祐 墓碑 內容
前面 通訓大夫行 德川郡守 安東 金 公履祐 之墓 配 淑人 平山 申氏 祔左 26 자 ------------------------------------- <이해노트> 通訓大夫行 조선 시대, 정삼품 당하관의 문관 품계 행(行)은 계고직비(階高職卑), 품계는 높고 벼슬은 낮음 . 德川郡 평안남도 덕천시의 조선시대 이름 본래 요원군(遼原郡)이었는데 후에 장덕진으로 개칭했고, 고려시대에는 덕주(德州)방어사라 칭했으나, 원나라에 점령되어 동녕로총관부(東寧路總管府)에 예속되었다. 그 후에 성천(成川)에 속하게 했다가 덕주(德州)가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천현이 되었다가 이듬해 맹산을 병합하여 덕맹현이 되었다. 1415년에 양현을 분리하고 덕천현을 군으로 승격시켜 조선 시대에 사용됨. 淑人 외명부에서문무관 정3품·종3품 당하관의 처에게 주는 작호 祔左 남편과 아내를 합장(合葬)할 때, 아내를 남편의 왼편에 묻음 ----------------------------------------------------------
|
-----------------------------
묘비의 후면
後面 公 諱 履祐 字 仲綏 號 玄巖 安東人 退憂堂 文翼公 諱 壽興之玄孫 考諱 在行 妣 豐山洪氏生 考諱 宅行 仙源 文忠公 諱 尙容之 六世孫 英祖 壬午 閏五月二十四日生 乙卯 進士 蔭 德川郡守 取本生侄 諱 彛淳 爲嗣女適 韓山 李定在 牧師 次恩津 宋一休 縣監 純祖 戊寅 十二月二十三日 卒 有 遺稿 葬于 金村 退憂公兆 後西麓 艮坐 之原 配 淑人 平山 申氏 武判書 大顯之女 甲申生 辛巳 八月二十六日卒 合窆 崇禎 紀元後五 癸巳 八月 日 出係 玄孫 叅判 德圭立 <한자읽기> 공휘이우자중수 호 현암안동인 퇴우당문익공휘수흥지 현손고휘재행 비풍산홍씨 생고휘택행 선원 문충공휘상용지륙세손 영조임오윤오월이십사일생 을묘진사음덕천군수취본생질휘이순위사여적한산이정재목사 차은진 송일휴 현감 순조 무인십이월이십삼일 졸 유유고장우금촌퇴우공조후서록간좌지원 배숙인평산신씨 무판서 대현지녀 갑신생신사팔월이십륙일졸 합폄 숭정 기원후오 계사 팔월 일 출계 현손 참판 덕규 립 -------------------------------------------------------------------- <이해노트> 1.府使公 尙寬派의 후손이시다. 尙寬-光爀-壽興-貞謙4- 在行- 履祐-彛淳- 陽根- 炳瓘-德圭1 仁均2- 文鎭- 九漢- 益東 2. 이 묘비의 건립 연대 1893 년 고종 30 년. 건립한 이 후손 德圭 3, 묘비의 내용 이름 자 아호, 관향, 벼슬. 생몰과정. 부인. 선조 계통. 생부. 양부 묘지 위치.등을 기록. 4. 건립을 한지 119 년이 지났으나 아직은 글자를 읽을 수 있었다. 남양주시 돌누께 마을 야트막한 뒷산 나무숲에 외로이 서 있다. 어느 곳이 봉분의 자리인지는 확실히 알 수가 없었다. 묘비는 서북쪽 방향으로 서 있는데 봉분의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봉분은 동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 같은데 그 곳이 봉분인지 아니면 오랜 세월 나뭇잎이 쌓여 봉분처럼 솟아난 것인지는 필자가 확실히 판단을 할 수가 없었다. 묘비의 글 속에는 족보와는 다르게 표현된 내용도 있었다. 후손이 절손이 된 것은 아닌데도 깊이 돌보는 이가 없어 봉분의 자리에 나무들이 솟아나 있는 모습에 가슴이 크게 아팠다.
|
나뭇잎 모아져 봉분을 이룬 것일까.
올해도 가을 코스모스는 저리 피어나는데.
'안동의 숨결 > 부사공파종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炳瓘<병관> 선조님의 묘비<墓碑> 돌누께 마을 (0) | 2012.09.28 |
---|---|
돌누께 마을 ---------부사공파 상관 후손 묘자리 (0) | 201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