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촌의 낭만/부여(扶餘) 시정(詩情)

부여 팔영 (扶餘 八詠)

백촌거사 2022. 2. 12. 06:53

----

-------------------------------------------------------------------------------------------------------------------------

부여 팔영 (扶餘 八詠)

1 扶蘇山暮雨 2 水北亭晴嵐 3 皐蘭寺曉磬 4 平濟塔夕照

5 窺巖津歸颿 6 白馬江沈月 7 九龍坪落鴈 8 落花巖宿鵑

1 부소산모우 2 수북정청람 3 고란사효경 4 평제탑석조

5 규암진귀범 6 백마강침월 7 구룡평락안 8 낙화암숙견

---------------------------------------------------------------------------------------------------------------

글쓴이: 김 영한 (金甯漢)

1878年(高宗15무인)6.13~1950

조선 말기 문신. 본관 안동(新安東)자 기오(箕五)호 급우재(及愚齋) 또는 동강(東江) 문집:及愚齋集

출신지 충청남도 공주군(公州郡) 공암리(孔巖里)

생부 鴻鎭(휴암공파).용인군수(龍仁郡守), 양근군수(陽根郡守)

✶ 奭鎭 (생부 樂鎭)- 영한- 潤東- 文忠彰膺政顯

국역하신 이: 정 만호 교수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2014.08 기려수필: 망국의 한 기록으로 꽃피우다1~4(공역)

2015.05 농암진적: 농암 김창협의 삶과 편지, 그리고 사상(공역)

2015~2018 국역 동주집 1~8(공역)

2018.12 국역 두타초 1~3(공역)

--------------------------------------------------------

扶餘八詠 (부여 팔영)

舒若(응서약촉)

✶동생인 서약(舒若) 김 중한(金 仲漢)의

부탁에 응하여 지음.

김 중한(金 仲漢)(1888 高宗25 戊子-? )字 舒若

蔭 徽陵 叅奉 부인 恩津 宋氏 (1886고종23병술-?)

===========================================

扶餘一詠 <부여일영>

扶蘇山暮雨 (부소산모우)

在 縣北鎭山 (재현북진산) 부소산은 현 북쪽에 있는 진산이다

 

<부소산에 내리는 저녁 비>

 

옛 도읍 황량한 산에 해 저물 제

비 머금은 먹구름이 숲을 감싸네.

짙은 수묵화가 뼈대도 없으니

하늘이 화가의 마음 발휘하네.

古國荒山落日黝雲含雨鎖空

고국황산락일유운함우쇄공

水墨方濃仍沒骨 天機自動畵工

수묵방농잉몰골 천기자동화공

짙은……없으니 : 부소산에 비가 내리는 모습을 한 폭의 수묵화 같다고 읊은 것이다.

몰골(沒骨)은 밑그림을 그리지 않고 직접 채색하는 수법으로 그리는 그림 기법이다.

 

-------------------------------------------------------------------

 

扶餘二詠 <부여이영>

 

水北亭晴嵐(수북정청람)

<수북정의 아지랑이>

 

金公興國作宰建此亭 김공흥국작재건차정

김흥국 공이 지방관으로 있을 때 이 정자를 지었다.

 

비 그치자 푸른 산 빛 뭉게뭉게 떠오르고

안개와 아지랑이 어우러지네.

때때로 강바람 불어도 걷히지 않아

푸른 비단이 붉은 정자 절반을 감싸네.

雨餘山氣翠濛 烟質霞文一樣

우여산기취몽몽 연질하문일양동

時被江風猶不捲 紅亭半額碧紗

시피강풍유불권 홍정반액벽사롱

 

푸른……감싸네 : 아지랑이가 감싼 수북정의 모습을 읊은 것이다.

----------------------------------------------

 

 

扶餘三詠 <부여삼영>

皐蘭寺曉磬(고란사효경)

 

<고란사의 새벽 종소리>

 

푸른 산에 나무 우거지고 달은 서쪽에 걸렸는데

강가 사찰의 스님은 새벽까지 깨어 있네.

고요한 가운데 사람들의 잠을 깨우려는 듯

바람에 나부끼는 차가운 소리가 뱃전에 떨어지네.

蒼山雲木月西 江寺孤僧曉不

창산운목월서현 강사고승효부면

靜裏警醒塵世夢 風飄寒韻落歸

정리경성진세몽 풍표한운락귀선

--------------------------------------------------

 

扶餘四詠 <부여사영>

平濟塔夕照(평제탑석조)

<평제탑의 석양>

羅 唐兵 攻百濟 平之樹塔

나 당병 공백제 평지수탑 기공

 

신라와 당나라 군대가 백제를 공격하여 평정한 뒤 탑을 세워 공적을 기록하였다.

 

 

당이 세운 옛 탑에 석양 가득하니

백제의 모진 운명 한바탕 꿈이었네.

서산에 지는 해 잡을 수 없건만

부질없이 노양의 창을 생각하네.

