浮石寺記
<부석사기>
오두인(吳斗寅) 1624(인조 2)∼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원징(元徵), 호는 양곡(陽谷). 시호는 충정(忠貞
영의정에 추증, 파주의 풍계사(豊溪祠), 광주(光州)의 의열사(義烈祠), 양성(陽城: 경기도 안성)의 덕봉서원(德峰書院), 의성(義城)의 충렬사(忠烈祠)에 제향. 저서 《양곡집》
지은이: 오두인
옮긴이: 안동. 김백촌 < 청음. 문곡 후손. 서윤공파>
--------------------------------------------------------------------------------------------------
1.遊淸凉之越二日。來宿于鳳城。侵晨而發。歷過于杜谷洪 處士之家。
太山之中。只有兩三荒村。而蕭然草堂。
景像淸閒。眞所謂碩人之寬也。
----------------------------------------------------------
국역
청량에서 이틀을 넘겨 놀고 봉성에 와서 잠자고 새벽에 출발하여 두곡 홍처사 집을 거쳐 지나다.
태산 가운데 다만 양쪽에 황폐하여 적막하고 쓸쓸한 마을 세 개가 있었는데 외롭고 쓸쓸한 초가집이었다.
자연경치의 모습이 맑고 한가하여 정말로 이른바 현인들의 마음이 넉넉한 것처럼 너그러웠다.
景像: 萬象과 같은 의미인지 탐색 중
------------------------------------------------------------
2.自是行數十里。至于權村。則前有一巖狀如島嶼。引水爲 池。環其四面。玲瓏畵閣。翼然其上。此卽 故貳相 權公橃之別墅。而亭以靑巖爲名者也。
停驂而上。 鳳城 宰 朴君來 待於此矣。遂與朴君並轡而北。過三十里許。到 浮石寺。
-------------------------------------------------------------
국역
이로부터 수십 리의 거리를 가서 <권촌> 마을에 이르니, 앞에는 모양이 크고 작은 섬과 같은 바위가 있었다. 물을 끌어들여 연못이 되고, 사면의 둘레에는 눈부시게 찬란한 화려한 집이 그 위에 날아갈 듯하였다. 이것은 곧 돌아가신 이상 권 공벌의 별장이었는데 정자는 청암이라고 이름 지었다.
수레를 멈추고 봉성에 오르니 재상 박 군이 와서 여기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드디어 박 군과 함께 말고삐를 잡고 북쪽으로 가 30리쯤을 지나 부석사에 이르렀다.
---------------------------------------------------------------
3.寺在太白之下流。而肇於新羅者也。由天王門。登梵鐘閣。龜城太守沈君,安奇督郵安君及其季進士君。亦先我而來。盖約於曩日者也。
------------------------------------------
국역
부석사는 태백산의 아래쪽에 있는데 신라시대에 처음 세운 것이다. 천왕문으로부터 범종각에 올랐다. 귀성태수 심군,
안기독우 안 군과 그 막내 진사 군은 또한 나보다 먼저 왔는데, 대체로 그 전날에 약속을 한 것이다.
安奇督郵: 탐색 중 安奇 지명.안동부 부내면의 지역督郵보좌관
-------------------------------------------------------------------------------------
4.庭之北有一古刹。揭以無量壽殿。
世傳恭愍王之筆云。携數君子。北出安養門。
轉登 聚遠樓。斯樓也 前臨大地。極目諸天。
縹緲羣山。皆朝於此矣。
-------------------------------------------
국역
뜰의 북쪽으로 하나의 오랜 절이 있는데, 무량수전이라고 편액이 걸려 있었다. 이 세상에 전해지기로는 고려 공민왕의 글씨라고 일러지고 있다.
여러 명의 군자들을 데리고 북쪽을 나와 안양문에서 다시 취원루에 올랐다. 이 취원루는 앞쪽에 대지가 임하여 있고, 온 하늘이 시야에 가득하고 온산이 아스라하였다. 모두가 여기에서 아침이었다.
----------------------------------------------------------------------------
---------------------------------------------------------------------------
5.肩輿而行數十步。至祖師殿。
中有新羅法僧義相之像。盖此僧主創此寺者。
輿地志所載新羅文武王十一年。遣國師義相。
立寺于太白山者。指此而言也。
-------------------------------------------------------------
국역
어깨에 가마 메고 수십 걸음을 가서 조사전[祖師殿]에 이르렀다. 조사전 안에는 신라의 법승 의상 대사[義湘大師] (625~702)의 상이 있다. 대체로 이 스님이 창건하신 이 절은 여지지에 실린 바로는 ‘신라 문무왕 11년(671년)에 국사 의상을 보내어 太白山(봉황산)에 절을 세웠다.’ 라는 것은 바로 이를 가리켜 한 말이다.
-------------------------------------------------------------
-------------------------------------------------------------------------------------
6.祖師殿外簷楹之間。有一奇樹異乎凡木。
條如柰。枝葉如石榴。四時長靑。春則花黃。
雨露之所不以潤。霜雪之所不能肅者也。
--------------------------------------------
국역
조사전[祖師殿] 밖 처마 기둥 사이에는 보통 나무와 다른 하나의 기이한 나무가 있는데, 가지는 능금나무와 같고, 나뭇가지와 잎은 석류나무 같았다. 일 년 내내 늘 푸르고, 봄이면 꽃이 노랗고, 비와 이슬이 적셔주어도 윤택하지 않고, 눈과 서리가 내리어도 엄숙하지 않은 것이다.
