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광장/고전의 향기

조문수(曺文秀) 매화를 보며 눈 내리는 밤 雪夜 강만문<고전번역원>

백촌거사 2019. 1. 16. 13:01

 

한국고전번역원
공유하기
고전산책 다른 글 보러가기
한시감상
2019년 1월 16일 (수)
백아흔두 번째 이야기
매화를 보며
   

눈 내리는 밤
雪夜

 

눈보라 치는 외딴 마을에 밤이 깃드니
사립문 여는 사람 없어라
병들어 누운 이내 몸 누가 가련해하랴
소한이 오는 게 더욱 두렵구나
등불은 어두워져라 불꽃이 가물거리고
화롯불은 쇠잔해져라 잔불도 재에 숨어드네
이 흥취 어디서 오는지 알겠노니
창밖에 새로 핀 매화일세

 

風雪孤村夜풍설고촌야
柴扉人不開시비인불개
誰憐多病卧수련다병와
更㥘小寒來갱겁소한래
燈暗花生暈등암화생훈
爐殘火隱灰로잔화은회
興來知有處흥래지유처
牕外放新梅창외방신매

 

- 조문수(曺文秀, 1590~1647), 『설정시집(雪汀詩集)』 권6 「오언율시(五言律詩)」

   
해설

   조문수가 29세가 되던 해 겨울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시이다. 1617년 인목대비(仁穆大妃)에 대한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그는 세자익위사 세마를 사직하고 자신이 태어난 여강(驪江)으로 돌아가 지내게 된다.

 

   벼슬을 그만두고 궁벽한 시골에서 지내는 사람에게 겨울밤의 모진 눈보라를 뚫고 찾아올 이 그 누가 있을까. 하지만 병들어 누워 있는 그에게는 그것이 서운한 일이었나 보다. 그의 그러한 마음은 소한 앞에서 더욱 움츠러들게 된다. 한동안 연달아 이어지는 겨울 추위는 모진 매를 계속해서 맞는 것처럼 아무리 겪어도 두려운 대상이다. 게다가 지금도 충분히 추운데 한 해 중 가장 추운 절기가 기다리고 있으니, 그의 심정을 알 만하다. 또한 심신이 극도로 쇠약해진 그의 시각과 촉각을 어둠과 추위로부터 겨우 지탱해주고 있던 등불과 화롯불은 거의 꺼지려고 하기까지 한다.

 

   지금 그의 세상은 온전히 겨울이다. 그가 지내고 있는 시골집은 그의 나이 26세에 별세한 선친과 함께 보냈던 유년 시절 추억이 고스란히 서려있는 곳이다. 집안 곳곳마다 선친의 손때가 묻지 않은 곳이 없을 터이다. 또한 20세에 진사시에 급제한 후 성균관에서 수학하고 벼슬을 하다가 처음으로 큰 시련을 겪고 있다.

 

   이제 그에게 그가 처한 시공간은 다른 사람들의 세상과는 유리된 별개의 고독한 적막의 시공간이 된다. 그 시공간 속에 갇혀 절망하고 있는 어느 순간 그의 눈에 막 창 밖에서 꽃봉오리를 툭 틔운 매화가 들어온다. 매서운 한기 앞에 온갖 물상들이 힘을 잃은 천지에서 기특하게도 자신의 힘으로 꽃을 피운 매화를 본다. 미미하지만 장엄한 그 사실 앞에 그는 갑자기 어떤 힘을 얻는다. 그것은 어쩌면 잊고 있던 봄에의 희망이 아니었을까. 그의 세상이 온전히 봄이 되는 희망 말이다.

 

   이 세상에 처음 겨울이 생기고 매화가 존재했을 때부터 매화는 언제나 모진 추위를 견디고서 기어코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 왔다. 천지가 없어지고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 한 우리는 결국 이 세상의 추위를 견뎌야만 한다. 그렇다면 한겨울 추위를 이겨내고서 모든 꽃 가운데 가장 먼저 피는 매화의 기상을 우리가 닮아보는 것은 어떨까.

 

글쓴이강만문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雪夜 설야

 

 

              風孤村夜。柴扉人不풍설고촌야 시비인불개

              誰憐多病卧。更㥘小寒수련다병와 경겁소한

              燈暗花生暈。爐殘火隱등암화생훈 로잔화은

              興來知有處。牕外放新흥래지유처 창외방신매

► 측기식 오언율시十灰平聲운

--------------------------------------------------------------------------------------------------------------------

 

필자는 아래처럼 읊어 보았습니다.

          눈보라가 치는 밤 외딴 마을에

        사립문은 올 이 없어 닫혀 있어라.

           병 많아 누웠으니 뉘 동정하랴

          소한추위 닥쳐오니 더욱 두렵네.

         어둠속 등잔불꽃 가물거리고

         화로에 남은 불꽃 재에 묻혔네.

       흥취 오는 곳 있음을 알고 있나니

       창밖에 새 매화꽃 피어 있구나.

 

  

 <설야>를 소재로 읊은 시가   아래처럼 많았습니다.

