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妣原州元氏家狀
1)先妣淑人原州元氏 萬曆更子七月初八日生 己卯八月二十二日卒 于京部洞本家. 先君子記略曰 宜人素患腹痛 以謁醫救藥之便 自長城舁疾赴洛中路 孕而不育 厥疾增甚. 來歸女氏部洞之私第八月 至于大疾. 自辛未累服斬齊 繼纏哀酷 凡六七年間 其冠衣純采 朞月者三而已. 無乃以是累宜人之壽歟. 遂以九月克葬 于交河縣甲坐庚向之原 從先塋禮也云云. 其後乙未 伯兄病不能奔喪而逝 又有仲兄之病. 是年冬 有叔人葬地不吉之語 遂改移櫂 葬于白虎之外 自是之後 喪禍連仍 至今三十七歲 尙未克葬.
●先妣淑人原州元氏 萬曆更子七月初八日生 己卯八月二十二日卒 于京部洞本家
先妣: 亡母。 <荀子.大略>:“ 隆率以敬先妣之嗣,若則有常。”
淑人: 정3품 당하관과 종3품 문무관의 처에 대한 爵號.
萬曆: 1573 ~ 1620(明, 神宗). 更子: 서기 1600년. 己卯: 서기 1639년.
本家: 舊指已嫁女的娘家. <後漢書.梁節王暢傳>:“ 臣暢小妻三十七人,其無子者願還本家。”
●以謁醫救藥之便 自長城舁疾赴洛中路
以: 介詞. 在, 於(于). 表示行動的時間 處所或範圍. 柳宗元 <斷刑論>:“ 賞以春夏而刑以秋冬。”
謁: 進見(地位或輩分高的人). <列子.湯問>:“ 越日偃師謁見王。”
救藥: 挽救; 療治。
柳宗元 <亡妻弘農楊氏志>:“ 明年,以謁醫救藥之便,來歸女氏 永寧里之私第。”
便: 指適宜的時期或順便的機會. 漢賈誼 <過秦論>:“ 因利乘便, 宰割天下, 分裂山河。”
舁(여): 攜帶 (bring). <金史>: " 因呼妻子舁金歸之, 鄕里用是重之。
舁疾: 謂有病勉强行事. 晋袁宏 <後漢紀.光武帝紀五>:“ 光不得已,舁疾詣京師。”
中路: 半路.
●孕而不育 厥疾增甚. 來歸女氏部洞之私第八月 至于大疾
不育: 不生育; 不養育. <易,漸>:“ 婦孕不育, 失其道也,”
增: 副詞. 更加(more)。 如: 增傷(更加悲傷); 增欷(更加悲傷).
來歸: 回來; 歸來.
私第: 指舊時官員私人所置的住所。
<後漢書.賈復傳>:“ 復爲人剛毅方直,多大節。既還私第,闔門養威重。”
女氏
<肅宗實錄>:“ 古語云: 奢侈甚於天災。今日此弊極矣。 奢侈之中, 婚姻之費最甚。女家涕出而稱貸以悅壻家; 壻家橫目而責辦於女氏, 此司馬光 朱子之所深戒者。”
<雪月堂先生文集>:“ 婿盛服乘馬。至女氏之門下馬。女尊長出迎婿於門外。揖讓而入。”
至于: 亦作‘至於’。 到; 達到。於,助詞,無義。 <論語·學而>:“ 夫子至於是邦也,必聞其政。”
大疾: 大病; 重病.
●自辛未累服斬齊
辛未: 서기 1631년.
斬齊: 斬衰와 齊衰.
斬衰,喪服名。衷通‘縗’。‘五服’中最重的喪服。用最粗的生麻布制布制做,斷處外露不緝邊,喪服上衣叫‘衰’,因稱‘斬衰’。表示毫不修飾以盡哀痛,服期三年。古代,諸侯爲天子,臣爲君,男子及未嫁女爲父,承重孫(長房長孫)爲祖父,妻妾爲夫,均服斬衷。至明、清,子及未嫁女爲母,承重孫爲祖母。子婦爲姑(婆),也改齊衰三年爲斬衰。女子服斬衰,幷須以生麻束起頭發,梳成喪髻。實際服期約兩年餘,多爲二十五個月除孝。
齊衰,喪服名。齊,下衣的邊。衰通‘縗’。是次于‘斬衰’的喪服。用粗麻布制做,斷處緝邊,因稱‘齊衰’。服期分三年 一年 五月 三月。服齊衰一年,用喪杖,稱‘杖期’,不用喪杖,稱‘不杖期’。周代,父在父母服齊衰杖期,父卒服齊衰三年。唐代,爲母,父在父卒皆齊衰三年;子婦爲姑(婆)亦齊衷三年。至清代,凡夫爲妻,男子爲庶母、爲伯叔父母、爲兄弟及在室姊妹,已嫁女爲父母,孫男女爲祖父母,均服齊衰一年,杖與否,各有規定;重孫男女爲曾祖父母,服齊衰五月;玄孫男女爲高祖父母,且齊衰三月。
●繼纏哀酷
繼纏: 系纏; 糾纏. 뒤얽히다. 뒤엉키다. 얽매임.
哀: 悲痛. 謂居父母之喪.
<宋書>:“ 平生未遠,舉目如昨,而賞對游娛,緬同千載,哀酷纏綿,實增痛切。”
酷: 殘暴; 苛刻(cruel). <晋書.賈皇后傳>:“ 妃性酷虐, 常手鐐數人。”
●凡六七年間 其冠衣純采 朞月者三而已
凡: 凡是, 一切(all). <周禮.春官序>:“ 凡內女之有爵者。”
其冠衣純采
<禮記.曲禮>:“ 爲人子者,父母存,冠衣不純素。孤子當室,冠衣不純采。” 譯文: 做爲人家的子弟,父母在世,冠帽 衣服不用純白。孤子掌管家事,冠衣不用純彩色。
純: 純正, 純粹(simple; pure and simple).
諸葛亮 <出師表>:“ 侍中侍郎郭攸之 費瑋 董允等, 此皆忠臣? 志慮忠純。”
采: 引申為彩色。後寫作‘彩’(color). <孟子.梁惠王上>:“ 抑爲采色不足視於目與? ”
朞: 同‘期’‘期服’的省稱. * 期服: 齊衰爲期一年的喪服.
●無乃以是累宜人之壽歟 遂以九月克葬
無乃: 相當于‘莫非’‘恐怕是’,表示委婉測度的語氣。아마 …일 것이다. 혹시 …이 아닌가.
<論語.雍也>:“ 居敬而行簡,以臨其民,不亦可乎? 居簡而行簡,無乃太簡乎?”
柳宗元 <柳河東集>:“ 上天無祐,故自辛未,逮於兹歲,累服齊斬,繼纏哀酷,(貞元九年五月,公父鎭卒。十二年正月,叔父卒。十一月,叔妣陸氏卒。)其間冠衣純采。(禮曰:孤子當室,冠衣不純采。)期月者,三而已矣。無乃以是累夫人之壽歟?”
