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34

김 귀주(金龜柱) 의<芙蓉 꽃을 따다>

------------------------------------------------------------------ 김 귀주(金龜柱) 1740년(영조 16)-1786년(정조 10) 자여범(汝範)호가암(可庵), 농아자(聾啞子) 본관경주(慶州) 문집 可庵遺稿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 부 金漢耉 鰲興府院君 ---------------------------------------------- 굽은 길 산을 돌아 푸른 산 들어가니 강 하늘의 안개비 옷자락에 스며드네. 마을의 북쪽 남쪽 부녀자들 가련해라 부용꽃을 뜯어내다 얼굴 덮고 돌아가네. 路轉山回入翠微。江天霧雨襲人衣。 노전산회입취미。강천무우습인의。 可憐村北村南女。採罷芙蓉掩面歸。 가련촌북촌남녀。채파부용엄면귀。 ‣五微平聲운 출전:驪江舟中 四首에서 첫수 -..

소유 선생 시화비 - 시흥 관곡지에서

필자는 다음처럼 3음보의 리듬으로 담아 보았다. 풀이 연해 어미 소 송아지 찾고 냇물 깊어 황새가 물고기 쪼네. 푸른 숲 바라봐도 멀지 않으며 정녕코 시골 마을 삶이 좋으리. 草軟牛呼犢 溪深鸛啄魚 靑林望不遠 定有好村居 초연우호독 계심관탁어 청림망불원 정유호촌거 송아지 바야흐로 풀을 씹으며 어미 소는 바야흐로 냇물 마시네. 소치는 애 아무런 일 하나도 없어 갈삿갓 머리 덮고 잠이 들었네. 小犢方含草 大牛方飮川 牧童無一事 蘆笠蓋頭眠 소독방함초 대우방음천 목동무일사 로립개두면 ‣ 5언 율시 六魚平聲운 一先平聲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