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學而 第一

學而1-1章 學而時習 장

백촌거사 2013. 3. 27. 14:38

 

學而는 爲書之首篇이라 故로 所記多務本之意하니

入道之門이요 積德之基니 學者之先務也라 凡十六章이라

이 편은 논어 책의 머리편이 된다. 그러므로 기록한 내용이 근본을 힘쓰는 뜻이 많으니, 바로 도에 들어가는 문이요, 덕을 쌓는 터전이니, 배우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라. 모두 16 장이다.

----------------------------------------------------------------------------------------------

  논어 學而1-1章

子曰: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아니하면 또한 君子가 아니겠는가..

 

 

 

 

論語 學而 01-01-(01)------------------------------------

子曰: 而時,不亦

[읽기] 자왈: 이시,불역열호

[국역]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기쁘지 않겠는가.

[언해] 子ㅣ 샤 學학고 時로 習면  깃브디 아니랴

 

[영역] The Master said,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James Legge>

---------------------------------------------------------------------------------------------

[백촌 노트]: 子: 스승. 남자의 존칭. 공자님 邢昺(형병):스승

直言子曰者。以其聖德著聞。師範來世。不須言其氏 人盡知之也

곧 바로 자로 한 것은 그 성덕이 널리 알려져 후세까지 스승의 본이 되었으므로 비록 그 성씨를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모두 다 그를 알기 때문이다.< 다산>

: 삶의 지혜. 선인의 생각과 지혜 .六藝-禮樂射御書數

時: 시시로 ,때때로 ,언제나, 수시로, 늘 ,항상, 부사

習: 익히다. 숙달하다. 연습하다.

: 때로, 때에 맞추어< 皇侃.도올> 줄곧 계속하여( 時時習之)

時習。以時習之也<다산>

: 순접_ 그래서 그리하여 - 하여서 - 하고서

:-가르침을 받는 것(受敎也)<다산>

不亦-乎아: 또한 하지 아니한가 .또한 -이 아니겠는가 .완곡한 반문

亦: 또한 대단히 역시 참으로 매우

기쁨의 절대적인 경지 자기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기쁨을 남에게 전달하고 남의 동의를 얻고자 하는 강조의 의미< 도올>

: 기쁘다 즐겁다 說= 悅< 說 喜意也>

------------------------------------------------------------

[集註] 1. 學之爲言效也 : 학이란 말은 본받는다는 뜻이다

2. 人性皆善이나 而覺有先後하니 後覺者必效先覺之所爲라야 乃可以明善而復其初也: 사람의 본성은 모두가 착하나, 이것을 깨달음은 먼저하고 뒤에 함이 있으니, 뒤에 깨달은 사람은 반드시 선각자의 하는 바를 본 받아야 선을 밝게 알아서 그 본초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이다.

3. 習은 鳥 飛也니 學之不已를 如鳥數飛也라.: 습은 새가 자주 나는 것이니,

배우기를 그치지 않음을 마치 새 새끼가 자주 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라.

 

4. 說은 喜意也니 旣學而又時時習之면 則所學者熟而中心喜說하여 其進이 自不能已矣리라 :열은 기뻐하는 뜻이니, 이미 배우고 또 때때로 그것을 익힌다면 배운 것이 익숙해져서 중심에 기쁨을 느껴 그 진전이 자연히 그만둘 수 없는 것이다.

5.程子曰 習은 重習也니 時復思繹하여 浹洽於中이면 則說也니라 又曰 學者는 將以行之也니 時習之면 則所學者在我라 故로 悅이니라

: 정자가 말씀하셨다. 습은 거듭함이니 때로 다시 생각하고, 연역해서 가슴속에 무젖게 하면 기뻐지는 것이다. 또 말씀하셨다. 배우는 것은 장차 그것을 행하려고 해서이니, 때로 익힌다면 배운 것이 내몸에 있다. 그러므로 기뻐지는 것이다.