累: 拖累; 使受害。如: 累害(拖累損害); 累身(帶累自身).
遂: 副詞. 表示最後的結果, 終于, 到底(after all; in the final). <三國誌.諸葛亮傳>:“ 曹操比於袁紹, 則名微而衆寡, 然操遂能克紹, 以弱爲強者, 非惟天時, 抑亦人謀也。”
以: 介詞. 在, 於. 表示行動的時間 處所或範圍. 柳宗元 <斷刑論>:“ 賞以春夏而刑以秋冬。”
克: 完成. <春秋.宣公八年>:“ 冬十月己丑, 葬我小君敬嬴, 雨, 不克葬. 庚寅, 日中而克葬. ”
●于交河縣甲坐庚向之原 從先塋禮也云云.
庚 <說文>:“ 庚,位西方。”
原: 寬廣平坦之地. <新唐書.突厥傳下>:“ 賀魯先擊原上軍, 三犯, 軍不動. ”
從: 順從; 依從(comply with). <左傳.昭公十一年>:“ 不昭不從。”
先塋: 先人墳塋。 宋範公偁 <過庭錄>:“ 爾何所見,吾正恐愚民致疑,害爾先塋耳。”
禮: 禮儀(ceremony). <史記>:“ 卒廷見相如, 畢禮而歸之。”
●其後乙未伯兄 伯兄病不能奔喪而逝
乙未: 1655년.
奔喪: 從外地趕回去參加或料理親屬的喪事. <禮記>有<奔喪>篇,孔穎達疏:“ 案鄭<目録>云,名曰<奔喪>者,以其居他國,聞喪奔歸之禮。”古代凡聞君 親 尊長之喪,從外地趕往吊唁或料理喪事均稱‘奔喪’。* 料理: 照顧; 照料(돌보다)。
●遂改移櫂 葬于白虎之外… 喪禍連仍
遂: 決斷(make a decision). <漢書.馮奉世傳>:“ 春秋之義亡遂事, 漢家之法有矯制。”
* 亡: 故同‘無’. 遂事: 獨斷專行; 專斷。
改: 副詞. 重新; 再(again). <詩.鄭風.緇衣>:“ 緇衣之好兮, 敝予又改造兮。”
櫂(조): 同‘棹’. 泛指船槳(oar, 노). 借指船. * 移船: 移動船身.
丁若鏞 <茶山詩文集>:“ 拂鞭紅樹裏, 移櫂白雲邊. ”
白虎: 主山에서 오른쪽으로 뻗어 나간 산줄기. 한국의 풍수에는 동서남북을 지키는 四方神이 있는데 백호는 西方을 지키는 신이다. * 外白虎: 풍수지리설에서, 주산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갈려 나간 산줄기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것.
喪禍: 死亡禍亂. 喪亂。
<後漢書.皇後紀上>:“ 自謂感徹天地,當蒙福祚,而喪禍內外,傷痛不絶。”
連仍: 延接不斷.
<退溪先生文集攷證>:“ 蓋是時。恥齋已歿。喪禍連仍。南書中。言其家可憐之狀故云。”
仍: 接續; 連續(continue). <文選.張衡.思玄賦>:“ 夫吉兇之相仍兮。”
큰어머니 원주 元 씨의 일대기
1)큰어머니 원주(原州) 원(元) 씨는 서기 1600년 7월 8일에 태어나 1639년 8월 22일 서울 부동(部洞) 본가에서 돌아가셨다. 선친께서는 대략 이렇게 기록해 두셨다.
“아내는 본디 복통이 있어 의원에게 보이고 치료하려고 병을 안고 장성에서 서울로 가던 도중, 임신 중이었는데 유산해 복통이 더욱 심해졌다. 부동(部洞) 처가에 돌아온 8월에는 중병에 이르렀다.”
“신미년(1631)부터 거푸 어른들의 상을 당하여 뒤엉킨 슬픔이 혹독했고 모두 6-7년 동안 소복했지만 1년 이하는 고작 셋뿐이었다. 아마도 이것이 아내의 수명을 재촉하지 않았겠는가? 끝내 9월 교하현(交河縣) 갑좌(甲坐) 경향(庚向)의 평탄한 곳에 선영의 예식에 따라 장사지냈다.”
그 후 을미년(1655)에 큰형은, 내가 병들어 치상하지도 못했는데 돌아가시고 둘째 형도 병이 들었다. 이 해 겨울, 큰어머니의 장지가 좋지 않다는 말이 있어 다시 방향을 바꿔 백호(白虎) 밖으로 이장하려고 작정했지만, 이 뒤로부터 초상이 연달아 일어나 3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장하지 못했다.
●큰어머니: 저자의 적모(嫡母)를 말한다.
●부동(部洞):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중구 筆洞이다. 다음은 <두산백과>의 표제어‘필동’에 대한 설명이다. “동쪽과 남쪽은 장충동, 서쪽은 예장동 주자동, 북쪽은 충무로와 접한다. 동 이름은 조선시대 이 마을에 남부의 部事務所가 있어 部洞으로 부르다 와전되어 붓골로 바뀌었고, 이 붓골을 한자로 표기해 筆洞이 되었다.”
2)淑人在幼 聰明恭順 無稺兒輕率之事. 長者有命則不違 有禁則不犯. 由是未相逢 長者之疾言遽色. 家人常憂其不壽 盖兒之慧者 多有夭者故也. 及長貞順柔嘉 大有婦德 事上以禮 御下以義 乃得上下之心. 居閒處獨 尙存敬畏之志 若在嚴父之前 罕言笑正顔色. 其自治有儀 須臾無放者 類如此. 小時與小甥 同受學于右尹公 文與筆不讓於甥 論語 小學 內則 孝經 曲禮 及三綱行實烈女傳 諸書無不誦讀.
●無稺兒輕率之事 …… 長者之疾言遽色
稺: 同‘稚’. * 稚兒: 幼兒.
疾言遽色: 言語神色粗暴急躁.
●家人常憂其不壽 盖兒之慧者 多有夭者故也
家人: 家中的人; 一家人。
壽: 長壽. <老子>: " 死而不忘者壽。"
者: 連詞. 猶則. <史記.李斯列傳>:“ 故秋霜降者草花落, 水搖動者萬物作, 此必然之效也. ”
多: 副詞. 大多(mostly). 宋沈括 <夢溪筆談·采草藥>:“ 古法采草藥多用二月 八月, 此殊未當。”
有: 爲.
夭: 短命, 早死。未成年而死. <孟子.盡心上>:“ 夭壽不貳, 修身以俟之。”
者: 通‘諸’. 猶之.
<呂氏春秋.離謂>:“ 亡國之主, 不自以爲惑, 故與桀 紂 幽 厲皆也. 然有亡者國, 無二道衣. ”
●及長貞順柔嘉 大有婦德 … 御下以義
貞順: 指婦女的專一婉順. 柔嘉: 柔和美善.
