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문집 숨결/<潛齋稿> 日進 金益謙

潛齋詩稿序 잠재시고서 1.홍낙인(洪樂仁) 2. 김익겸 (金益謙) 국역. 여량 선생.

백촌거사 2019. 2. 3. 12:52

 

 

 

 

 

충주에 거주하시는 여량 님께서 보내주신 귀중한 자료.

----------------------------------------------------------------------------------------------------------------

            潛齋詩稿

            잠재시고

 

------------------------------------------------------------------------------------------------------------------

글쓴이

 

1.홍낙인(洪樂仁)

* 홍낙인(洪樂仁, 1729~1777) :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대유(大囿), 호는 안와(安窩). 홍중기(洪重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홍현보(洪鉉輔)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홍봉한(洪鳳漢)이며, 어머니는 이집(李潗)의 딸이다. 혜경궁 홍씨의 오라버니이다. 1761년(영조 37)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교리를 거쳐, 1763년 통신사의 종사관으로 뽑혔으나 통신사가 고모부인 조엄(趙曮)으로 교체되면서 친혐으로 종사관도 김상익(金相翊)으로 교체되었다. 그 뒤 보덕·예조참의·좌부승지·대사성·전라도관찰사·대사헌을 역임, 1773년 도승지, 이어 지돈녕부사를 거쳐 1775년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1777년(정조 1) 6월 장봉 만호(長峰萬戶)에 보임되었다가 같은 달에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는 『안와유고(安窩遺稿)』가 있다.

1729년(영조 5 己酉)- 1777년(정조 1丁酉) 향년 49세

자 대유(大囿) 호 안와(安窩) 본관 풍산(豐山)

문집 안와유고(安窩遺稿)

노명흠(盧命欽), 이덕남(李德楠), 정내교(鄭來僑) 등과 교유

 

2. 김익겸 (金益謙)

1701(숙종 27 辛巳)-1747(영조 23 丁卯) 10.7 향년 47세

자 일진(日進) 호 잠재(潛齋) 본관 신안동(新安東) 문집 잠재고(潛齋稿)

1735 년 진사(進士) 상의별제(尙衣別提) 증(贈) 사복정(司僕正)

안동(安東) 문정공파(文正公派) 청음(淸陰)손자 곡운(谷雲)손자.

 

1.<<農巖。詩三淵>>-------------------------------------------------------------------------------

近世文章。在文農巖。在詩三淵。操觚之士

聞農淵之風者。庶幾作家之矩。外此而爲文者。高則失於僻異 低則流於膚率。皆未能造奧而臻妙。是其故孤陋使然也。<安窩遺稿>

.......................................................................................................................

近世文章。在文農巖。在詩三淵。操觚之士

聞農淵之風者。庶幾作家之矩。外此而爲文者。高則失於僻異。低則流於膚率。皆未能造奧而臻妙。是其故孤陋使然也。<潛齋詩稿>

❰한자읽기❱

근세문장。재문농암。재시삼연。조고지사

문농연지풍자。서기작가지구。외차이위문자。고칙실어벽이。저칙류어부솔。개미능조오이진묘。시기고고루사연야

<국역>-----------------------------------------------------------------------------------

 

근래의 문장은 글에 있어서는 농암 선생이 독보적이고 시에 있어서는 삼연 선생이 독보적이니 문장과 시를 잘 짓는 선비라고 할 수 있다. 농암 선생과 삼연 선생의 문장을 짓는 풍격(風格)을 보면 글을 짓는 이들에게는 모범이 될 만하다.

이를 벗어난 글짓기란 고상한 문장을 짓는 이들의 풍격은 현실과 동떨어지고 괴이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저속한 문장을 짓는 이들은 풍격이 피상적이다. 모두 문장의 깊은 맛과 신묘함을 드러내지 못하게 된다. 이는 고루한 문장을 답습하기에 그러한 것이다. < 충주 여량 선생 국역>

---------------------------------------------------------------------------------------------------------------------------------

2016년부터 <潛齋稿> 원본을 소유하고 계신 <충주의 여량 선생님> 깊이 고맙습니다.

그리고 최초로 潛齋. 日進 諱 金益謙 제 가문의 선조님의 글을  학술논문으로 발표해주신 

대전대학에 계신 朴贊洙 교수 님의 깊은 노고에도 무한한 고마움을 전합니다.

.............................................................................................................................................................................................

 

http://blog.daum.net/taopia1/1414 日新 不二堂

 

 

 

 

【 이해 노트】----------------------------------------------------------

近世<근:세>: 중세와 현대의 중간시대. 광의로는 근대 협의로는 현대와 구별해 그 이전의 한 시기

 근세: 조선건국1392 -조선 순종 4 1910

近來 요전부터 이제까지의 가까운 얼마 동안 近日

近代 지난 지 얼마 되지 않는 가까운 시대.

近世文章

⦁近世文章愈新巧而愈淺漓 새롭고 기교를 부린 것일수록 경박하다

⦁國朝近世文章。最推谿谷澤堂爲作家우리나라 근대의 문장가로는 계곡(谿谷 장유(張維))과 택당 (澤堂 이식(李植))을 가장 뛰어난 작가로 꼽는다

⦁近世文章則旁門盛而正脉微

在文 =(唯 =維)<農巖>글에 있어서는 농암 선생이 독보적이다.

 

在文<農巖>: 하나뿐의 표현이다.惟는 唯 維 등으로 표현할 수가 있다.

글에 있어서는 농암 선생이 독보적이다.

 

農巖

* 농암(農巖) : 김창협(金昌協, 1651-1708)을 말함.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삼주(三洲).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증손자이고, 영의정을 지낸 창집(昌集)의 아우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다.< 여량 선생자료인용>

 

 

在詩惟<三淵>시에 있어서는 삼연 선생이 독보적이다.

三淵

* 삼연(三淵) :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을 말함.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익(子益), 호는 삼연(三淵).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증손자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다.

< 여량 선생자료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