6.. 謝氏曰 時習者는 無時而不習이니 坐如尸는 坐時習也요 立如齊는 立時習也니라: 사씨가 말씀하셨다. 시습이란 때마다 익히지 않음이 없는 것이니, 앉음에 시동과 같이 함은 앉아 있을 때의 익힘이요, 섬에 재계함과 같이 함은 서 있을 때의 익힘이다.

 

----------------------------------------------------

論語 學而 01-01-(02)---------------------------------------------------

自遠方來,不亦樂乎

[읽기] 자원방래,불역악호

[국역]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언해]버디 원방(遠方)으로브터 오면  즐겁디 아니랴.

[영역][James Legge] "Is it not delightful to have friends coming from distant quarters?

 

------------------------------------------------------------------------------------------

[백촌 노트]

朋: 친구. 벗, 同志. 同門 朋黨 뜻을 같이하는 친구

朋同類也< 주자> 朋同道者也< 다산>

: 즐거움 - 기쁨: <도올은 對自的. 卽自的으로 구분.>

自:으로부터, -에서

[集註] -------------------------------------------------------

1. 朋은同類也니.: 붕은 동류(同志)이니

2. 自遠方來면則近者可知니라.: 먼 지방으로부터 온다면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 찾아옴을 알 수 있다.

3. 程子曰:以善及人하여而信從者衆이라.故로可樂이니라.: 정자가 말씀하였다. 착함을 남에게 미쳐서 믿고 따르게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므로 즐거울 수 있는 것이니라.

4. 又曰 說은 在心하고 樂은主發散이니 在外니라.: 또 말씀하였다. 기쁨은 마음 속에 있는 것이요, 즐거움이란 발산함을 주장하니, 외면에 있는 것이니라.

---------------------------------------------

論語 學而 01-1-(03)-----------------------------------------------------

人不知이면,不亦君子.

[읽기] 인부지이불이면,불역군자

[국역]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 하지 않는다면 군자(君子)답지 않겠는가?

[언해]사이 아디 몯야도 온(慍)티 아니면  君子(군) l 아니가

[영역][James Legge] "Is he not a man of complete virtue, who feels no discomposure though men may take no note of him?"

----------------------------------------------------------------------------------------------

[백촌 노트]:

人:남 타인.而: 역접. 전환. 그러나, 그런데 그렇지만.

君子: 덕행이 있는 사람 凡有德者稱君子。(다산). 卿大夫. 백성을 다스리는 위치에 있는 사람.

도올: 군자라는 도덕적 이상을 선택하고, 분노와 한에 찬 인생을 보냈다. 알아주는 사람이 없는 고독한 인생이었다.

--------------------------------------------------------------------

[論語集註]

1. 慍은含怒意이라.: 온은 노여움을 품은 뜻이다. <성낼 온. 번민할 온>

2. 君子는成德之名이니라..: 군자는 덕을 이룬 이의 명칭이다.

3. 尹氏曰: 學은 在己하고 知不知는在人하니何之有라.:

윤씨가 말하였다. 학문은 자신에게 달려 있고, 알아주고 알아주지 않음은 다른 사람에게 달려 있는 것이니, 어찌 서운해 할 것이 있겠는가.

 

4. 程子曰 雖樂於及人이나 不見是而無悶이라야 乃所謂君子니라..:

정자가 말씀하셨다. 비록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것을 즐거워하나, 옳다함을 받지 못하더라도 서운함이 없어야 이것이 이른바 군자라는 것이다.

5. 愚謂及人而樂者는順而易.하고不知而不慍者는逆而難이라.故로有成德者能之라.然이나德之所以成은亦由學之正習之熟說之深而不已焉耳니라.

내가 생각하건대, 다른 사람에게까지 미쳐서 즐거운 것은 순이어야 쉽고, 알아주지 않는 데도 서운해 하지 않는 것은 역이어서 어렵다. 그러므로 덕을 이룬 군자만이 능한 것이다. 그러나 덕이 이루어지는 까닭은 또한 배움이 올바르고, 익히기를 익숙히 하고, 기뻐하기를 깊이 하여 그치지 않음에 말미암을 뿐이다.