大有: 象征大, 多. 高亨注:“‘大有’, 所有者大, 所有者多也.” * 象征: 상징(하다).
義: 恩義; 情誼.
●居閒處獨 尙存敬畏之志
居閒: 亦作‘居閑’. 平居無事. 唐韓愈 <畵記>:“ 居閒處獨時, 往來余懷也.”
處: 留; 留下. * 留: 停止在某一處所, 含有不動的意思(stay).
<高宗實錄>:“ 處幽如顯, 處獨如衆, 使此心如靑天白日, 人得以見之。”
尙: 副詞. 還; 仍然(still; yet). <史記.廉頗藺相如列傳>:“ 趙王使使視廉頗尙可用否。”
存: 儲存; 保存; 保全. 孫文 <黃花岡七十二烈士事略.序>:“ 或僅存姓名而無事跡。”
●其自治有儀 須臾無放者 類如此
治: 整頓, 訓練. <周禮.大宗伯>:“ 治其大禮。”
儀: 禮式; 禮節.
須臾: 片刻,短時間。 <荀子.勸學>:“ 吾嘗終日而思矣,不如須臾之所學也。”
類: 副詞. 率, 皆; 大抵. 唐韓愈 <京尹不臺參答友人書>:“ 小人言不可信, 類如此, 亦在大賢斟酌而斷之. ” * 斟酌: 짐작하다. 헤아리다.
●文與筆不讓於甥 ……… 諸書無不誦讀.
讓: 遜色; 不及.
誦讀: 念; 熟讀; 背誦. * 背誦: 암송(暗誦)하다.
<三國誌.吳誌.闞澤傳>:“ (澤)常爲人傭書,以供紙筆,所寫旣畢,誦讀亦遍。”
2)큰어머니께서는 어렸을 적에 총명하고 공손하였으며 어린애 같은 경솔한 짓을 하지 않았다. 어른이 시키면 어기지 않았으며 하지 말라면 하지 않았다. 그래서 어른들께서 꾸짖거나 얼굴 붉히는 일이 없었다. 가족들은 늘 오래 살지 못할까 걱정했는데, 아마도 어렸을 때 아이가 영특하면 대개 단명하다고 생각한 때문이었을 것이다.
커서는 온화하고 부덕을 두루 갖추어 예의로 어른을 모시고 온정으로 아랫사람을 다스려 위아래의 인심을 얻었다. 한가히 혼자 있을 때에도 마치 엄격한 아버지 앞에 있는 듯이 여전히 조심스런 마음을 간직하여 말과 웃음을 아끼고 안색을 바르게 하였다. 스스로 예절을 닦고 잠시도 방심하지 않은 태도가 대체로 이러했다.
어렸을 적에는 우윤(右尹) 공(公)으로부터 작은 조카와 함께 글을 배웠는데 문장과 글씨가 조카보다 뒤지지 않았으며, 논어(論語)와 소학(小學) 내칙(內則) 효경(孝經) 곡례(曲禮) 그리고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열녀전(烈女傳) 등을 모두 암송하였다.
●우윤(右尹): 조선 시대 漢城府에 두었던 종2품 벼슬. 우윤공은 큰어머니의 친정아버지를 가리킴.
●내칙(內則): 禮記의 編名.
3)凡居家言行 體得者多 遇事求古 必從其義 自小至長 終始如一. 右尹公之鐘愛 最於諸子 盛具玉餙錦衣以寵之. 十六于歸 而莫知其有文. 先君子讀經書 不用諺解 及抵家書 亦不用諺 淑人之報亦然. 吾伯兄小時 無師傅 淑人授諸書 使之通文理訓著述. 於是始知 淑人之有文成章. 然亦未知其有筆. 嘗於吾兄之兒時 手書千字 淑人筆劃有法 字樣端正 觀者莫不珍貴 咸曰是浩浩之不及也. 浩浩淑人之弟振溟 以筆名於世者也.
●凡居家言行 體得者多 遇事求古 必從其義
居家: 閑居在家. 指在家的日常生活.
體: 親自. <後漢書.班固傳下>:“ 體行德本, 正性也.” * 體行: 親自失行.
遇事: 碰到事情. 清黃六鴻 <福惠全書.筮仕>:“ 遇事居功不報,反爲招怪。”
求: 探索, 探求. <論語.述而>:“ 我非生而知之者, 好古敏以求之者也. ”
古: 指古代的典章文獻. “ 但明效古, 當自圖之而.”
義: 正義; 合宜的道德 行爲或道理.
<孟子.告子上>:“ 生, 亦我所欲也, 義, 亦我所欲也, 二者不可得兼, 舍生而取義者也。”
●右尹公之鐘愛 最於諸子 盛具玉餙錦衣以寵之. 十六于歸
鐘愛: 特別喜愛. <晏子春秋.諫上>:“ 爲子之道,導父以鍾愛其兄弟。”
最: 古代考核政績或軍功時劃分的等級, 以上等爲最。 班固 <答賓戲>:“ 猶無益於殿最也。”
盛: 衆多; 豊盛. 具: 備辦; 准備. 餙: 同‘飾’
于歸: 出嫁。 <詩.周南.桃夭>:“ 之子于歸,宜其室家。” 朱熹集傳:“ 婦人謂嫁曰歸。”
●及抵家書 … 淑人之報亦然
<成宗實錄>:“ 凡五日及抵滿浦, 則有沼已罷兵還矣。”
<宣祖實錄>:“ 臣自去年, 節次與撫臣咨議, 及抵王京, 諄諄面相講求。 "
及: 至, 達到. <左傳.隱公元年>: " 不及黄泉, 無相見也。"
抵: 抵達(arrive). <資治通鑒.唐紀>: " 乘虚直抵其城。"
報: 指傳達某種消息的書面通知單.
●淑人授諸書 使之通文理訓著述
授: 傳授(instruct; teach). 唐韓愈 <師説>:“ 授之書而習其句讀者。”
通: 了解; 精通(understand). <後漢書.張衡傳>:“ 因入京師, 觀太學, 遂通五經。”
文理: 文辭義理; 文章條理。 宋司馬光 <進通志表>:“ 文理迂疏,無足觀采。”
訓: 教育, 教導. <左傳.閔公二年>:“ 務材訓農, 通商惠工。”
著述: 撰寫文章; 編纂。 蔡東藩 <清史演義.自序>:“ 顧亦安知非近人著述,不就其大者立論,胡人犬種,說本不經,衛女狐綏,言多無據;鑒清者但以爲若翁華胄,夙無穢聞,南面稱尊,非我莫屬; 而攀鱗附翼者,且麕集其旁,爭欲借佐命之功,博封王之賞,幾何不易君主為民主,而仍返前清舊轍也。”
●淑人之有文成章 …… 手書千字 淑人筆劃有法 … 觀者莫不珍貴
有文: 有文才. 文才: 文章或文學的寫作才能.
成章: 謂積辭成編, 作成詩文.
