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촌의 낭만/돌사랑

하 시찬(夏 時贊)의 動石 동석

백촌거사 2019. 1. 17. 20:32

 

-------------------------------------------------------------------

                        하 시찬(夏 時贊)

                              1750년(영조 26)--1828년(순조 28)

                             자 경양(景襄) 호 열암(悅菴) 문집

                             본관 달성(達城)=大邱

 

============================================================================================================

 

     動石 동석

      石元來靜是

      胡然能動在山

      似知體用相須妙。

      百劫藍風不敢

원래정시호연능동재산

사지체용상수묘 백겁람풍불감

측기식 7언절구下平성 七陽운 <常崗傷>

-----------------------------------------------------------------------------------------

❉ 위의 작품은 절대적으로 하 시찬(夏 時贊)님의 작품이며,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님의 작품이 아니다.

1625년(인조 3)- 1707년(숙종 33) 자 君翊 호 愚潭, 龜潭, 法泉 본관羅州

愚潭 선생님께서는 <山中日記>에서 動石을 다음처럼 표현하셨고, 動石이라는 시제의 시는 없다. 그리고 動石의 시를 풀이한 것은

하시찬 선생님의 문중에서 국역한 문집의 내용을 거의 옮겨 실었다.

1688 6 초하루 임인1687 정묘 8.2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ㆍ1625∼1707)의 산중일기

다시 바위틈을 따라 올라가니 움직이는 돌이 있는데

기우제를 지내는 석대다. 위로 올라가 내려다보니 수백 리 평야가 있다. 신녕 영천 등의 군현이 마치 무릎 아래에 있는 듯하다.

又緣巖隙上動石祈雨祭所 石坮上俯見數百里 原野 新寧 永川 等郡縣 如在膝下.

---------------------------------------------------------------------

◈  ❰내용의 분석적 이해❱

 

元來靜是〗: 돌<=바위>의 원래 모습- 靜的상태

 

性: 돌= 바위의 특성. 성질

[性質]: 사물이나 현상이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고유의 본바탕

돌 성질 금강과 맞설 만큼 예리하고 / 石性銛利當金剛

돌무늬 일고 일어 고록이 무리졌네 / 石紋作作暈古綠< 추사>

한 구역 천석에서 사는 것이 성품에 맞네 / 一區泉石性相宜

而吾東土石性。例多麤頑

石性甚脆。歲久漫漶

돌의 성질이 매우 물러서 세월이 오래되자 흐려지고 뭉그러져<문곡>

石性麁頑。非東砂可礱

石性麤。是遜漱玉 金石性堅松栢貞 盖其石性堅頑難壞者也

君吾交莫逆。金石性同由 石性於石。移家傍此巖

石性由來靜以天<掀動石> 石性頗堅密。殺墨甚快 根因石性增盤屈。腹不雷藏自瑟鳴

                                                                                                 <고전번역원자료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