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음의 여음/사찰여정

김 매순(金邁淳)의白雲寺 .주 세붕(周世鵬)의 白雪峯 백설봉

백촌거사 2011. 1. 12. 19:44

< 필자의 서언 >-----------------------------------------------------------------------------------------

짤그랑 풍경 소리. 대웅전 안 스님의 목탁소리

가테,가테,파라가테,파라상가테,보디 스바하 반야심경 독경 소리

세속 속에 묻혀 있어도 그 고즈넉한 정경이 마음에 와 닿는다.

참선, 법열, 삼매, 겁 이런 단어만 뇌까리고 있어도

고요함 속에 마음 속 번뇌 들이 안개처럼 사라진다.

내 조상님들, 그리고 선조님들께서 시문의 향기를 통해 맛보았던 그 사찰들을 따라 가고 싶었다. 그래서 한시 문학 속에서 절을 찾아가 보려고 한다. 없어져 간 절들도 있기에 그 절을 찾아가려고 하는 것보다는 말의 향기를 더듬어 가고 싶었다.

------------------------------------------------------------------

 

 

 

<길라잡이>-----------------------------------------

1. 문정공파 청음,문곡의 후손이요, 삼연의 4 대손이시다.

<邁淳매순 -- 履鏽이수(6)- 範行범행(1)- 養謙양겸(1)- 昌翕창흡(3)- 문곡 壽恒수항>

2. 성리학자로서 湖論파의 입장을 견지하였고, 구양수의 문장 주자의 의리를 바탕으로 한 시인요, 학자이셨다. <洌陽歲時記>의 저자이시다.

3. 1806 년 31세 큰 형인 金達淳이 연루된 獄事가 일어나자 관직 생활을 그만두고 향리인 楊州 渼水 가로 거처를 옮기어 이후 19년간 관직에 나아가지 않으셨다.------

-------------------------------------------------------------------------------------------------------------------

白雲寺----------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경기(京畿) 영평현(永平縣), 풍덕군(豐德郡), 전라도(全羅道) 흥덕현(興德縣),강진현(康津縣), 함경도(咸鏡道)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평안도(平安道) 양덕현(陽德縣)에 도량이 있다고 기록.

이글의 백운사는 경기도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 기슭에 있었던 절이 확실한 것 같다. 지금도 이 절이 남아 있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이글의 지은 연대는 기사년 1809 년<34세> 벼슬하지 않고 양주에서 보내실 때이다. 농암. 삼연 선조의 문집에 보면은 경기도 영평 < 지금의 포천> 백운사를 찾아 남긴 시문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대산 선조님도 아마 이 절을 찾아가셨을 것이다. 백운산은 있어도 영평 백운산 아래 백운사는 없는 것 같다.

-------------------------------------------------------------------

http://blog.naver.com/dlaemi/30072645878 백운산(白雲山)소개.

들레미 (dlaemi) 님의 블로그 속에 백운산은 있어도 백운사는 보이지 않았다.

 

 

 

白雲寺 백운사 -------------

                                                                                   己巳 1809 년 작

                                                                                     김 매순(金邁淳)

                                                                                                   생년 1776년(영조 52)

                                                                                                   몰년 1840년(헌종 6)

                                                                 자 덕수(德叟)

                                                              호 대산(臺山), 석릉자(石陵子), 풍서주인(風棲主人)

                                                             문집: 대산집(臺山集) 시호 문청(文淸)

-------------------------

1

十里登登路。禪廬擁白

淸溪迷屢涉。幽鳥駭初

십리 산길 오르고 다시 오르니

절 하나 흰 구름 가득 품었네.

맑은 시내 깊이 젖어 자주 건너니

그윽한 산새들은 놀라 우짖네.

-------------------------------------

< 감상>

2 편의 연시로 구성이 된 5 언 절구이다.

<1>은 절 길 따라 힘들게 오르는 모습이고

< 2 >는 경내에 도달하여 눈에 익은 사찰의 모습이다.