手: 親自, 親手(personally). 宋文天祥 <指南錄.後序>:“ 今存基本不忍廢, 道中手自鈔錄。”
筆劃: 亦作‘筆畫’. 指造成漢字的點,橫,直,鉤,撇,捺等而言.
珍貴: 珍愛,重視。 <三國志.魏志.荀彧傳>:“ 韋康爲涼州,後敗亡 ” 南朝宋裴松之 注:“ 不意雙珠,近出老蚌,甚珍貴之。”
●浩浩淑人之弟振溟 以筆名於世者也
<仁祖實錄>:“ 庚子 以林墰爲都承旨, 沈之源爲吏曹參議, 姜與載爲掌令, 元振溟爲司諫, 李以存爲應敎, 尹鏶爲修撰, 金鉽爲副修撰, 李元老爲全南兵使。
名: 出名, 有名聲. 劉禹錫 <陋室銘>:“ 山不在高, 有仙則名。”
3)집안에 있을 때의 언행은 스스로 터득한 것이 많았지만 일이 생기면 고전을 탐구하여 반드시 그 도리를 좇았는데, 어려서부터 장성할 때까지 변함이 없었다. 친정아버지께서는 여러 자식들 중 가장 사랑하셨으며 화려한 비단 옷을 넉넉히 마련해주며 총애하셨다.
열여섯에 시집오셨지만 큰어머니께서 학식이 있는 줄은 아무도 몰랐다. 선친께서는 경서를 읽을 때에 한글 해설서를 보지 않았고 집으로 보내는 편지에도 한글을 쓰지 않았는데, 큰어머니의 답장 역시 그러했다.
큰형이 어렸을 적에는 스승을 두지 않고, 큰어머니께서 여러 서적들을 가르쳐 글의 뜻을 이해시키고 글짓기를 가르치셨다. 그러자 비로소 큰어머니께서 글을 잘 짓는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지만 여전히 큰어머니께서 글씨를 잘 쓴다는 것은 몰랐다.
옛적 큰형이 아이였을 때에 천자문을 손수 썼는데, 큰어머니의 붓놀림이 필법을 갖추었고 글자 모양이 단정하여 본 사람마다 소중히 여기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모두 말하길 호호(浩浩)도 따라오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호호(浩浩)는 큰어머니의 동생 원진명(元振溟)인데, 서예로 세상에 이름을 떨친 사람이다.
4)淑人嘗謂 文與筆非婦人所業 語不言文 手不成字. 家人從淑人 不得一字 遂收其千字而分之 珍寶藏之 不傳於胡亂 知者莫不嗟惜. 其操守之敦篤 類如此. 其奉君子事舅姑 極敬極孝 無違禮節. 晝日侍側 夜治女工 針線之才 能兼數人. 昏定晨省 不以世久而小懈 丙子之亂 在奔避之中 未嘗一廢. 一家同避之人 咸服其誠. 其服習禮義斯須不去者 類如此.
●文與筆非婦人所業 … 家人從淑人 … 遂收其千字而分之 珍寶藏之
文: 撰寫文章. 文章. 文辭. 詞句. 筆: 記述; 寫作; 書寫. 業: 以....爲業; 從事于.
從: 介詞. 在; 由. 介紹動作行爲發生的處所.
遂: 副詞. 就; 於是。多用於書面語. 韓愈 <祭十二郎文>:“ 如不能守以終表, 則遂取以來。”
珍: 重視; 珍惜. 珍寶: 珠玉寶石的總稱.
●不傳於胡亂 知者莫不嗟惜. 其操守之敦篤 類如此
於: 在被動句中, 引進動作 行爲的主動者, 相當于‘被’(by). 韓愈 <師說>:“ 不拘於時。”
嗟惜: 嗟嘆惋惜。* 惋惜: 안타까워하다. 아쉽게 여기다. 애석해하다.
宋蘇軾 <乞留顧臨狀>:“ 遠去朝廷,衆所嗟惜。”
操守: 平素的品行禮節. 執持善行, 固守志節.
類: 副詞. 大抵; 大都(generally). 曹丕 <與吳質書>:“ 觀古今文人, 類不護細行。”
●其奉君子事舅姑 …… 晝日侍側 夜治女工 … 能兼數人
君子: 舊時妻對夫之稱。 <後漢書.列女傳.曹世叔妻>:“ 進增父母之羞,退益君子之累。”
舅姑: 稱夫之父母。俗稱公婆。 <國語.魯語下>:“ 古之嫁者,不及舅姑,謂之不幸。”
侍側: 陪侍左右. 左右: 帮助; 補佐, 附近; 兩旁.
治: 作; 爲. * 女工: 指女子所作紡織, 刺繡, 縫紉等事.
兼: 勝過; 超越(be superior to)。如: 兼人(勝過別人。表示一個人能幹兩個人的事.
●昏定晨省 不以世久而小懈 … 在奔避之中
昏定晨省: 舊時子女侍奉父母的日常禮節. 同‘晨昏定省’.
定: 古代子女夜晩爲父母整理床鋪, 服侍其安睡, 謂之‘定’.
晨省: 早晨向父母問安. 亦指昏定晨省之禮.
以: 通‘已’. 已經. <北史.宇文護傳>:“ 吾念十九入汝家, 今以八十矣, 凡生汝輩三男二女. ”
小: 副詞. 稍, 略(slightly; a little). 蘇軾 <教戰守>:“ 小不如意。”
懈: 松懈. 게으름피우다. 諸葛亮 <出師表>:“ 然侍衛之臣不懈於內。”
奔: 敗逃; 逃亡.
●其服習禮義斯須不去者
服習: 熟悉. 익히 알다. 상세히 알다. <左傳.僖公十五年>:“ 古者大事,必乘其產,生其水土,而知其人心,安其教訓,而服習其道。”
斯須: 須臾; 片刻.
須: 片刻. <荀子,王制>:“ 賢能不待次而擧, 罷不能不待須而廢.” 楊惊注:“須, 須臾也.”
去: 失掉; 失去(lose). <三國演義>:“ 大事去矣, 可痛惜哉。”
4)큰어머니께서는 일찍이‘글을 짓고 글씨를 쓰는 것은 부녀자가 힘쓸 일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대화할 때에는 문사를 쓰지 않았으며 손수 글씨를 쓰지도 않아 집안 식구들은 큰어머니로부터 글씨 한 자도 얻지 못했다. 그래서 전에 썼던 천자문을 모아 나누고 보물처럼 소중히 간직했다. 그러나 병자호란(1636) 때문에 전해지지 못했는데, 이를 안 사람치고 애석해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평소 품행의 독실함이 대개 이와 같았다.
남편을 시중하고 시부모를 모시는 데에는 지성으로 공경하고 극진히 효도하여 예절을 어기지 않았다. 낮에는 좌우를 돌보고 밤에는 바느질했는데, 바느질 솜씨는 몇 사람을 능가하였다. 저녁에 어른들의 잠자리를 돌보고 아침에 문안드리는 일은 이미 세월이 오래되었어도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병자호란 때 도망해 피난하던 중에도 한 번 거르지 않았다. 함께 피난했던 일가 사람들은 그 정성에 감탄하였다. 예의를 익혀 잠시라도 놓치지 않았던 자세가 대개 이러하였다.
