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문집 숨결/<潛齋稿> 日進 金益謙

沁州 拄笏堂 주홀당 趙正而韻-- 김익겸. 잠재고

백촌거사 2019. 5. 25. 10:59






--------------------------------------------------------------------

沁州 拄笏堂 次 趙正而

심주 주홀당 次 조정이

강화 주홀당에서

조 정만 시의 운에 차운하다.

-------------------------------------------------------------

글쓴이:

김 익겸(金益謙)

1701년(숙종27 신사)-1747년(영조23 정묘) 10월 7일

자 일진(日進) 호 잠재(潛齋) 문집 잠재고(潛齋稿)

1735년 進士 尙衣 別提 증 司僕正

부인: 창원 황씨( 부 都正 世耈)

후배: 전주 이씨 1708-1775 7.27( 부 좌상 觀命)

문정공(상헌)파: 광찬 (光燦) -수증 (壽增)- 창국 (昌國)

 

조정만(趙正萬)

1656년(효종 7)- 1739년(영조 15)

자 신상(申祥), 정이(定而)

호 오재(寤齋) 본관 임천(林川) 시호 효정(孝貞)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김창흡(金昌翕), 이희조(李喜朝), 교유

▴숙종 10 1684 尤庵 宋時烈이 청풍계 太古亭에서 연 강회에 金昌協 형제 등과 참석하다.

▴숙종 38 1712 金昌翕이 ‘寤齋’라 호를 지어 주다.

▴8월, 仁川 五鳳山에 장사 지내다 남동구 도림동산46-3

잠재 선조님은 자를 正而라고 하셨다.

-----------------------------------------------

기일 (其一)

조각배엔 고향 뜰의 꽃들이 떨어졌고,

바다제비 쌍쌍 나는 섬에는 해 기우네.

베갯머리 바람 물결 오히려 귀 시끄러워

어긋난 한가한 꿈 귀향길에 고생 되다.

扁舟已落故園 海燕雙飛島日

枕上風濤猶聒耳 差池閒夢阻還

평기식 六麻 平聲운 <花 斜家>

평수운: 측평측측측평 측측평평측측

                  측측평평평측측 평평평측측평

---------------------------------------------------------------

 

기이 (其二)

바다 비 자욱하고 나무그늘 가지런해

낮잠에서 막 깨니 꾀꼬리 울고 있네.

저 멀리 한양에서 사신은 오지 않고

그림누각 동쪽 가 방죽엔 물이 붇네.

海雨溟濛樹陰 午眠初醒一鸎

迢迢京洛無來使 畫閣東邊水漲

측기식 八齊 平聲 운齊啼堤

---------------------------------------------------------------

기이 (其三)

뜰 배나무 하루에 몇 번이나 올랐던가.

지금에는 사람이 나무함께 배회하네.

봄이 간 뒤 다만 남은 흰 꽃들의 향기가

때때로 바람 따라 얼굴에 스쳐오다.

憶上庭梨日幾 於今人與樹同

秖殘香雪春歸後 故故隨風撲面

억상정리일기 어금인여수동

지잔향설춘귀후 고고수풍박면

측기식 十灰 平聲운 回裴來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