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동 가문 시 모음/퇴우당 김수흥의 글 모음

김 수흥(金壽興)의 悼夭( 도요) -죽은 아들 그리워라 -

백촌거사 2011. 2. 21. 16:46

 

--------------------------

             悼夭 도요------------------

                                                                    김 수흥(金壽興)

                                                                               1626년(인조 4) -1690년(숙종 16)

                                                                                                   자 起之 호 退憂堂, 止堂

                                                                                                  시호 文翼

                                                                  숙종 15년 1689 기사사화 때 대간의 논박을 받아 삭탈관작.

                                                                     長鬐에 安置되다. 숙종 16 1690년 長鬐 謫所에서 병사.

 

 

姸姸眉目尙分明 곱디고운 얼굴 모습 아직도 또렷하여

合眼依然覺後驚 눈 감아도 여전하니 꿈 깬 듯 놀랍구나.

窓外日斜風動葉 창 밖에 해 기울자 바람에 잎 흔드니

耳邊猶有喚爺聲 귓가엔 부르짖는 아빠 소리 있을 뿐.

연연미목상분 합안의연각후

창외일사풍동엽 이변유유환야

                                                                       < 退憂堂集卷之一에서>

고울 연 부를 환 아비 야

--------------------------------------

시어 이해】---------------------------

悼夭 일찍 죽은 아이들을 애도함.

姸姸 =연연(娟娟). 빛이 산뜻하게 아름답고 고움. 아름답고 어여쁨

眉目 눈썹과 눈 .얼굴 용모 모양(模樣) 아주 가까움. 체재

眉目秀麗- 얼굴이 뛰어나게 아름다움. 眉睫- 눈썹과 속눈썹 지극히 가까운 거리

合眼 눈을 감음 반대어 開眼

依然 전(前)과 다름이 없는 모양.

喚爺 아버지를 부름 爺는 아버지

---------------------------------------

단어 학습

◄ 연연 ---------------------------------

涓涓- 시냇물 따위가 흐름이 가늚 連延- 잇대어 길게 뻗음 軟娟- 가냘프고 약함 戀戀- 안타깝게 그리움=攣攣 蠕蠕- 柔然

 

姸麗-예쁘고 고움 姸靡-매우 아름다움 姸媚- 아름답고 사랑스러움 姸冶- 요염하도록 예쁨 姸艶- 곱고 예쁨

姸好- 예쁨 아름다움 姸和- 날씨가 화창함 姸華- 아름답고 화려함

-------------------------------------------

姸姸

나긋나긋 따스한 햇빛 노란 버들 내리쬐고 / 姸姸暖日薰黃柳

어여뻐라 눈썹같이 고운 달 / 姸姸細如眉

햇빛 받는 꽃송이는 곱게도 피고 / 姸姸花笑日

어여쁘다 참으로 신선 모습 지녔나니 / 姸姸眞有仙子態

姸姸片月更多姿/ 곱디고운 조각달 한층 더 아름답네

花色姸姸侵斝色/ 꽃 색깔 아주 곱게 잔 색깔에 스며드네.

姸姸春漸暄 / 곱고 고운 봄 경치 더 시끄럽고.

紫菊姸姸秋意深/ 국화꽃 더욱 곱고 가을 기운 깊어지네.

姸姸峯似畫/ 곱고 고운 산봉우리 그림과 같네.

-------------------------------------------

依然

이승에서 돌아갈 길 아득하기만 하네 / 此生歸路遠依然

만나보고 한 번 웃으매 옛모습이 의연하구나 / 相逢一笑故依然

일월은 그대로 예전의 갑진년이로세 / 月日依然舊甲辰

전처럼 청금 입고 조정 반열 서 있었네 / 依然淸襟立鵷班

샘물 소리 산빛들은 모두가 그대로일레 / 泉聲嶽色摠依然

依舊- 옛날과 다름이 없음 依傍- 서로 가까이 함 依約- 어딘지 모르게 그렇게 보이는 모양 =依稀 =髣髴 추종함 依依- 무성한 모양, 사모하는 모양, 확실하지 않은 모양, 차마 떨어지기 어려워하는 모양. 依怙 믿고 의지함 依稀- 헷갈릴 만큼 비슷한 모양. 어렴풋이 보이는 모양

------------------------------------------------------

 

 

감상 이해】---------------------------------------------

<1행> 일찍 죽은 아이의 모습-- 생생함

<2행> 눈 감아도 떠오름-- 경탄 감 .

