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가문 한시 모음/현주 조찬한 글 모음

조찬한(趙纘韓) 의憶鄕 (억향) 고향 그리워

백촌거사 2016. 1. 25. 20:16

     부천 호수공원에서

 

------------------------------------------------           憶鄕 억향

               고향 그리워

                                    조찬한(趙纘韓)

1572년(선조 5)- 1631년(인조 9) 향년 60세.

자 善述 호 玄洲 본관 漢陽 양절공파 13세조 현주공

문집《현주집》

특기사항 李安訥, 權韠, 任叔英 등과 교유

가계 趙玉 <縣監>- 趙揚庭 <淸州韓氏 韓應星의 女>

趙繼韓1 趙維韓2 趙緯韓3 <玄谷현곡집(玄谷集)>

趙纘韓4 <興陽柳氏 柳溵의 女幸州奇氏 奇大升의 孫>

趙休 <縣監尹元鎤의 女 >

趙備 <校理李植의 女> 李尙弼 <縣監> 洪處大 <知事>

경력

1601년(선조 34)생원시 합격, 1606년 증광문과 병과 급제

성균관 학유. 전적 호조 좌랑, 형조 좌랑

사간원정언 靈巖 郡守 지제교 榮川 郡守. 三道討捕使 .통정대부(通政大夫)

동부승지, 예조 참의. 좌부승지 .동부승지.尙州 牧使 우승지

형조 참의, 승문원 제조 .좌승지. 淮陽 府使 善山 府使

交河 孟谷에 장사

------------------------------------------------------------

 

  도성 서쪽 허름한 집 성긴 울에 의지했고,

동산 뜨락 풀과 꽃에 봄비 내린 그때였지.

천리 의 나그넷길 돌아가지 못하여

옛 둥지 들쑥날쑥 나는 제비 부럽구나.

 

城西破屋倚疏園草庭花春雨

성서파옥의소리 원초정화춘우시

千里客遊歸未得 故巢應燕差

천리객유귀미득 고소응선연차지

운자: 평성 支 籬時池<利 碑 思 治 師>

------------------------------------------

〖 백촌 노트〗

破屋: 무너진 집. 부서진 집. 허름한 집. 낡은 집

무너져 가는 집

조찬한 묘역은 맹공리 ( 일명 맹골 . 탄현면사무소에서는 그냥 축현 1리라고 한다. )

329 번 지방도로를 가다가 전흥교 다리를 건너고 탄현중학교 왼쪽으로 한 1km 정도를 야트막한 고개 두 개를 넘으면 길 오른쪽 멀리 높게 보이는 자리에 현주님의 무덤이 있다. 아마 이 근처가 현주님이 사시던 고향 땅이리라.

城西破屋

풍고 城西破屋連芳草。身外殘書一綠函

• 怪底驪珠袖有光。城西破屋內家香

• 蕭瑟秋風漸剝陽。城西破屋雨床床

破屋 시어가 든 안동가문의 글에서 ---------------------------------------

선원 荒涼破屋洛城中 破屋洛城裏

破屋林泉過客悲 林泉破屋今無主 破屋寂寞南山側

청음 破屋依坰風穿雪擁兮。

문곡 破屋凄風入 城南破屋今蕪沒

 

삼연 黃花破屋逢琴叟。紅葉疎鐘到梵宮

存日玉川惟破屋。沒來貞曜諡無人

獨伴龜床支破屋。終諧鳳瑟及窮泉

破屋寒廚空一簞。雨中裹飯更誰是

노가재 數間破屋山城下。虛老淸時慷慨人。

미호 破屋文章驚兩眸 미호

[주D-001]파옥(破屋) : 김정후(金靜厚, 1576~1640)로,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사외(士畏), 호는 동리산인(東籬散人)ㆍ파옥진인(破屋陳人)이다. 보령(保寧)ㆍ예안ㆍ옹진(甕津)의 현감을 거쳐 전적, 직강을 역임하고 공조와 예조의 낭관을 지냈다. 김육(金堉)의 《국역 잠곡유고》 제12권에 묘갈명이 실려 있다.

 

풍고 破屋積冰雪。僵臥問何如 城西破屋連芳草

대산 石陵子旣廢。得破屋於渼水之上

玉川破屋空秋草。杜母芳名只短碑

죽소 重尋谷口夕陽時。破屋依然傍水湄

수북 破屋生涯類玉川。安貧不獨守吾玄

牽蘿餘破屋。拾橡半窮林 上東門高晩雪飛。破屋荒垣誰復過

모주 破屋隱老栢。寂寞雲長祠

신겸 江濤撼破屋。燈火照深竹

봉록 破屋依山麓。秋高意若何

萬象極蕭瑟。破屋背孤城

孤墳連草沒。破屋帶烟昏

時淸肯學窮途哭。破屋詩書坐更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