5)先君子侍庭之日 不脫上衣 淑人日易新洗者 咸曰某日日着新衣. 其敬事君子之禮 類如此. 先君子事父母 不蓄私財 淑人不違其志 雖本家及其之物 必盡輸於大夫人前 有命則用 無命則置. 其恭勤誠孝之敬 類如此. 先君子居憂之日 啜粥三年 廬于墓側 夫婦不相見面. 每自廬所 歸覲于大夫人前 則淑人必先避 于屋後. 其無違君子之志 類如此.
●先君子侍庭之日 不脫上衣 淑人日易新洗者 咸曰某日日着新衣. … 其敬事君子之禮
侍: 司, 掌管. <墨子.號令>:“ 吏卒侍大門中者, 曹無過二人…… 擅離署, 戮. ”
庭: 官署. <管子.明法解>:“ 任官而不責其功, 故愚汚之吏在庭. ”
日: 白天, 白晝(day time). <世說新語.自新>:“ 經三日三夜, 鄉里皆謂已死。”
脫: 脫掉(穿戴的衣帽鞋袜等物), 解下. 上衣: 外衣.
日: 每日, 每天(every day). <論語.學而>:“ 吾日三省吾身。”
日日: 天天,每天(every day)。 <左傳.哀公十六年>:“ 國人望君如望歲焉,日日以幾。”
敬事: 恭敬奉事。 <書.立政>:“ 以敬事上帝,立民長伯。”
君子: 舊時妻對夫之稱。<後漢書.列女傳.曹世叔妻>:“ 進增父母之羞,退益君子之累。”
李賢注:“ 君子,謂夫也。”
●雖本家及其之物 必盡輸於大夫人前 … 無命則置
及: 通‘給’。 供應 (provide). <管子囯蓄>:“ 然則大國內款, 小國用盡, 何以及之。”
盡: 副詞. 全部, 都(all; completely). <資治通鑒.唐紀>:“ 虛實盡知。”
輸: 交出; 繳納(contribute; donate). 내놓다.
宋範成大 <四時田園雜興>:“ 箋訴天公休掠剩, 半償私債半輸官。”
置: 委托. 如: 置質(委質。謂臣下向君主呈獻禮物, 以示獻身).
●其恭勤誠孝之敬 … 先君子居憂之日 啜粥三年 廬于墓側 夫婦不相見面. … 歸覲于大夫人前
恭勤: 肅敬勤勉.
誠孝: 出自內心的孝敬. 宋周煇 <清波別誌>:“ 夫誠孝盡事親之道,恭儉崇保邦之德。”
居憂: 指居父母之喪. * 居: 治理; 處理.
啜粥: 죽을 먹다. 啜(철): 食; 飮.
廬: 寄居. 旅宿. <詩.大雅.公劉>:“ 京師之野, 於時處處, 於時廬旅。”
* 廬: 古人爲守喪而構筑在墓旁的小屋。
見面: 會面,見到。만나다. 杜甫 <十二月一日. 詩>:“ 春來準擬開懷久,老去親知見面稀。”
歸覲: 謂歸謁君王父母. * 覲: 進見, 訪謁(meet with).
5)선친께서는 관아(官衙)를 관장하는 낮에는 겉옷을 벗지 않았는데, 큰어머니께서는 날마다 새로 세탁한 것으로 바꿔 주어 사람들이 모두‘아무개는 날마다 새 옷을 입는다.’라고 했다. 남편을 공경하고 보살피는 예절이 대개 이러하였다.
선친께서는 부모를 모시면서 따로 재산을 모으지 않았는데 큰어머니께서는 그 뜻을 어기지 않았다. 비록 친정에서 자신에게 준 물건이라도 반드시 모두 시어머니 앞에 내놓고 하명이 있으면 사용하였으나 없으면 맡겨 두었다. 공손함과 근면 그리고 진심에서 우러난 효성으로 어른을 공경함이 늘 이러하였다.
선친께서 치상하던 때에는 3년간 죽을 먹으며 묘 옆에 초막을 짓고 지냈는데 부부가 서로 만나지 않았다. 매번 초막으로부터 돌아와 어머니를 뵐 때면 큰어머니께서는 반드시 먼저 집 뒤로 피하셨다. 남편을 거스르지 않으려는 뜻이 대개 이러하였다.
6)丙子之亂 避于嶺東 丁丑九月 歸于長成之土泉. 是時叔父姑母 各率子女及內外 共奉大夫人 家率幷上下尙有七十餘人. 雖無所食之憂 同爨爲難 各其妻孥則給料異鼎 非分産各居也. 於是淑人亦在異鼎之列 料米時有絶乏之患 則必自周旋菫擧火 然猶常若不乏者焉. 是以先君子 終未知其屢空 其敬懼自愼者 類如此.
●各率子女及內外 … 家率幷上下尙有七十餘人
率: 率領; 帶領.
幷: 合並(由一部分與另一部分結合一起). 蘇洵 <六國論>:“ 幷力西向。”
尙: 副詞. 差不多(nearly). <左傳.昭公十三年>:“ 靈王蔔曰: 余尚得天下。”
●同爨爲難 各其妻孥則給料異鼎 非分産各居也. 於是淑人亦在異鼎之列
爨: 燒火做飯(cook). <孟子.滕文公上>:“ 許子以釜甑爨, 以鐵耕乎? ”
爲難: 難以應付; 難辦。 <元典章.戶部二>:“ 以此纖須之費,致令各處官府爲難。”
妻孥: 妻子和兒女(wife and children).
則: 相同; 均等. <左傳.昭公七年>:“ 六物不同, 民心不壹, 事序不類, 官職不則. ”
給: 供給; 供養. 料: 供人畜食用或爲植物提供營養的物品(food).
料: 供人畜食用或為植物提供營養的物品(food).
<水滸傳>:“ 每月但(只)是納草納料的, 有些常例錢。”
異: 區別; 分開.
在: 在于; 決定于(depend on; rest with). ~에 의존하다. ~에 달려있다.