깊고 높은 산속에 묻힌 도량 하나. 흰 구름 환한 속에 묻혀 있다. 오르는 산길에 자주 만나는 맑은 시내, 그리고 사람 발자국에 놀라서 더욱 재잘거리는 산새 울음 들을 들어가며 절에 이르고 있다.

< 1 행> 오르는 산길- 30 대 나이로 걷는 비탈진 산길. 쉬엄쉬엄 가는 길

< 2 행> 절의 위치- 높은 곳, 아늑함. 정밀감. < 禪廬.- 절 암시.>

< 3 행> 냇물을 건너감- 깊이 빠짐.

< 4 행> 산새 울음 ----- 산사의 정적 감 암시

---------------------------------------

禪廬擁白높은 산 속 구름 속에 안겨 있는 절의 모습

선려는 사전에 표제어로는 없다. 선방 선실 선원 선사와 의미가 통하는 단어로 사찰. 절의 뜻으로 쓰인 것 같다. 이상하게도 이 단어가 필자 가문의 조상님들이 쓴 시에서 발견되고 있다. 선을 닦는 집이라는 뜻이 있어 절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dhyana>선정(禪定)의 약칭이다. 앉아서 자세를 바르게 하고 잡념을 떨쳐 내어 마음을 집중하는 수행법. 불교용어.

마음을 조용히 하여 진리를 직관하는 일

禪那- 마음을 조용히 가라앉히고 진리를 직관하는 일 禪門- 불문에 들어온 남자. 선가의 종문. 禪房- 사원= 禪院 禪師- 중 승려 禪室- 좌선하는 방. 禪林- 불교적 사원의 별칭.

 

<예문>禪廬擁若耶 禪廬又復淸閴 高興滿禪廬 騎騾百折到禪廬

東嶽禪廬報新築 橫峰側嶺繞禪廬 禪廬僅避野 卧處若禪廬

-----------------------------------------------------

오두막 집. 농막. 주막. 숙직실 등의 의미

농막- 농부가 논밭가운데 간단히 지은 집

,舍也。——《廣雅》

庵廬 幛幕,軍營。僧廬 .僧寺,僧舍。

草廬 초가 누추한 집. 자기 집의 겸칭= 초당=草野。 廬落 민가의 모임 촌락 부락 廬幕- 상제가 거처하는 무덤근처의 오두막집 廬寺- 인가와 사찰 廬舍 오두막집 초막

-------------------------------------------------------------

幽鳥駭初그윽한 산새들은 놀라 우짖네.

산사가 있는 조용하고 아늑한 산속 사람 발자국에 더욱 놀라 우짖고 있는 정경을 표현한 것 같은데 확실히 어던 상황을 표현한지는 잘 모르겠다.

이 부분을 번역원에서는 다음처럼 번역을 하였다.

그윽한 새들 놀라는 소리 들었네 / 幽鳥駭初聞

幽鳥 ↔淸溪 迷↔駭 初↔屢涉 등이 서로 대구를 이루고 있다.

산새가 그윽한 것이 아니라 고요한 산속에서 울고 있는 산새 울음이 그윽하게 들림이라. 駭 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사람 발자국에 놀란 새가 더욱 시끄럽게 울고 있음을 표현 했으리라.初聞 이라는 단어는 처음으로 듣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아늑하게 듣고 있는 화자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 아닐까.

-------------------------------------------------------------

2.

五岳今諧願。三峰舊見

簷鈴翻可意。玄話對鑪

다섯 산이 이제는 어울렸으나

세 봉우린 예전처럼 나누어졌네.

풍경소리 도리어 마음에 들고

스님 말씀 향불연기 어울렸구나.

