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砑의 의미는
?砑함아
필자의 질문에 나그네님의 답변입니다.
나그네 17-07-15 15:54 < 이야기 한자여행에서>
김창현 선생님 오랜만이십니다. 제가 바빠서 이 홈페이지를 자주 방문하지 못하여 빠른 답변 못 드린 점 우선 양해 부탁드립니다. 해당 단어는 보통 谽谺(함하)라고 쓰는 단어의 이체 표기로, 돌 틈에 흐르는 시내의 의미에서 변을 石으로 대체한 이체 표기입니다. 의미는 '골짜기가 훤히 트인 모양'입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68106&cid=41748&categoryId=41752 어원은 입구변(口)의 唅呀(함하)가 원래 단어로, 원래 의미는 '입을 크게 벌린 모양'이고 나중에 이 의미로부터 '골짜기가 훤히 트인 모양'의 의미까지 인신된 것입니다. 후자의 의미는 나중에 谷 변의 표기인 谽谺라는 표기가 따로 분화되어 나왔으며, 石 변의 단어는 그 표기의 이체 표기입니다. 한편, 唅呀(함하)의 어원은 중국티베트어족에서 입말로만 존재했던 '어금니'라는 뜻의 단어 [함아]에서 나온 말인데, 이 말을 한자로 전사하면 頷牙 정도가 됩니다(문헌 상으로는 확인되지 않음). 인도의 타니 부족의 말 중에 gam-ɲa(molar)라는 말이 존재합니다. 어금니를 드러내는 행위는 입을 크게 벌리는 행위이기 때문에, '입을 딱 벌리다'의 의미가 자연스럽게 인신될 수 있음이 이해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