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次 彛齋 韻 (차 이재 운)------
김 유근(金逌根 1785년~1840년)
가을 밤
忽見中秋月 如期趁夜凉
한가위의 밝은 달 문득 보노니
어김없이 때 맞춰 밤은 서늘해.
嬋娟出林木 寂歷散巒崗
곱디고운 둥근달 숲에서 나와
고요히 산언덕에 환히 비추고,
竹語風搖珮 荷珠露斂房
대나무 바람소리 패옥 흔들고
연잎의 이슬방울 잎 오므리네.
虫思何處在 時復繞人床
가을벌레 어디서 울고 있는가.
때때로 평상 가를 거듭 맴도네.
凉/崗/房/床--陽자 운율.
-----------------------------------------------------------
※ 필자의 변 ---------------------------------------------
彛齋 權 敦仁 선생님의 시집이 아직은 발견되지 않아 황산 조상님이 화운하신 시의 원시를 볼 수 없음이 크게 안타깝다. 황산유고 문집에는 실려지지 않은 이재의 시가 다수 보여 황산과 이재 사이에 오고 가셨던 각별한 우의를 더듬어 볼 수 있는 것이 커다란 위안이다. 彛齋 權 敦仁 선생님을 연구하시는 많은 분들의 연구 성과를 기다려 본다. 필자는 한문학자가 아니다. 필자의 느낌대로 풀이를 담아 보았다.
---------------------------------------------------------------------------------------
권 돈인 (權 敦仁) -----------------------
1783(정조 7)11월 5일 ~ 1859(철종 10)4월 14일
본관은 안동. 자는 경희(景羲), 호는 이재(彛齋)· 과지초당노인(瓜地草堂老人).· 번상촌장(樊上村庄). 한 수재선생(寒水齋先生)권상하(權尙夏)님의 5 대 손. 시호 문헌(文獻). 유작인 〈세한도 歲寒圖〉가 있고,
소해(小楷)와 행서(行書)에 특히 능(能)하다고 한다.1819년에 書狀官1835년에 진하겸사은정사(進賀兼謝恩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1845년 영의정에 올랐다.
1851년(철종2)에는 철종의 증조인 진종(眞宗)경의군(敬義君)을 추존(追尊)하여 영녕전(永寧殿)에 봉안(奉安)할 때 헌종(憲宗)을 먼저 봉안(奉安)하여야 한다는 주장(主張)을 내세워 파직당하고 순흥으로 유배되었다.
◈다음 사이트를 참고하시기를 ---------------------------------------------------------------------------------------------------
http://roaltlf.blog.me/168273544 이재의 묘역
http://blog.daum.net/inksarang/16878442 이재의 세한도
http://blog.daum.net/gobang53/7168323 이재의 행서
www.hck.cc/htmls/an02_5-34.htm 이재선생 진영
< 다음 사진은 작년 문봉선 작품전에서 본 매화속의 둥근달.>
'황산 유고 초고본 > 계절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 유근(金逌根)의 新竹 신죽1 (0) | 2015.02.22 |
---|---|
김 유근(金逌根)의 蕉葉 (초엽)--파초 잎 < 황산유고 >초고본에서 (0) | 2014.12.14 |
김 유근(金逌根)의 早秋 江行 조추 강행------가을 강 지나며 (0) | 2014.11.29 |
황산 김 유근의 秋日與 海谷‧秋史‧彛齋‧石閒‧ 遊 北漢< 가을 날 북한산 유람> (0) | 2013.01.16 |
김 유근 (金逌根)의 壺舍春晩 <호사춘만>-- 옥호정의 늦봄 (0) | 201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