---------------------------------------

< 감상>

어느 계절에 탐방한 것인지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백운사에 초행길은 아닌 것으로 본다. 앞에서의 1 연이 30 대 젊은 나이에 산사를 찾아가면서 시냇물 소리, 새들의 울음소리에 동화된 서정을 노래했다면

2 연은 완전히 산사에 도착하여 절의 경내에서 오는 서정감을 노래하고 있다.<簷鈴 玄話> 라는 단어로 절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 1 행> 산악의 모습 < 2 행> 산봉우리의 모습--- 서경

< 3 행> 산사의 풍경소리 < 4 행> 스님의 모습--- 서정

<今諧願> <舊見分>---<今> <舊>--- 시간상의 대조

< 1.2 행>은 절 앞에서 바라보이는 산과 봉우리의 모습을 옛날과 비교하고 있다.

백운사 절 앞에 있는 5 개의 산들이 함께 어울려 더 아름다워 보였고, 산봉우리도 예전처럼 뚜렷하게 보였다는 뜻이겠다. 고봉준령에 이어져 있는 곳에 포근히 안겨 있는 백운사에서 바라보고 있는 모습일 듯하다

諧願은 바라던 것이 함께 잘 어울렸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선방에서의 현묘한 대화를 나누는 속에 법당의 향불연기와 잘 어울리고 있다는 절간의 분위기를 표현한 것이다. 현묘한 대화는 스님들 의 오가는 말소리를 표현한 것은 아닐까.

---------------------------------------

簷鈴翻可意 절 안의 풍경소리 마음에 들어 눈길을 끌고 있다.

簷鈴 처마가의 방울소리 곧 풍경소리를 말한다. 흔히 風磬, 風鈴이라고 한다.

자비심을 일으키는 구실을 한다고 한다. 절에 가면은 木魚라는 것도 있다. 나무를 깎아 만든 기구로 물고기는 항상 눈을 뜨고 있으므로 수행자가 졸지 말고 도(道)를 닦으라는 뜻에서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쓰인 용례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 처마 풍경 쟁그랑 바람 급히 불어오니 / 簷鈴泠泠風力急

• 바람 맑은 불전에 처마 방울 속삭이고 / 風淸佛殿簷鈴

• 역참에서 밤새도록 풍경 우는 소리 듣네 / 郵亭終夜聞簷鈴

• 맑게 갠 날 풍경(風磬) 혼자 읊조리는데 / 風鈴晴自語

• 추녀에는 차가운 풍경(風磬) 소리 울리고 / 禪枝寒磬

• 이따금 종어 소리 스스로 울린다고 / 有時自發鍾魚音<풍경(風磬)>

• 풍경소리 수풀 넘어 들리누나 / 風磬韻於林表

------------------------------------------------------------------

玄話對鑪스님들의 오가는 대화소리가 향불 연기를 대하고 있다.

선방에서 오고가는 玄靜感의 표현이리라.

玄話의 표제어가 사전에는 없었다. 필자 나름대로 판단했다.

-------------------------------------------------------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검다, 검붉다 ㉡오묘하다(奧妙--) ㉢심오하다(深奧--), 신묘하다(神妙--) ㉣깊다 ㉤고요하다 ㉥㉤고요하다

㉥멀다, 아득하다㉦아찔하다, 얼떨떨하다㉧짙다㉨크다

㉩통달하다(通達--)㉪매달리다, 걸리다㉫빛나다㉬하늘㉭검은빛㉭도교(道敎)

㉭부처의 가르침㉭북쪽㉭음력 9월㉭태고(太古)의 혼돈(混沌ㆍ渾沌)한 때

㉭현손(玄孫), 손자(孫子) <다음 사이트 인용>-------------------------

 

• 절에 반일 머물면서 도에 대해 얘기할 제 / 空門半日留玄話

• 暫借蒲團玄話玄話從容飛玉屑

相與道師玄話足 南嶽白雲玄話

 

玄間- 하늘 玄鑑- 현묘한 거울 사람의 마음 玄關- 현묘한 도에 들어가는 입구 불교용어 玄曠- 심오하고 공허함 玄琴- 거문고 玄冬- 겨울 玄理- 현묘한 이치 玄黙- 조용히 침묵을 지킴 玄魚 올챙이 玄奧- 현묘하고 심오함 玄靜 지극히 조용함 玄玄- 지극히 심원함

