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교수님 교실/정민 교수 漢詩의 멋

윤순(尹淳)의 섣달(臘月 ) -봄기운 정민 교수님의 시 평설

백촌거사 2013. 1. 2. 13:53

 

 

윤순(尹淳, 1680-1741)의〈섣달(臘月)〉

                    봄기운

섣달 맑은 강굽이에

찬 매화 한 그루 피었네.

따스함 이로 조차 나와서

온 세상 봄기운 돌아오리.

 

臘月淸江曲 寒梅一樹開

납월청강곡 한매일수개

陽和從此達 春氣滿天廻

양화종차달 춘기만천회

---------------------------------------------------------------------

정민 교수의 감상 평설

찬 겨울 맑은 강 한 구비가 굽어 돌아간다.

빈 하늘에 강물 빛이 더 파랗다.

강가에 홍매(紅梅) 한 그루가 환하게 꽃을 피웠다. 대지는 어디에 더운 기운을 숨겨 두었다가 매화나무 가지 끝마다 등불을 달아 놓았나.

이제 저 꽃등불을 시작으로 얼었던 대지는 제 살을 풀고, 땅 속에 숨죽이고 있던 목숨들이 차차 기지개를 켜며 얼굴들을 내밀겠지.

지금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기적 같은 일들이

순식간에 벌어져 여기저기 폭죽 터지듯 생명을 예찬하겠지.

 

 

 

< 흰마을 학습노트>-------------------------------------------------------------------------------------------------------

-5 언의 시를 3 음보의 리듬으로 표현

< 기구>: 2-1-2< 승구>:2-2-1< 전구>:2-2-1< 결구>:2-2-1

臘月/淸/江曲 寒梅/一樹/開 陽和/從此/達 春氣/滿天/廻

<내용 이해>

< 기구> 맑은 강의 섣달- 배경 < 승구> 매화의 개화-소재

< 전구> 매화에의 느낌- 따스함 < 결구> 봄기운의 도래

추운 겨울 속에 따스함을 보내주는 매화꽃을 통해 봄기운을 느끼고 있다.

< 시어 이해>

江曲: 강굽이, 굽어진 강 臘月:음력 섣달 臘雪水; 납일의 전후에 온 눈의 녹은 물, 臘八:음력 12 월 8 일 오미 죽을 먹고 길상을 빎. 臘日 =臘平 동지 후 제 3의 술일

陽和:봄기운이 화창한 것 春氣: 봄을 느끼게 해 주는 기운. 봄날의 화 창한 기운

✳ 긴 강 굽이굽이 평사(平沙)를 감도는데 / 長江曲曲繞平沙

✳ 깊고 그윽한 청강의 굽이로세 / 窈窕淸江曲

✳ 깃발이 강굽이를 좇아갔고 / 羽旄遵江曲

 

 

✳ 따뜻한 봄기운을 완전히 되찾으리니 / 陽和定全復

✳ 화창한 계절은 삼춘의 저물녘에 속하였고 / 陽和政屬三春晩

✳ 화창한 봄 기운 원근에 두루 퍼지니 / 陽和鋪遠邇

✳ 봄기운에 환희하는 만물의 모습이여 / 群物煕春氣

✳ 새해 되어 봄기운 일어나건만 / 獻歲發春氣

✳ 새봄 기운 따사롭고 / 春氣肆和

✳ 강변의 봄기운은 연기인지 아닌지 / 江邊春氣煙非煙

<고전 번역원 자료인용>

 

---------------------------------------------------------------------------------

윤 순(尹淳) 英祖 17年(1741 辛酉 ) 3月 27日(壬辰)

○ 平安監司尹淳卒。 淳恬雅能文辭, 以筆法名於世, 人多效法。

至是巡到碧潼而卒。< 조선 왕조 실록 인용>염아 [恬雅]욕심이 없고 얌전함.

평안 감사 윤순(尹淳)이 졸(卒)하였다. 윤순은 마음이 깨끗하고 단아하여 문사(文辭)에 능하였으며, 필법(筆法)으로 세상에 이름이 나서 사람들이 그의 필법을 본받는 이가 많았다. 이때에 이르러 순시(巡視)하던 도중 벽동(碧潼)< 평북>에 도착하여 졸하였다.

------------------------------------------------------------

본관: 해평(海平). 자는 중화(仲和), 호는 백하(白下)·학음(鶴陰)·나계(蘿 溪)·만옹(漫翁).두수(斗壽)의 5대손. 1723년(경종 3) 응교로 사은사의 서장 관(書狀官)이 되어 청(淸)나라에 다녀왔음.

양명학<陽明學>의 태두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이다.

---------------------------------------------------------------------------------------------------------------

 

 

   문 봉선 님의 매화 전시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