-------------------------------------------------------------
------------------------------------------
7.世不知爲某樹。而以仙妃花名之。
居僧以爲此樹。本義師所杖錫。於其化也。
手揷于玆。因以著根。其葉蓁蓁。故立殿于此云
其樹之傍壁間。有詩曰
擢玉森森倚寺門。僧言卓錫化靈根。
杖頭自有曹溪水。不借乾坤雨露恩。
此乃 退溪 李先生之詩也。
--------------------------------------------------------------
국역
세상 사람들은 아무 나무라 하는 것을 알지 못하지만 선비화 라고 이름 한 것은 거처하는 스님이 이 나무로 심은 것이다. 본래는 의상대사의 지팡이었던 바 그것이 변한 것이다. 여기에 손으로 꽂아 이로 인하여 뿌리가 드러나고, 그 잎은 무성하였다.
그러므로 祖師殿 앞에 세우고 이에 이르렀다.
그 나무의 곁 벽 사이에 있는 시에서 다음처럼 말하였다.
擢玉森森倚寺門。
탁옥삼삼의사문
僧言卓錫化靈根
승언탁석화령근
杖頭自有曹溪水。
장두자유조계수
不借乾坤雨露恩
불차건곤우로은
-----------------------------------------
시는 더 탐구 중------------------------------
다음처럼 해석하신 분이 계시다.
옥인 양 높이 솟아 절 문에 기대어 섰는데 / 擢玉森森倚寺門
스님은 의상대사 지팡이가 변한 것이라고 하네 / 僧言卓錫化靈根
지팡이 머리에 응당 조계수(曹溪水) 있어 / 杖頭自有漕溪水
천지간 우로(雨露) 은택 빌리지 않으리라 / 不借乾坤雨露恩
擢玉亭亭倚寺門 옥(玉) 같이 빼어난 줄기 절 문(門)에 비꼈는데
僧言錫杖化靈根 지팡이가 신령스러운 나무뿌리 되었다 하네
杖頭自有曺溪水 지팡이 끝에 스스로 조계(曺溪)의 물이 있는가
不借乾坤雨露恩 천지간의 비 이슬 없이도 살아 가누나
------------------------------------------------------------------------------------------------------------------
8.日暮而返。至于寺後。有一奇巖高過一丈。
可坐十人。世所謂浮石者。卽指此石也。
欲究其名。問于老釋。釋乃合手而傳曰世傳此石。自新羅浮來于此。故遂創此寺。于以名之云。
-------------------------------------------
국역
해 저물어 돌아와 절 뒤에 이르니, 하나의 기이한 바위가 있는데
높이가 한 길이 넘어 열 사람이 앉을 만하였다.
세상에서 이른바 부석 ( 浮石 )< 뜬 돌 >이라는 것은 곧 이 돌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 이름을 탐구하려고 스님에게 물으니 스님은 곧 합장하면서 전하여 말하기를 세상에서 전하는 이 돌은 신라시대부터 이곳에 떠 왔다. 그런고로 드디어 이 절을 창건하고 이에 이름이 된 것이라고 이르렀다.
---------------------------------------------------------------------------------
9.浮屠誕說。孰倡而孰傳之。吾不信也。
周覽旣訖。因與諸君子。聯枕于僧堂。
翌朝之歸也。
遂題同遊姓字於應龍之上。
曰榮川郡守沈德祖,奉化縣監朴太素,
安奇察訪安長卿,進士安亨卿,都事吳元徵。
歲辛卯月仲夏。以爲他日識焉。
-----------------------------------------------------------------------------------
국역
부도(덕이 높은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가 태어난 이야기는 누가 부르고 누가 전했는지를 우리들은 믿지 못한다.
두루두루 돌아다니며 자세히 본 뒤 이미 끝나고, 인하여 여러 군자들과 더불어 승당에서 잠을 함께 자고 다음 날 아침에 돌아갈 것이다.
마침내 다음에 같이 유람한 사람들의 이름을 용머리 위에 기록하니 말하자면
영천군수 심덕조, 봉화현감 박태소, 안기찰방 안장경, 진사 안형경, 도사 오원징 등이다.
해는 신묘년 월 중하.(1651 효종2 년) 음력 5 월
다른 날에 자세히 기록할 것이다.
--------------------------------------------------------------------------------------
☛ 크게 오역이 있으면 기탄없이 알려주시기를.
'銘 .贊 .箴. 記의 영역 > 기(記)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락도봉산유기(水落道峰山遊記) (1) | 2022.02.13 |
---|---|
綠意軒記이재(彛齋) 權 敦仁(권돈인)轉記: 자하(紫霞) 신위(申緯) (0) | 2018.07.29 |
박 여량(朴汝樑)의 告由文 ----- 楊根鄕校 (0) | 2015.02.12 |
이 하곤(李夏坤) 의 水月樓記 (수월루기) (0) | 2014.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