<3행> 바람 소리-- 나뭇잎 소리

<4행> 아빠 소리처럼 들려옴----- 환청. 죽은 자식에 대한 깊은 그리움.

----------------------------------------------------------------------------------------------

30 대쯤 첫 자식을 잃고 난 후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는 죽은 자식에 대한 깊은 애절함을 담고 있는 시이다. 부모보다도 자식이 먼저 세상을 떠나가는 것을 慘慽之痛이라고 한다. 앉으나 서나, 눈 감아도 떠오르는 어린 자식의 곱디고운 모습들이 항상 눈에 선하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도 모두가 어린 자식이 애처롭게 부르짖는 환청 같은 소리일 뿐이다.

18 살 나이에 부친 (金光燦)의 명을 받아 큰 아버님 댁(金光爀 府使公파)에 양자로 들어가 후사를 잇기 위해 낳은 아들이었으니 더욱 더 가슴이 아팠을 것이다. 오랫동안 마음속을 떠나지 않은 죽어간 자식의 내면적 깊은 통곡이다.

이후 후사를 이어갈 아드님< 昌說1669-1732 >은 40이 넘어서야 아드님 한 분을 두셨으니 그 사이 일찍 세상을 떠난 아들에 대한 그리움은 매우 컸을 것이다.

-------------------------------------------------------------

 

 퇴우당 산소 전경

 

---------------------------------------

                                                        府使公尙寬派(82년 임술 보 족보)

                                                                              諱 金 壽興

10세係權-11세永銖-12세璠-13세生海

14세克孝-15세尙寬-16세光爀-17세壽興

생부 광찬(光燦) 文正公派

1643년(인조 21 18세 )부친 金光燦의 명에 따라 伯父 金光爀의 後嗣가 되다

자 기지(起之) 호 퇴우당(退憂堂)

1626년(인조 4 병인) 10 월 26 일-1690년(숙종 16 경오) 향년65세

1648( 인조26 무자) 진사(進士) 1655(효종6 을미) 문과(文科) 영의정(領議政)

肅宗己巳 貴人 張氏生 王子數月 命定元子號 公以少待 正宮 燕禖之慶

獻議 忤旨 謫 長鬐 庚午 10월 12 일 憂國成疾而卒

------------------------------------------------

국역

숙종시대 기사년(1689년)에 귀인 장씨( 1659-1701)가 낳은 왕자< 윤(昀) 景宗1688(숙종 14)~1724(경종 4).>를 두 달 후

원자의 명호를 정하라고 명하였다. 공은 잠시 기다리면 정궁<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閔氏; 1667-1701) 에게서 왕자를 낳는 경사가 있을 것이라고 임금에게 의견을 드렸으나 임금의 뜻을 거역한다고 하여 경상도 장기로 귀양을 보냈다. 경오년 (1690 년 숙종 16 년) 10 월 12 일에 나라를 근심하는 것이 병이 되어 돌아가셨다.

-----------------------------------------------------------------

貴人 張氏 장희빈(張禧嬪)

燕禖之慶‘매(禖)’는 자식을 원하는 제사로서, 연매란 제비가 날아오는 날에 지내는 제사임. 매(禖)는 아들을 기구(祈求)하는 것이고, 연(燕)은 양(陽)을 가려서 임신하여 아들을 낳는 것이니, 따라서 제비가 오는 날에 이를 행하는 것을 말함 아들을 낳는 경사.

獻議윗사람이나 상급 기관에) 의견을 드림. 忤旨임금의 뜻을 거역함

--------------------------------------------------

有集 退憂堂集 甲戌 復官

文翼 忠信接禮 曰 思慮深遠 曰

부인 정경부인(貞敬夫人) 남원윤씨 (南原尹氏)

1626년(인조4 병인)- 1706년(숙종32 병술) 9 월 6 일

목사(牧使) 형각(衡角) 승지(承旨) 길(日+吉)

증조 증참판(贈叅判) 민신(民新) 외조 서윤(庶尹) 윤흡(尹熻)본 파평(坡平)

산소 長湍公兆左第 三麓 壬坐合窆

從子 昌翕撰 表石陰記 從子 昌協撰 海昌尉 吳泰周書

1691년(숙종 17 신미) 1월에 栗北의 부친 묘소 아래에 장사 지내고,

9 월에 金村에 改葬하다

壬坐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현재 퇴우당 산소는 장단부사 상관 조상님의 오른쪽 동쪽 방향 돌누께 마을 오른쪽에 계시다.

