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의 형식/오언시의 이해

황 후간(黃後榦) 의 咏雪 영설 ----- 오언 절구

백촌거사 2017. 12. 18. 16:13

---------------------------------------------------------------------------------------

   솔나무에 뿌린 백설

          咏雪 영설 <눈을 읊다>

황 후간(黃後榦)

1700년(숙종 26)- 1773년(영조 49)

자 이직(爾直) 호 이봉(夷峯) 본관 창원(昌原)

특기사항

이재(李栽), 김성탁(金聖鐸)의 문인. 유승현(柳升鉉), 권만(權萬), 김상정(金尙鼎), 이상정(李象靖), 김낙행(金樂行) 등과 교유

----------------------------------

경서무 점점소염

輕絮舞。点点素塩 평평평측측 (측)측측평

경각회춘색 리화수수개

頃刻回春色。梨花樹樹(평)측평평측 평평측측

▶평기식 上平성十灰운堆開

국역-----------------------------------------------

어지러이 가벼운 솜 춤추듯 날고

알알이 하얀 소금 쌓여져 가네,

잠깐 사이 봄빛이 돌아와 있듯

배꽃이 나무마다 피어 있구나. <3 음보 리듬>

--------------------------------------------------

눈송이 춤추며

점점이 쌓였네.

순간에 봄빛 와

나무마다 하얀 배꽃. <2 음보 리듬>

--------------------------------------

2017.12.18 경기지역 대설 경보 문자를 읽고-----

❰흰마을 노트❱

차가운 겨울 하늘을 따뜻한 백설로 온 천지를 뒤덮는 겨울의 진한 서정. 하늘에 휘날리는 춤의 율동이 경쾌하다. 경쾌한 윤무<輪舞>라 표현하신 청천 김진섭 님이 그리워진다.輕絮=素塩=梨花는 모두 백설의 보조관념이다. 나무마다 흰 옷 입은 겨울의 경치를 하얀 배꽃 나무로 연결

성급한 마음으로 봄을 기다리는 내면적인 서정도 녹아들었다. 겨울 속 배꽃 화사하게 핀 봄의 정경이다.

<기>: 눈송이 날림 동적 輕絮 <승>: 대지에 쌓인 눈 素塩 정적 시각

<전>: 봄빛 정경 제시 시상전환 回春 <결>: 배꽃 의 화려함 백설 경치

--------------------------------------------------------------

 

: 어지러운 모양. 뒤섞인 모양. 번잡한 모양. 성한 모양.

輕絮舞가벼운 버들 솜. 백설의 보조관념. 흰눈이 내리는 동적묘사

蘆<芦>絮갈대꽃(의솜털) 柳絮 버드나무의 꽃. 버들개지

✶ 漫天白雪疑輕絮。楊花着地飛輕絮

点点 1. 작으면서 많음小而多 2.一点点,形容小或少

素塩: 하얀 눈이 대지를 덮은 시각적 묘사 素塩= 흰눈의 은유

暮餐盤中之素塩 하얀 소금

 

頃刻: 잠시. 잠깐 동안.

命在頃刻頃刻之間 頃刻開花迷遠樹,須臾盈尺擁前程

春色:봄의 아름다운 봄 경치

1. 봄하늘 경치<春天的景色> 2. 아리따운 용모 비유<喻娇艳的容颜>

3. 기쁨의 얼굴빛 비유<喻喜色 > 4. 홍조를 띈 얼굴<指脸上的红晕>

梨花=棃花 배나무 꽃. 순백색의 흰꽃.

一色梨花朶朶圓 梨花白如雪。皎潔無塵滓 庭梨雪滿枝

驛路行塵息。黃昏坐寂寂。江月忽流輝。滿庭梨花白

<黃江驛多梨花 茅洲集>

樹樹:나무마다

나무마다 모두가 봄빛이요 / 樹樹皆春色

비파는 나무마다 향기롭다 / 枇杷樹樹香

樹樹微凉進 飢鴉樹樹啼

斜陽樹樹生 山榴樹樹紅 庭梨雪滿枝

刻回春色(평)측평평측: 가장 이상적인 평측의 배열이라면

頃 자리에 측성이 좋지 않았을까.

현대 한시를 많이 쓰신 조면희 선생님의 평측 배열은 가장 이상적이다.

(韻目이 仄聲일 때)○○ ○●●

承句 ◑● ●○◎

轉句 ◑● ○○●

結句 ○○ ●●◎ ◑표는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는 의미이다.

❹에 따름

❺ ←치닮음

 

❷ ↔ ❹ 대립

❶❸ ↔대립

한학자 손 종섭 님의 자석이론에서

 

 

上平성十灰운 자는 다음과 같다.

 

灰恢魁隈回徊槐梅枚玫媒煤雷崔催摧堆陪杯醅嵬推裴培偎煨瑰茴胚徘坯桅傀儡開哀埃台苔抬才材财裁栽哉來莱猜孩徕骀胎唉垓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