6. 程子曰:樂은由說而後得이니,非樂이면不足以語君子니라.

정자가 말씀하셨다. 즐거움은 기쁨을 말미암은 뒤에야 얻어지는 것이니, 즐거움이 아니라면 군자라고 말할 수가 없다.

---------------------------------------------------------------------------------

다산 선생님의 論語古今注------------

邢曰稱師曰子。公羊傳曰子沈子。何休云稱子冠氏上者。著其爲師也。

直言子曰者。以其聖德著聞。師範來世。不須言其氏。人盡知之也。

荻云孔門稱夫子曰子者。內辭也。如春秋稱魯君曰公。〇補曰。受敎也。習。肄業也。時習。以時習之也。說。心快也。皇云懷抱欣暢也兌卦上開。夬卦亦然。悅快義相近也。兌卦彖傳云說以先民。〇補曰。同道者也。坤卦注自遠方來則其人必豪傑。致之者亦賢哲也。樂。深喜也。朱子曰悅是感於外而發於中。樂是充於中而溢於外。人不知。謂人不知我之學成也。慍。心有所蘊結也。詩檜風云我心蘊結兮。易曰不見是而无悶。程子云〇補曰君子。有德之稱。鄭玄玉藻注曰君子。大夫士。又云君子。士已上。少儀注曰君子。卿大夫。孟子云非野人。莫養君子君子云者。大君之子也。猶王者之稱天子也。古惟有德者得在位。故後世雖無位。凡有德者稱君子。

 

或曰學者。業道之名。賈誼新書引逸禮。小學業小道。大學業大道。〇駁曰非也。學記曰人不學。不知道。孔子曰吾十有五志于學。此方是業道之名。說文曰學覺也。謂先覺覺後覺也。然此亦造字之原義。非此經之所宜引。

侃曰學有三時。一身中時。學記云時過然後學則勤苦而難成。二年中時。王制云春秋敎以禮樂。冬夏敎以詩書。三日中時。學記云藏焉脩焉息焉游焉。是日日所習也。〇駁曰非也。時習者。時時習之也。朱子云學晨省昏定。便自是日習晨省昏定。學日乾夕惕。便自是日習日乾夕惕。學祭禮習祭禮。學鄕禮習鄕禮。飮射投壺等。學樂習樂。月令云孟春命樂正入學習舞。季秋命樂正入學習吹。學誦習誦。學射御習射御。月令云孟冬習射御。學書數習書數。皆所以肄業也。學所以知也。習所以行也。學而時習者。知行兼進也。後世之學。學而不習。所以無可悅也。

王曰學者。以時誦習之。〇駁曰非也。誦習而已者。後世之學也。禮樂射御。可習者多。奚但誦而已。易曰朋友講習。兌大象講者論辨也。無所不包。誦則詩書而已。學止是哉。

 

〔引證〕大戴禮曰君子旣學之。患其不博也。旣博之。患其不習也。曾子立事篇

包曰同門曰朋。〇駁曰非也。公羊傳云同門曰朋。兌卦疏周禮注云同師曰朋。大司徒聯朋友之注。集注云同類曰朋。總之朋者。志同而意合者也。何必同門。

何曰凡人有所不知。君子不怒。邢云古之學者爲己。含章內映。他人不知。而我不怒也。一云若有人鈍根不能知解者。君子恕之而不怒。〇或曰夫子一生。學不厭敎不倦。此正指誨人一節。故魏文靖講學余山。有學者辨論不釋。怫形于色。文靖曰人不自知。于我何慍。正得此意。〇駁曰非也。此章乃成己成物之全體。首節成己之事也。旣成己矣。人知之而從我則樂。人不知之而不宗我則不慍。明成物之權。不在己也。邢氏鈍根之說。豈足述乎。

---------------------------------------------------------------------------

 더 배우고 있습니다. 먼 훗날 내 하나뿐인 손자를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