唐劉禹錫 <陋室銘>:“ 山不在高。”
●料米時有絶乏之患 則必自周旋菫擧火 然猶常若不乏者焉
料: 表示用斗量米。本義: 稱量. 計數; 計量; 核計. <國語.周語上>:“ 夫古者不料民而知其多少。”
時: 副詞. 相當于‘有時’‘偶爾’(sometimes). <明史.海瑞傳>:“ 故家大姓時有被誣負屈者。”
絶乏: 缺乏. 多指供應短缺。
<史記.平津侯主父列傳>:“ 曠日持久,糧食絶乏,越人擊之,秦兵大敗。”
患: 禍患, 禍害. <孟子.告子下>:“ 無敵國外患。”
菫: 假借爲‘僅’。겨우. 간신이. <景宗實錄>:“ 其最廣者, 蓳一尺七寸。”
<謹齋集>:“ 先生之著述。不爲不多。失於紅賊之燹。惟瓦注一篇。菫傳於其壻蓬原君鄭良生。
擧火: 生火做飯。 <莊子.讓王>:“ 三日不舉火, 十年不制衣。”
然: 連詞. 但是, 然而(but). 柳宗元 <三戒>:“ 虎甚恐, 然往來視之, 覺無異能者。”
若: 如同; 像(like; as if). <墨子.尙賢中>:“ 聖人之德, 若天之高, 若地之普。”
不乏: 不缺少。 <後漢書.吳祐傳>:“ 吳氏世不乏季子矣。”
●終未知其屢空. 其敬懼自愼者
屢: 副詞. 多次. 여러번, 자주. 明崔銑 <記王忠肅公翺三事>:“ 公屢促之。”
屢空: 經常貧困. 謂貧窮無財.
敬懼: 勤愼小心。 <墨子.尚賢上>:“ 故當是時,雖在於厚祿尊位之臣,莫不敬懼而施。”
6)병자호란(1636) 때에는 영동(嶺東)으로 피난 갔다가 정축년(1637) 9월 장성(長成) 토천(土泉)으로 돌아왔다. 이 때 숙부와 고모가 각기 자녀와 그 내외를 거느리고 함께 할머니를 모시고 있었는데, 가족이 위아래를 합해 거의 70여명이었다. 비록 식량을 걱정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공동으로 취사하기가 어려워, 각기 처자식들에게 식량을 균등하게 나누어 주고 취사를 따로 했지만 재산을 나누어 딴살림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큰어머니께서도 배급에 의존했는데, 식량을 되질해 나눠줄 때 식량이 바닥날 걱정이 생기면 반드시 몸소 주선하여 간신히 불을 지피곤 했지만, 언제나 부족한 것이 없는 것처럼 속였다. 그래서 선친께서는 늘 양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끝내 몰랐는데, 큰어머니의 세심하고 조심스러운 처신이 대개 이러하였다.
7)所藏錦玉 時或沽之 節日生辰 必具盛饌 奉養大夫人 鄕黨州閭 皆稱孝婦. 且居家之禮靜之行聞者 莫不稱善 無不自以爲不及. 其君子之服飾 事姑之誠孝 酒肉之養 治産之善 一家之內 無出其右. 於是自知不及者 恥而忌之 不無娟嫉之事 淑人若無聞焉 未嘗一辨其眞僞. 遇謗我者 無減於平時 愈往愈善 終無形跡者 非一非再. 盖囂囂多口 賢聖之難免 勝己者厭 庸人之常事. 淑人深知其患 而以不治 治之 則非久不攻自破 竟不失和睦之樂 無貽君子之憂. 是丈夫之所難 而淑人以婦人能之 不知聖經賢傳之微辭蘊奧 烏若是乎. 於今乃知 學問之功 無男無女 而變化氣質 復其天性之爲貴也. 其德量之大而無外 類如此.
●所藏錦玉 時或沽之
錦: 有彩色花紋的絲織品.
<説文>:“ 錦, 襄邑織文。” 朱駿聲按, 染絲織成文章也。漢襄邑縣貢織文。
<光海君日記>:“ 錦玉雖曰禮服之具, 而不必遠貿於中華, 則尙方之貿, 是奢侈之漸也。”
時或: 有時。 漢王充 <論衡.語增>:“ (周公)時或待士卑恭,不驕白屋人,則言其往候白屋。”
沽: 賣, 出售。通‘酤’(sell). <韓非子.外儲説右上>:“ 宋人有沽酒者。”
●且居家之禮靜之行聞者 莫不稱善
靜: 安靜; 寧靜(quiet; tranquil; peaceful). <國語.晉語>:“ 宵靜女德, 以伏蠱慝。”
稱: 稱贊, 贊揚(praise). <左傳.宣公十六年>:“ 禹稱善人, 不善人遠。”
●無出其右. …… 不無娟嫉之事 … 未嘗一辨其眞僞
無出其右: 無人能超過他。 語出 <漢書.高帝紀下>:“ 賢趙臣田叔 孟舒等十人,召見與語,漢廷臣無能出其右者。” 顔師古注:“ 古者以右爲尊,言材用無能過之者,故云不出其右也。”
娟: 美好; 秀麗. 嫉: 厭惡. 嫌怨. 妬忌.
嫉: 忌妒才德地位等美好的人. 泛指忌妒(envy; be jealous).
<楚辭.離騷>:“ 各興心而嫉妒。” * 忌妒: 對他人的優秀表示仇恨。
辨: 判別, 區分, 辨別. <荀子.榮辱>:“ 目辨白黑美惡, 耳辨音聲清濁。”
●遇謗我者 無減於平時 愈往愈善 終無形跡者
者: 連詞. 猶則.
減: 降低; 減輕. <左傳.昭公十四年>:“ 不爲末減。” 註:“ 減, 輕也。”
善: 友好, 親善.
清方苞 <左忠毅公逸事>:“ 餘宗老塗山, 左公甥也, 與先君子善, 謂獄中語乃親得之於史公云。”
形跡: 亦作‘形迹’. 嫌疑。 <北齊書.王松年傳>:“ 諸舊臣避形迹,無敢盡哀。”
●盖囂囂多口 賢聖之難免
囂囂: 喧嘩貌. 多言貌. * 囂(효): 表示眾口喧囂, 떠들어대다.
多口: 多言,不該說而說。 <孟子.盡心下>:“ 無傷也,士憎茲多口。”
賢聖: 道德才智極高的人.
難免: 不易避免. 形容事物的不可避免性。不容易避免; 免不了。
唐元稹 <蟲豸詩.蟆子一>:“ 暗毒應難免,羸形日漸枯。”
●勝己者厭 庸人之常事
<世宗實錄>:“ 允和性凶險貪婪, 勝己者皆疾之。”
<世宗實錄>:“ 古人云: ‘其爭也, 君子雖不中, 不怨勝己者, 反求諸己。’可見君子之事。”
厭: 憎惡; 嫌棄. 明宗臣 <報劉一丈書>:“ 無厭其爲迂。”
庸人: 平常的人. 常事: 平常的事情; 常有的事情.
●淑人深知其患 而以不治 治之則非久 不攻自破 竟不失和睦之樂
深知: 十分了解. 漢揚雄 <法言.問道>:“ 深知器械舟車宮室之爲,則禮由己。”
患: 弊病(폐단. 악폐); 疾病.
以: 介詞. 與; 同. <韓詩外傳>:“ 齊桓公獨以管仲謀伐莒, 而國人知之. ”
治: 較量, 匹敵. * 較量: 겨루다. 대결하다.
不攻自破: 不用攻擊, 就自行潰敗. 多指情節或論点虛謬, 經不起反駁.
