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가문 한시 모음/한시풀이

최 윤창(崔潤昌)의 立秋後二日拈韵 <입추후 이일 염운>- 입추를 읊다.

백촌거사 2013. 8. 7. 17:35

최 윤창(崔潤昌)의

            立秋後二日拈韵 <입추후 이일 염운>

               입추를 읊다.

------------------------------------------------------------------------------------------------------------------

           立秋後二日拈韵 <입추후 이일 염운>

                 입추를 읊다.

                                                                          최 윤창(崔潤昌)

                                                                                  (1727영조3정미~ ?) 위항시인 (委巷詩人)

                                                                                    자: 회지(晦之) 호: 東溪 시집: 東溪 遺稿

 

三夏困朱暑。蟬聲七月

       한여름 무더위에 기운 지치고,

          매미소리 칠월 되니 비로소 우네.

詩情聊復耳。酒興更何

           시의 정취 애오라지 다시 싹트고

           술의 흥취 또다시 어찌 하리요.

古壁流霞落。衡門俗客

             오랜 벽에 흐르는 노을이 지고

               초가집엔 세속 사람 찾는 이 없네.

盡日茅簷下。獨自卧看

                    종일토록 띳집의 처마아래에

                   혼자서 누워서만 책 읽고 있네.

평성: 魚字 韻

-------------------------------------------------------------------------------------------

한양대학교 鄭珉교수 님.

손 종섭 선생님의 운율의 리듬을 따라 백촌의 졸역이다. 5 언시는 3음보의 리듬으로 4(3) /3(4) /5/ 에 맞추는 것이 우리나라 리듬상 참으로 좋다.

-----------------------------------------------------------------------------------------

 

  아파트 숲에서 바라본 밤나무- 초록 가시 밤송이는 그  어느 날 입을 여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