-----------------------------------------------------------

♣『老子』 第1章 속의-------------------

玄之又玄 오묘(奧妙)하고 또 오묘(奧妙)하다는 뜻으로, 도(道)의 광대(廣大) 무변함을 찬탄(讚歎)한 말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此兩者同, 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

도<는 그 이름을> 도라고 해도 좋겠지만 <그 이름이> 꼭 <항상> 도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어떤> 이름으로 <어떤 것의> 이름을 삼을 수는 있지만 꼭<항상> 그 이름이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이름을 붙이기 전에는 천지의 시작이니 따질 수 없고 <우리가> 이름을 붙이면 만물의 모태로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니 이름을 붙이기 전 <도의 이전>에는 <천지지시>의 묘함을 보아야하지만 <*묘함은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름을 붙인 후 <도의 이후>에야 그것의 요<실상계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느니라. 이 두 가지는 똑같은 것인데 다르게 보이는 것은 그 이름뿐이니 <도이전의 세계와도 이후의 세계가> 검기는 마찬가지여서 이것도 검고 저것도 검은 것이니 <도와 도 이전의 무엇과 같은 것이니라.> 도는 모든 묘함이 나오는 문이니 <지금부터 그것을 말하려 하느니>라 < 이 경숙번역인용>60년생.

-------------------------------------------------

피어 오르는 향기로운 향불 연기<화로 로, 향기 분>

쓰인 용례가 이 시뿐이어서 조심스러운 판단을 내렸다.

----------------------------------------------------------

 

白雪峯 백설봉-------------------------

                                                                                                                                                                                                                   주주세붕(周世鵬)

                                                                       1495년(연산군 1)- 1554년(명종 9)

                                                                                     자 景遊 호 愼齋, 南皐, 武陵道人, 巽翁

                                                                                       본관 尙州 시호 文敏

 

欲到雲寺백운도량 찾으려고 마음먹고는

先尋雪峯。우선 먼저 백설봉 찾아갔구나.

巉岩擎日。햇볕에 산의 바위 우뚝 솟았고.

常有雲封。언제나 흰 구름만 덮여 있었네.

---------------------------------------

감상

최초의 서원을 건립한 성리학자의 시이다. 경기도 영평의 백운산은 아닌 것 같다.

백운사라는 절이 늘 흰구름 속에 덮여 있음을 말하고 있다. 백설봉도 눈이 덮여 있어 붙인 이름이 아니라 깨끗한 구름들이 높은 산봉우리에 덮여 있음을 말한 것 같다. 백설봉이라는 시제도 백운사라는 절의 서경적인 모습을 강조하려고 표현한 듯싶다. 행마다 특이하게 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환하게 밝은 날 백설처럼 하얀 구름 잔뜩 덮인 산봉우리 그 속에 흰 구름을 닮은 듯 淸淳하고 한적스러운 도량 하나가 구름 함께 서 있다.

백운사를 찾아 가려는 마음 속 계획이 하 많은 구름 속에 머물러 있어 먼저 흰 구름 덮인 산봉우리에 올라갔고, 그 봉우리에서 아래로 구름 덮인 백운사 절을 바라보고 있는 듯하다.

 백운사 절의 외면적인 자연적 배경만을 그리고 있는 서경시이다.

欲到 이르려고 함. 先尋 먼저 찾아감 巉岩참암 높은 산의 바위

-------------------------------------------------------------

 

巉岩 높은 산의 바위

드높은 바위 뭇 봉우리를 가렸으니 /巖迾群峰

가파른 바위산이 깎은 바이고 / 巉巖神所鑿

기이한 절벽 사이로 오솔길 둘렸는데 / 路接巉巖絶壁前

높은 바위의 꼭대기에 올라 / 巉巖上絶頂

------------------------------------------------------------

                                                  읽어 주신 분들에게 우러러 감사를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