失: 違背(violate). 章炳麟 <原法>:“ 論功計勞, 未嘗失法律。”
●而淑人以婦人能之 不知聖經賢傳之微辭蘊奧
能: 及; 到. <論語.子張>:“ 吾友張也, 爲難能也, 然而未仁. ”
聖經賢傳: 舊指聖人手訂的經典和賢人闡釋的著作。* 闡釋: 闡明陳述幷解釋。
唐韓愈 <答殷侍御書>:“ 聖經賢傳,屏而不省,要妙之義,無自而尋。”
微辭: 委婉而隱涵諷諭的言辭.
蘊奧: 精深. 精深的涵義. * 涵義: 語句等所包含的意義.
●學問之功 無男無女 而變化氣質
功: 致力學習或硏究.
功績, 功業; 功勞. <史記.項羽本紀>:“ 欲誅有功之人, 此亡秦之續耳。”
無: 連詞. 連接詞組或分句, 表示在任何條件或情況下都是如此, 相當于 ‘不論’‘無論’.
<漢書.高后紀>:“ 無少長皆斬之。” 韓愈 <師說>:“ 無貴無賤。”
氣質: 指人的生理 心理等素質. 是相當穩定的個性特點.
宋張載 <語錄鈔>:“ 爲學大益,在自求變化氣質。”
●復其天性之爲貴也. 其德量之大而無外
復: 引申爲恢復. 諸葛亮 <出師表>:“ 攘除奸凶, 興復漢室, 還於舊都。”
貴: 貴重; 重要. <論語.學而>:“ 禮之用, 和爲貴。” 語義:“ 禮的應用,以和諧爲貴。”
德量: 道德涵養和氣量. 氣量: 器量(도량). 덕량과 재능.
無外: 猶無窮, 無所不包. <呂氏春秋.下賢>:“ 其大無外,其小無內。”
7)간직해 왔던 옷가지와 패물을 때로는 내다 팔아, 명절이나 생일에는 반드시 음식을 풍성하게 차려 시어머니를 봉양하자 고을 사람들이 효부라고 칭송하였다. 또한 집안에서의 예절과 소리 없는 실천을 들은 사람들은 모두 그 미덕을 칭송하였으며 자신은 따라갈 수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남편의 의복 챙기기하며 시어머니를 모시는 진실한 효성, 맛있는 음식 봉양 그리고 훌륭한 살림 솜씨는 집안 누구도 큰어머니를 따를 사람이 없었다. 그러자 스스로 못 미친다고 여긴 사람들은 부끄럽게 여겨, 꺼려하고 시기하는 일이 없지 않았으나 큰어머니께서는 못들은 체하며 한 번도 그 진위를 따지지 않았다.
우리 집안을 비방하는 사람을 만나면 평소보다 가볍게 대하지 않고 더욱 따뜻이 대하여 결국 혐의를 해소한 것이 한 두 차례가 아니었다. 대체로 사람들의 입방아는 도덕군자도 벗어나기 어렵고, 자신보다 나은 사람을 싫어하는 것은 보통 사람의 상정이다. 큰어머니께서는 그 폐해를 충분히 이해하셨기 때문에 이들과 함께 대결하지 않았지만, 대결했다 하면 공격하지 않아도 오래 못가 스스로 무너져 끝내 융화의 즐거움을 깨뜨리지 않았으며 남편에게는 걱정을 끼치지 않았다.
이는 대장부도 어려운 일인데 큰어머니께서는 부인의 몸으로 여기에 이르다니, 성인께서 손수 쓰시고 현인들이 설명한, 오묘한 말씀에 담긴 깊은 뜻을 모르고서야 어찌 이럴 수 있겠는가? 학문의 성취는 남녀 차이가 없기 때문에 심성을 변화시켜 천성을 회복하는 것을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나는 이제야 깨달았다. 큰어머니의 크고 가없는 도량이 대개 이러하였다.
8)不肖孤少時 嘗聞淑人之誠孝德量之大 於姑母淑夫人之言 略知淑人之有婦德 而憙怒不見於色也. 又從吾娣氏頗有聞焉 居家恒聞 慈闈之聞 於吾先君子 與一家之言 然後益知信然不誣. 盖淑人之屬纊在己卯 慈闈之于歸在庚辰 則慈闈之聞而知之者 豈不詳也. 二兄早世而無傳 從姪少孤而無聞 不肖孤又以猥 不敢言其所聞而無言 則淑人孝順出天之德 孰從而傳之 將無泯然之患乎.
●於姑母淑夫人之言 略知淑人之有婦德 而憙怒不見於色也
於: 連詞. 猶而. <老子>:“ 勇於敢則殺, 勇於不敢則活. ”
略: 副詞. 大約, 大致. 清周容 <芋老人傳>:“ 老略知書。”
知: 告訴; 使知道. <公羊傳.宣公六年>:“ 趙盾知之. ”
色: 外表。 如: 色仁行違(表面上主張仁德,實際行動卻背道而馳); 色樣(式樣; 模樣).
●又從吾娣氏頗有聞焉 居家恒聞 慈闈之聞
從: 介詞. 自, 由(from). 用作虛詞, 表示起點.
賀知章 <回鄉偶書>:“ 兒童相見不相識, 笑問客從何處來。”
娣: 猶妹. 姐姐對妹妹的稱呼(younger sister). <紅樓夢>:“ 姊娣悉慕媖嫻, 嫗媼鹹仰慧德。”
卞季良 <春亭集.碑誌>:“ 七月初四日。謂政丞公曰。人之死生。不在老少。汝及汝娣俱無恙。吾今先逝。豈不自幸。不須強進諸藥。明日卒。”
居家: 閑居在家。 <史記.項羽本紀>:“ 居鄛人範增, 年七十,素居家,好奇計。”
頗: 副詞. 略微; 稍(rather). <史記.賈生列傳>:“ 頗通諸子百家之書。”
慈闈: 舊時母親的代稱.
聞: 傳聞, 聽到的事情; 消息. 司馬遷 <報任安書>:“ 網羅天下放失舊聞。”
●與一家之言 然後益知信然不誣
與: 合乎。
如: 與人(合乎民意者得人心); 與地(凡合乎地道者, 則得地利); 與天(凡合乎天道者,則得天助).
一家: 一個家族; 一戶人家。常用以謂無分彼此,如家人之相親。
然後: 表示接著某種動作或情況之後。 <周禮.地官.賈師>:“ 展其成而奠其賈,然後令市。”
益: 副詞. 漸漸. 柳宗元 <三戒>:“ 益習其怕, 又近出前後(習, 熟悉, 習慣)。” <立巖集補遺>:“ 余謂叔曰 叔與希中有舊乎。叔曰 無一面之雅。余曰 然後益知希中之眞君子也。”
信然: 副詞。果然,果眞。 郭沫若 <參觀水豊發電站>詩:“ 水豊電力信然豊,秋色平分共一江。”
不誣: 不妄; 不假。 <禮記.表記>:“ 是故君有責於其臣,臣有死於其言,故其受禄不誣。” 孔穎達 疏:“ 以其言善乃受禄,是受禄不誣罔也。”
●盖淑人之屬纊在己卯 慈闈之于歸在庚辰 則慈闈之聞而知之者 豈不詳也.