唐家古塔夕暉 百濟風塵一夢

당가고탑석휘 백제풍진일몽

紅斂西岑留不得 浮生漫憶魯陽

홍렴서잠류불득 부생만억로양

부질없이……생각하네 : 해가 넘어가지 않도록 잡고 싶다는 말이다. 전국 시대 초(楚)나라 사람 노양공의 창이라는 뜻이다. 《회남홍렬해(淮南鴻烈解)》 권6 〈남명훈(覽冥訓)〉에 “노양공이 한나라와 싸울 때, 한창 전투 중에 해가 기울자 창을 잡고 태양을 향해 휘두르니, 해가 3사를 되돌아왔다.〔魯陽公與韓搆難, 戰酣日暮, 援戈而撝之, 日爲之反三舍.〕”라는 말이 있다. 1사는 30리이므로 3사는 90리이다.

-----------------------------------------------

扶餘五詠 <부여오영>

 

窺巖津歸颿(규암진귀범)

<규암진에 돌아가는 배>

 

조룡대 아래 버들은 안개 같고

동풍 세차게 불어 물결 솟구치네.

앞에는 비단 돛배 뒤에는 부들 돛배 줄줄이 가는데

규암진 서쪽에 석양 걸렸네.

釣龍臺下柳如 五兩風多浪拍

조룡대하류여 오량풍다랑박

前錦後蒲無數起 窺巖西畔夕陽

전금후포무수기 규암서반석양

 

-------------------------------------------------------------------

扶餘六詠 <부여륙영>

白馬江沈月(백마강침월)

<백마강에 잠긴 달>

唐蘇定方仗百濟臨江欲渡怱風雨大作以白馬爲餌釣得一龍云 당소정방장백제림강욕도총풍우대작이백마위이조득일룡운

당나라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할 때 강가에 와서 건너려고 하였는데 갑자기 비바람이 세차게 몰아쳤다. 백마를 미끼로 삼아 용을 낚았다고 한다.

 

십리 밖 나루에서 외로운 돛배 띄웠더니

가을 달그림자가 강물에 잠겼네.

고요한 밤 물결 속에 잠든 용

턱 아래 옥구슬 한 덩이 영롱하네.

十里津亭片颿 氷輪秋影落平

십리진정편범 빙륜추영락평

波濤夜靜驪龍睡 頷下玲瓏一顆

파도야정려룡수 함하령롱일과

고요한……영롱하네 : 강물에 비친 달을 용의 여의주 같다고 읊은 것이다.

------------------------------------------------

扶餘七詠 <부여칠영>

 

九龍坪落鴈(구룡평락안)

<구룡 평에 내려앉은 기러기>

갈바람에 돌아오는 기러기 형양을 지났나

아득한 강에 구름 끼고 밤공기 차갑네

저마다 비스듬히 안개 낀 물가에 내리는데

갈대 우거진 양쪽 언덕 비추는 달빛 서리 같구나

秋風歸鴈過衡 漠漠江雲夕氣

추풍귀안과형 막막강운석기

箇箇輕斜烟渚落 蒹葭兩岸月如

개개경사연저락 겸가량안월여상

 

✶갈바람에……지났나 : 형양(衡陽)에 회안봉(回鴈峯)이 있는데, 기러기가 언제나 이 산봉우리에 이르러서는 봉우리가 너무 높아 더 이상 넘어가지 못하고 봄이 되면 다시 돌아온다고 한다.

------------------------------------------------

 

扶餘八詠 <부여팔영>

落花巖宿鵑 (낙화암숙견)

百濟義慈王爲唐兵所敗宮女奔迸登是岩自墮于江

백제의자왕위당병소패궁녀분병등시암자타우강

백제 의자왕이 당나라 군대에 패하자 궁녀들이 도망치다

이 바위에 올라 강물로 뛰어내렸다.

<낙화암에 자는 두견새>

 

궁녀들 투신한 강물 동쪽으로 흐르는데

여전히 높은 바위에 비바람 몰아쳐 시름겹네.

두견새는 해마다 망국의 한을 품어

끝없이 울어대니 언제 쉬려나

宮花落盡水東 萬古層巖風雨

궁화락진수동류 만고층암풍우수

蜀魄年年亡國恨 無窮喉舌有時

촉백연년망국한 무궁후설유시휴

두견새는……울어 : 촉백은 두견이의 별칭이다. 옛날 촉(蜀) 나라에 이름이 두우(杜宇)로서 망제(望帝)라고 불리운 임금이 있었는데, 죽어서 두견이가 된 뒤 봄철에 밤낮으로 슬피 운다는 전설에서 비롯된 것이다. 촉혼(蜀魂)ㆍ촉조(蜀鳥)ㆍ귀촉도(歸蜀道)ㆍ두백(杜魄)ㆍ두우(杜宇)ㆍ망제혼(望帝魂)이라고도 한다.

-----------------------------------------------

정 만호 교수님

좋은 글 번역해 주시어 깊이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