13 사가집(四佳集) 四佳詩集卷之二十二○第十五 詩類 雪夜 서거정(徐居正)

20 매월당집(梅月堂集) 梅月堂詩集卷之四 詩○雨雪 雪夜 김시습(金時習)

22 매월당집(梅月堂集) 梅月堂詩集卷之十四 詩○溟州日錄 雪夜 김시습(金時習 )

41 희락당고(希樂堂稿) 希樂堂文稿卷之二 上 詩 雪夜 김안로(金安老 )

52 입암집(立巖集) 立巖集卷之二 五言四韻 雪夜 二首 민제인(閔齊仁)

67 미암집(眉巖集) 眉巖先生集卷之二 詩○七言絶句 補遺 雪夜 유희춘(柳希春)

82 송암집(松巖集) 松巖先生續集卷之二 詩 雪夜。次春晴絶句。 권호문(權好文)

104 고담일고(孤潭逸稿) 孤潭逸稿卷之一 詩○七言絶句 百三十九首 雪夜 이순인(李純仁)

168 학천집(鶴泉集) 鶴泉先生集卷之一 七言律詩 雪夜 성여학(成汝學 )

190 행명재시집(涬溟齋詩集) 涬溟齋詩集卷之一 詩 雪夜 윤순지(尹順之)

194 백헌집(白軒集) 白軒先生集卷之一○詩稿 雪夜 이경석(李景奭)

243 문곡집(文谷集) 文谷集卷之一 詩 一百九十一首 雪夜獨坐 乙酉 김수항(金壽恒)

259 염헌집(恬軒集) 恬軒集卷之十八 詩 西河任相元公輔著 雪夜 임상원(任相元)

283 유하집(柳下集) 柳下集卷之五 南陽洪世泰道長著 詩 雪夜 홍세태(洪世泰

309 도운유집(陶雲遺集) 陶雲遺集冊一 [詩] 雪夜 이진망(李眞望)

351 석북집(石北集) 石北先生文集卷之三 詩 雪夜。至淸之南村寓舍。 신광수(申光洙)

364 번암집(樊巖集) 樊巖先生集卷之十九 詩○稀年錄[下] 雪夜。寢堗溫甚感吟。

371 해좌집(海左集) 海左先生文集卷之十 詩 雪夜 정범조(丁範祖)

383 자저(自著) 自著卷之十三 律詩 雪夜 유한준(兪漢雋

402 후계집(後溪集) 後溪集卷之一 詩 雪夜 이이순(李頤淳)

408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硏經齋全集卷之六 詩 雪夜 성해응(成海應)

418 풍고집(楓皐集) 楓皐集卷之五 詩 雪夜寫竹 김조순(金祖淳)

453 고산집(鼓山集) 鼓山先生文集卷之一 詩 雪夜六言 임헌회(任憲晦)

469 의암집(毅菴集) 毅庵先生文集卷之三 詩 雪夜 유인석(柳麟錫)

497 서포집(西浦集) 西浦先生集卷之三 五言絶句 雪夜 곽열(郭說)

524 운학집(雲壑集) 雲壑先生文集卷之二 詩○七言 雪夜 조평(趙平)

529 추담집(秋潭集) 秋潭先生文集卷之三 詩○五言絶句 雪夜 二首 김우급(金友伋) 1929 b018_048a

530 추담집(秋潭集) 秋潭先生文集卷之四 詩○七言絶句 雪夜 김우급(金友伋)

537 죽유시집(竹牖詩集) 竹牖詩集卷上 七言絶句 雪夜 구영(具瑩) 1668

538 수북유고(水北遺稿) 水北遺稿卷之一 詩 雪夜入蔡 月課 김광현(金光炫)

539 수북유고(水北遺稿) 水北遺稿卷之一 詩 雪夜 김광현(金光炫)

540 수북유고(水北遺稿) 水北遺稿卷之一 詩 雪夜有懷 김광현(金光炫)

 

572 명곡집(明谷集) 明谷先生文集卷之一 詩 雪夜 구음(具崟)

582 범옹집(泛翁集) 泛翁集卷之一 豐山洪柱國國卿著 五言絶句 雪夜金水部建中 震標 第賞梅。 홍주국(洪柱國)

583 남포집(南圃集) 南圃先生集卷之一 五言絶句 雪夜

599 육우당유고(六寓堂遺稿) 六寓堂遺稿册三 [詩] 雪夜 이하진(李夏鎭)

619 모주집(茅洲集) 茅洲集卷之三 安東金時保士敬著 詩 雪夜書懷。簡淵翁。 김시보(金時保) 1790 b052_282a

620 모주집(茅洲集) 茅洲集卷之七 安東金時保士敬著 詩 雪夜憶心菴 김시보(金時保)

661 우원집(愚園集) 愚園集冊二 會津林聲遠達夫著 [詩] 雪夜 임성원(林聲遠) 미상

664 창하집(蒼霞集) 蒼霞集卷之一 詩 雪夜。宿李宜叔 天輔 宅。 원경하(元景夏)

689 태을암집(太乙菴集) 太乙菴文集卷之一 詩 雪夜 신국빈(申國賓 )

705 가암유고(可庵遺稿) 可庵遺稿卷之二 詩 雪夜 二首 김귀주(金龜柱)

706 가암유고(可庵遺稿) 可庵遺稿卷之三 詩 雪夜拈三淵韻 김귀주(金龜柱)

707 가암유고(可庵遺稿) 可庵遺稿卷之三 詩 雪夜拈淵翁韻 二首 김귀주(金龜柱)

721 수재유고(壽齋遺稿) 壽齋遺稿卷之一○應製錄 延安李崑秀星瑞著 詩 雪夜。召對玉堂官聯句。癸卯

775 소송유고(小松遺稿) 卷一 詩 雪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