자녀: 1 남 5 녀

昌說 女1 洪澤普(남양인) 女2 宋光涑(여산인) 女3 李喜朝(연안인) 女4 李晩成(우봉인) 女5 李聖佐(경주인)

昌說- 元- 重- 毅- 觀- 恒- 殷- 鳳- 渭- 耆- 翼東< 1947 년 정해생>

---------------------------------------------------- ----------------------------------------

 

 15세  장단부사 상관 산소

돌누께 마을 오른쪽 뒤의 산소-- 오른쪽 숲으로 가면 퇴우당 선조님 산소 ------------------

 

 

 

 

                                     부사공파 (府使公派)---- 壬寅譜

                                      김 상관(金尙寬)

자 중율(仲栗) 호 금시재(今是齋)

1566년(명종 21병인)1월 9 일-1621년(광해군 13신유) 5 월 12 일

향년 56 세

음 장단부사(蔭長湍府使) 증좌찬성(贈左贊成)

부인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의령남씨 (宜寧南氏)

1564년(명종19 갑자)- 1600년. 1660년(경자)10 월 19 일

부사직(副司直)응정(應井) 교위(校尉) 세 (世) 증조 군우(郡宇) 증 참판(贈叅判) 변(抃) 외조 정광형(鄭光亨) 본 하동(河東)

※※ 부인의 돌아가신 해에 대한 의문점-------------------------

경자 년은 1600 년과 1660년이다 1600 년은 37세 1660년은 97세

부인께서 남편분과 비슷한 시기에 돌아가셨다면은 1620년 경신 1624 갑자년- 경자년은 혹시 갑자년의 오기가 아닐까 하는 문제.

1660년 경자년 까지를 사셨다면은 5 남중 마지막 아드님의 출생 연대가 1674년 갑인년이 되어 맞지 않는다. 5 남 4 녀를 두신 것으로 보아 또 다른 부인이 있으셨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경자년은 1624 년 갑자년의 오기이고, 첫 부인께서는 1564년-1624년 까지 사신 것 같고, 또 다른 부인이 있으신 것 같다.

족보에 이런 기록이 많은 것은 대단히 안타까운 일이다.

산소 楊州東金村 艮坐 合窆 表石陰記 弟 尙憲

艮坐 동북 방향을 등진 자리이다

자녀 5 남 4 녀

光爀 光燦( 출 숙부 尙憲) 光㸁 光熵 光炓( 1674년 출생)

女 鄭弘澤(연안인) 女 柳時定(진주인)

女 李時老(청해인) 女 李時陽(함평인)

---------------------------------------------------------------------------------------------

< 조선 왕조 실록의 기록 인용> 金 尙寬 -------------------------

 

1.1599년 (宣祖 32年 己亥 ) 8月 28日(甲辰)

此亦令曾下去本曹正郞金尙寬, 收査船運, 以送宜當

이 또한 앞서 내려간 본조의 정랑 김상관(金尙寬)으로 하여금 조사해 거두어 선운(船運)으로 보내게 하는 것이 마땅하겠습니다.

------------------------------------------------------------

正郞 육조(六曹)의 정5품(正五品) 벼슬 낭중(郎中), 직랑(直郞)으로 바뀜

명(明)나라 군대에 군량을 조달,

2. 1604년(宣祖 37年 甲辰 ) 3月 25日(乙亥)

金尙寬爲戶曹正郞, 김상관(金尙寬)(을 호조 정랑으로 삼았다.

戶曹正郞 지관(地官)·지부(地部)·탁지부(度支部)라고도 한다. 호구(戶口)·공부(貢賦)·전곡(田穀)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했다 明)나라 군대에 군량을 조달하였다.

