㡕은 <앙> 과
<영>으로 읽음
㡕<巾변 9 획 총획수 12 획> <U+3855>---앙
1.<유니코드한자검색시스템>에는 음이 영으로는 나오지 않습니다. 음을 앙으로 읽고 있습니다.
央 <가운데 앙>자의 이형자로 <고전 번역원 이체자 정보 검색>에도 실려 있습니다.
<유니코드한자검색시스템>에는 다음처럼 영어의 표현으로 뜻을 표현했더군요. 이 해석은 중국의 漢典에 나온 것을 옮긴 듯합니다.
㡕앙 (same as 央) sharp; distinct, bright-colored
음이 <영>자로 나오는 글자들입니다. 두 개로 합성이 된 글자는 한글 문서에서는 쓸 수가 없습니다. 말씀하신 <巾 변에 英자>는 나오지 않습니다.
䁐 䊔 偀 媖 愥 楧 渶朠 瑛 蝧 鍈 韺 䭊
(火英)(口英) (示英) (立英) (言英) (香英)
(馬英)
㡕.<巾변 9 획 총획수 12 획>-- 선명한 모양 - 영
2. 지석영 선생님께 편찬하신 자전석요 상(字典釋要 上) 97 쪽에는 다음처럼 음을 영으로 읽고 있습니다.
鮮明貌- 선명한 모양. <자전석요>는 한자 16.298자를 해설해 놓은 자전입니다. 이곳에서만 글자가 나옵니다.
결론적으로 이 글자는 전주 문자로 2 가지의 음으로 쓰이고 있는 글자인 것 같습니다.
지석영 선생의 자전석요 상(字典釋要 )에서
고전 번역원 이체차 검색에서 -------------
<유니코드한자검색시스템>에서
----------------------------------------------------
1. 央의 이체자 .가운데 <앙>-- 한국 고전 번역원과
유니코드한자검색시스템
이 곳에서는 <앙>으로 찾으면 나오지만 <영>으로 찾으면 절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2. 선명한 모양 <영>-- 지석영의 <자전석요>
자전석요는 강희 자전을 바탕으로 한 듯합니다. 자전석요는 국립도서관의 자료에 나옵니다.
《康熙字典·巾部·九》㡕:《類篇》於驚切,音英。鮮明貌。《詩·小雅》旗旐央央
-----------------------------------------------------------
어느 분의 한자어 질문에 대한 필자의 탐구 ---------------------
' 백촌의 낭만 > 문자의 香味'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漢陽 趙氏 趙 學鎭 戶口單子========= 光緖十七年 -----漢城府 (0) | 2015.03.01 |
---|---|
어느 서예가의 포스터에서 海亭 . 밀물 崔珉烈 서예가 (0) | 2014.12.20 |
현종대왕 어서 -- 현종이 누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 편지-- 청주 박물관 (0) | 2013.12.22 |
어느 것이 진짜인가. 왜 글씨가 이리 차이가 나는가. 忙草 인가/胡草인가 (0) | 2013.11.03 |
花津浦 별장에서 본 이승만 전 대통령의 휘호 (0) | 201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