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교수님 교실/정민 교수 漢詩의 멋

김 득신(金得臣 의 旅館夜吟 긴밤. 정민 교수 시 해설

백촌거사 2012. 2. 1. 14:56

 

 



 

 

   旅館夜吟 여관야음〈여관에서 밤중에 읊다〉-------

 

 

                    긴 밤

                                          김 득신(金得臣 1604-1648)

                                                 자 子公 柏谷, 龜石山人 본관 安東

 

긴 밤 앉아서 잠 못 이루니

서리 기운이 갈옷을 뚫네.

종 재촉하여 안장을 얹자

달은 떠지고 별빛 희미해.

 

                                                    永夜坐不寐 霜威透褐衣

                                                    영야좌불매 상위투갈의

                                                    呼僮催鞴馬 月落衆星微

                                                    호동최천마 월락중성미

정민 교수 감상 평설】 --------------------------------

여관 찬 구들에서 하루 밤 묵었다. 소매 끝을 파고드는

한기로 밤새 잠 한 숨 자지 못했다.

여기서 벌벌 떠느니, 차라리 길 위에서 떠는 게 낫겠다 싶어, 웅크려 잠든 하인 녀석을 깨워 길 떠날 채비를 재촉한다. 오싹한 추위에 진저리를 치며 밖을 내다보니 달은 벌써 서편에 기울었고, 새벽이 가까웠는지 하늘 위 별빛도 겨울 하늘에 창백하다. 가도 가도 길은 끝이 없고, 세상길엔 매서운 추위뿐이로구나.

             2012-02-01 07:35:18 각시붓꽃. 정민 교수 홈페이지 인용

-----------------------------------------------------------------------------------------

< 흰마을 공부교실>------------------------------------------------

내용 이해

<1 행 2행.>- 여관방에서의 모습-- 찬 추위에 떠는 모습

<3 행.4행>- 여관방을 떠남. 하인 재촉. 밤새도록 추위에 걸어감.

 

霜威 서리가 내려 냉기가 매서움. 위엄 있는 기세. 매서운 추위.

褐衣 굵은 베옷. 가난한 선비의 풍모. 추위를 견디기 어려운 옷.

거친 모직물로 만든 옷. 천한사람이 입는 옷

 

衆星 많은 별. 새벽녘에 이름. 추위에 떨며 밤새도록 걸어감.

---------------------------------------------------------------------------------------------------------

굵은 베 갈 털옷 갈[본음] 털옷 할

褐博 거친 베로 지은 천한 사람이 입는 옷 전하여 천한 사람

褐夫 褐父 거친 베로 지은 옷을 입은 천한 사람 褐色 적황색에 검은 빛이 나는 색

 

구조의 리듬- 5 언 절구의 한시를 23-32로 잣수를 맞춰 2 음보의 리듬으로 번역하셨다.

시는 설명이 아니라 리듬이 있는 음악이다. 필자가 가장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정민 교수님의 이런 리듬들이다.

 한문학자이신 손종섭 어르신의 번역시에도 이런 리듬이 깃들어 있어 한시를 읽는 깊은 멋을 느낄 수가 있다.

한자-3-2/2-3/ 3-2/2-3으로 리듬 형성

국어-23-23/23-32/14-32/23-23

----------------------------------------------------------------------------------------------------------------

★참고로 손 종섭 님의 시 하나를 옮겨 본다. 金 得臣의 시다.

                                                   < 옛 시정을 더듬어 443쪽 인용>

湖西踏盡向秦關。 호서 땅 두루 밟아 회정에 들 제

長路行行不暫閑。 긴긴 旅路 잠시도 한가치 않아

驢背睡餘開眼見。 나귀등의 말뚝잠 퍼뜩 떠 보니

暮雲殘雪是何山    저녁 구름 남은 눈이 어느 산고?

                                                         < 湖行絶句>

이런 책을 추천해 주신 교수님께 늘 고맙다.

-----------------------------------------------------------------------------------------------------------

1. 柏谷 김득신(金得臣) 은 晉州戰鬪 의 영웅 忠武公 김시민金時敏<1554년(명종 9)∼1592년(선조 25)> 의 손자이시다.

책읽기에 힘쓴 독서광으로 특히 〈백이전〉을 가장 좋아하여 1억 1만 3,000번이나 읽어 자신의 서재를 '억만재'(億萬齋)라 이름을 짓기도 했다고 한다.

 

 

2. 詩에 힘써 23 세에 澤堂 李植에게 인정을 받자 그 후로 文名을 크게 떨치었다.

영감과 직관을 통해 자연의 생명을 조화롭게 읊은 시가 으뜸이라고 했으며, 시를 짓는 어려움보다는 시에 대한 제대로의 평가가 어렵다고 하면서 시를 입신양명의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고 비평을 하기도 하였다.

 

그의 시가 표현의 사실적인 묘사에 중점을 두어 ‘寫景逼眞’의 정신을 강조해 왔으며 특히 칠언시의 서경시가 뛰어나다고 평가를 하였다. <龍湖>〈龜亭〉<龍山詩>〈木川途中〉<雨後淸江> 등의 시들이 대표작품으로 알려지고 있다.

 

 

3. 1642년< 39 세> 사마진사시(司馬進士試)에 합격하였고, 42세에 숙녕전<肅寧殿의 참봉 <參奉>이 되었으나 그만두고 오직 학업에만 전념을 하였고, 80세에 가선<嘉善>에 오르고 안풍군<安豐君>을 습봉<襲封>하였다.

 

선영 근처에 취묵당 <醉默堂>을 짓고 시주<詩酒>로 즐기었는데 특히 구당 박장원<久堂 朴長遠>과 친구로 교유하였다. 병으로 누워 있다가 그 당시의 화적떼의 침입을 받아 졸하였다. <조선 왕조 실록>에서는 사람됨이 우활(迂闊),하다고 평하였다. 즉 세상 물정에는 어둡다라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