---------------------------------------------------------------

 

3.1607년 (宣祖 40年 丁未 ) 1月 5日(己巳)

金尙寬爲珍山郡守 김상관(金尙寬)을 진산 군수(珍山郡守)로 삼았다.

진산(珍山)은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속해있는 지명 1412 년 진산으로 불림

----------------------------------------------

4.1607년 (宣祖 40年 丁未) 2月 29日(壬戌)

憲府啓曰: “除拜之政, 至嚴至重。 一時人材, 不爲不足, 而京官之補外者, 輒以本局啓辭, 旋拜旋遞。 頃日金尙寬珍山之遞, 物議頗以爲未便矣

헌부가 아뢰기를,

“관직을 제수하는 정사가 더없이 엄하고 중합니다. 그런데 일시의 인재가 부족하지도 않은데, 경관(京官)이 외직으로 임명되면 곧 본국(本局)에서 계사를 올려 제수되자마자 곧 체차되곤 합니다. 지난번 김상관(金尙寬)을 진산(珍山)에서 체차시켰을 때에도 물의가 퍽 온당치 못하게 여겼습니다.

------------------------------------------------------------------

 

체차 [遞次] 관리의 임기가 차거나 부적당할 때 다른 사람으로 바꾸는 일을 이르던 말

 

5.1608년(宣祖 41年 戊申 ) 1月 18日(丙午)

憲府啓曰淮陽府使金尙寬判官僉正, 未滿一朔, 遽陞三品,

官爵猥濫, 莫此爲甚。 請命改正。

회양 부사(淮陽府使) 김상관(金尙寬)은 판관에서 첨정(僉正)에 오른 지 1개월도 되지 않아 갑자기 3품에 올랐으니 관작의 외람이 이보다 심한 것이 없습니다. 개정하라 명하소서.

----------------------------------------------------------------

司憲府상대(霜臺)·오대(烏臺)·백부(栢府)라고도 한다의정부·6조·승정원·홍문관·사간원 등과 함께 정치의 핵심기관으로서정사(政事)를 논의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여 그 책임을 규탄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判官심판관재판관.조선시대 종오품(從五品) 경관직으로

僉正조선 시대에, 각 관아의 낭청에 속한 종사품 벼슬. 돈령부, 봉상시, 종부시, 사옹원, 내의원, 상의원, 사복시 따위에 두었다.

府使조선 시대에 둔 대도호부사와 도호부사를 통틀어 이르던 말.

고려시대 지방행정구역인 부(府)의 장관 행정실무를 담당하였고5품 이상으로

-----------------------------------------------------

6. 1609년(光海 1年 己酉 ) 8月 20日(戊辰)

 

金尙寬爲長湍府使, 김상관(金尙寬)을 장단 부사(長湍府使)로 삼았다.

---------------------------------------------------

長湍 경기도 장단군에 있는 한 읍. 군청 소재지이다

 

7.1613년(光海 5年 癸丑) 6月 21日(戊申)

府啓: “長湍府使金尙寬之子, 卽延安府使金尙憲之繼後子, 與金琜爲婚。 當此討逆之日, 尙保官爵, 物情莫不駭異。 請竝命罷職。

의금부가 아뢰기를,

“장단 부사(長湍府使) 김상관(金尙寬)의 아들은 즉 연안 부사(延安府使) 김상헌(金尙憲)의 양자인데 김래와 혼인하였습니다. 역적을 토벌하는 이때를 당하여 아직까지 관작을 그대로 지니고 있으므로 사람들이 너나없이 이상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모두 파직하라 명하소서.

------------------------------------------------------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사법기관이다. 별칭 금오(金吾) 또는 왕부(王府). 왕명을 받들어 추국(推鞫)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오늘날의 대법원에 해당한다.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의금부(義禁府)에서 특지(特旨)에 의(依)하여 중죄인(重罪人)을 잡아다가 국문(鞠問)함

延安 황해도에 있는 읍. 연백평야의 중심지

金尙憲之 繼後子--- 상관의 둘째 아들 김광찬(金光燦, 1597~1668)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사회(思晦). 호는 운수거사(雲水居士).장단부사 증좌찬성 金尙寬의 아들이었으나 삼촌인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양자로 입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