이 문장의 庚辰(서기1640)은 이해하기 어렵다. 生母의 于歸日이 더 앞당겨져야 큰어머니가 낳은 여동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庚辰(1640)은 庚午(1630)의 誤記로 보인다. 저자는 甲戌年(1634)에 출생하였다.
●慈闈之于歸在庚辰
慈闈: 亦作‘慈幃’‘慈帷’。舊時母親的代稱。
明陸采 <明珠記.別母>:“ 承鳳詔須當遠出,別慈幃怎敢從容!”
●不敢言其所聞而無言 …… 孰從而傳之 將無泯然之患乎
言: 記載. 宋沈括 <夢溪筆談>:“ 雁蕩山… 自古圖牒, 未嘗有言者。”
從而: 連詞. 然後; 因而. <史記.五帝本紀>:“ 天下有不順者, 黃帝從而征之。”
將: 當; 能. <三國志.吳志.孫堅傳>:“ 堅曰卓逆天無道, 蕩覆王室,....豈將與乃和親也.”
泯然: 消失淨盡貌. * 淨盡: 완전히.
8)내가 어렸을 적에 들었던, 큰어머니께서 진심으로 효도했고 아량이 컸다는 고모님의 말씀은 큰어머니께서 부덕을 갖추었고 기쁨과 노여움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았다는 것을 대충 알게 해 주었다. 게다가 여동생으로부터 이에 대해 약간 들었고, 집에 있을 때 늘 들었던 선친에 대한 어머니의 전언이 일가 사람들의 말씀과 일치하여, 이후 과연 거짓이 아니라는 것을 차츰 알게 되었다. 큰어머니께서는 기묘년(己卯,1639)에 돌아가셨고 어머니께서는 경오년(1630)에 시집오셨는데 어머니가 듣고 기억한 것이 어찌 상세하지 않겠는가?
두 형님들은 일찍 죽어 전하지 못하고, 조카들은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듣지 못했는데, 내마저 외람스럽게 여겨 들은 바를 감히 말할 수 없다고 기록해두지 않는다면, 큰어머니의 효도와 타고난 미덕은 누가 전승하여 소실될 것을 염려하지 않게 할 수 있겠는가?
●여동생: 저자의 큰어머니 즉 숙인(叔人)이 낳은 딸이다.
●경오년(1630): 원문의 庚辰(1639)은 誤記이다. 큰어머니가 낳은 여동생의 존재가 이를 증명한다.
9)極知僣猥無所逃罪 唯是之懼 略記所聞 而年來衰病之餘 又遭割半之痛 精神喪失 旣聞之言 忘未盡錄 尤不勝懼然之至. 淑人之平生言行 不止於此 而余小子無以盡知 略擧萬一矣. 有二子三女 而已錄於先君子銘狀 故今不更記. 右尹公諱鎤 是爲淑夫人之先考 而其以上世系未詳 姑闕之 伏俟後日耳.
●極知僣猥無所逃罪 唯是之懼 而年來衰病之餘 又遭割半之痛
極知: 深知.
僣: 同‘僭’* 僭: 超越本分, 冒用在上者的職權, 名義行事.
猥: 謙詞,等於說‘辱’, 指降低身分, 用於他人對自己的行動. 諸葛亮 <出師表>:“ 猥自枉屈。”
懼: 猶慮. <記言序>:“ 言行。君子之所以動天地也。可不愼乎。穆。唯是之懼焉。”
年來: 近年以來或一年以來.
來: 以來. 表示時間從過去某時持續到現在.
衰病: 衰弱抱病. 宋蘇軾 <次韵李修孺留別>:“ 窮通等是思家意,衰病難堪送客悲。”
餘: 之後: 以後.
遭: 受到; 遭受(meet with; suffer). 杜甫 <遣興>:“ 猛虎憑其威, 往往遭急縛。”
●尤不勝懼然之至
尤: 副詞. 猶; 尙且. 여전히, 아직.
不勝: 無法承擔; 承受不了。承受: 감당하다.
<管子.入國>:“ 子有幼弱不勝養爲累者。”尹知章註:“ 勝,堪也。謂不堪自養,故爲累。”
懼然: 驚視貎; 驚貎。懼,通‘瞿’。 <莊子.庚桑楚>:“ 老子曰:‘子何與人偕來之衆也?’南榮趎 懼然顧其後。” 郭慶藩集釋:“懼然,卽瞿然也,蓋驚貌。”
●而余小子無以盡知 略擧萬一矣.
擧: 記錄. 提出; 列擧. 司馬光 <訓儉示康>:“ 舉數人以訓汝。”
無以: 沒有(什麽), 沒有(誰), 沒有(辦法). <莊子>:“ 吾無以爲質矣,吾無與言之矣。”
●姑闕之 伏俟後日耳
姑: 副詞. 姑且,暫且(for the time being).
明高啟 <書博雞者事>:“ 今姑貸汝, 後不善自改, 且復妄言, 我當焚汝廬。”
俟: 等待(wait). <禮記.中庸>:“ 故君子居易以俟命, 小人行險以僥幸。”
<成宗實錄>:“ 是再三傳敎, 故未敢煩請。 伏俟上命。”
9)분수를 어긴, 도피할 수 없는 죄인 줄을 너무나 잘 알면서도 오로지 이를 염려하여 들은 것을 간략히 기록하였다. 그러나 올 들어 병을 않은 이후인데다 칼로 에는 듯한 슬픔을 당해 정신이 혼미하여, 이미 들은 말도 잊고 다 기록하지 못하여 한량없는 두려움을 여전히 감당할 수 없다.
큰어머니의 평생 언행이 여기에 그치지 않았겠지만 내가 다 알 도리가 없어 극히 일부만을 간략히 열거하였다. 큰어머니께서는 두 아들과 딸 셋을 두었지만 선친의 비명과 행장에 이미 기록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다시 적지 않는다. 우윤(右尹) 공(公)의 이름은 황(鎤)이며 큰어머니의 돌아가신 친정아버지인데, 이 이상 세계(世系)는 몰라 잠시 비워두고 훗날을 기다릴 뿐이다.
The End
2010.4.23. 수정.
2012.6.11. 수정.
2013.10.5. 수정.
'다른 가문 한시 모음 > 현주 조찬한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찬한(趙纘韓) 의 慶會樓遺址(경회루유지) (0) | 2014.04.19 |
---|---|
현주(玄洲)조 찬한(趙纘韓) 의 부석사 (浮石寺 ) (0) | 2014.01.13 |
조 찬한(趙纘韓)의 春日漫興 (춘일만흥)------ 봄날의 흥취 (0) | 2013.04.19 |
玄谷•玄洲 형제의 寒食 - 조위한 과 조찬한. (0) | 2013.04.05 |
조 찬한(趙纘韓) 의 春晦卽事 庚午 (춘회즉사 경오 ) 봄은 다 가고 (0) | 201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