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隱 姜銓爕(1931-2004)교수님의 樂隱文庫에서 2005년 보셨다는 원문 일부를 스마트 본으로 보내주셨다.
충북 제천이 고향이신 인문학자 不二堂님이 2016 년부터 소장하신
< 잠재고 서문>을 보내주셨다. 문집 전체는 볼 수 가 없어 국립도서관 자료를 통해 연구할 마음이다.
http://blog.daum.net/taopia1/868
----------------------------------------------------------------------------------------------------------------------------------------------
潛齋稿라는 문집의 序문이다.
潛齋詩稿序 홍 낙인(洪樂仁) 1729년(영조 5)- 1777년(정조 1) 자 대유(大囿) 호 안와(安窩) 본관 풍산(豐山) 문집:안와유고 (安窩遺稿)
近世文章。在文惟農巖。在詩惟三淵。操觚之士。聞農淵 之風者。庶幾作家之規矩。外此而爲文者。高則失於僻 異。低則流於膚率。皆未能造奧而臻妙。是其故孤陋使然 也。日進出於金氏之門。以谷雲爲祖。風流之疎爽。 葢有所自。而又復私淑乎農巖。親炙於三淵。耳目所濡。 悟解自到。詩文蹊逕。能得源流之正。蔚然有聲於詞林。 譬之鄧林之植。皆是楩楠。崑岡之產。無非瓊瑰。 斯豈他人所能及哉。 一自辛壬之後。金氏之門。震剝摧殘。爲世所悲。 日進於是歷落棲遑。不平無聊。放散之跡。 多在於山水間。遊覽日益廣。著述日益多。旁及篆籀。 無所不能。一時士大夫。喜與之上下徵逐。 余 兒時從家大人側。每見日進酒後膝席。瞪目望天。 如鶴之睨雲。如鷹之掣韝。眉宇間隱隱帶輕世肆志之想。 當其伸紙揮毫。藻思溢發。信手淋漓。隨意簸弄。殆不省 孰爲詩而孰爲文。其意氣之豪可知。以日進才。 馳騁當世。伊誰不如。竟以一郵丞終。何也。 李老最之季良。以日進遺稿。屬余爲剞劂之圖。 余考其詩文則名句傑篇之曾所熟聞者。頗多漏逸。其或不 自惜而然歟。雖然。寂寥篇什之間。亦有光怪之不散。 或喜而笑。或哀而泣。咳唾嚬呻。徊徨感慨。尙可以髣髴 其平生。而碧城諸作。優入夔後之境。老鍊圓活。 餘味雋永。使假之秊。益肆其力則成就之卓然。 有不可量。彼造物者。並與其壽而嗇焉。所藉於身後者。 只是一束殘稿而已。悲夫。然文之傳不傳。惟在造詣之淺 深。何必多爲哉。日進名益謙。號潛齋云。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2010 인용.
원본 소장처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潛齋詩稿序 | |
安窩遺稿
|
潛齋稿 |
規矩 |
䂓矩 |
日進 出於金氏之門 |
潛齋子出於金氏之門 |
葢有所自 |
盖有所自 |
日進於是歷落棲遑 |
子於是歷落棲遑 |
每見日進酒後膝席 |
每見潛齋酒後膝席 |
以日進才 |
以子之所有 |
李老最之季良。以日進遺稿。 |
李老季良。以潛齋遺稿 |
亦有光怪之不散 |
亦有光恠之不散 |
使假之秊 |
使假之年 |
何必多爲哉。日進名益謙。號潛齋云 |
後之人亦有以知之矣 歲戊子孟夏 豐山 洪樂仁序
|
동일한 작가의 글인데 위와같이 몇 가지의 차이점이 있었다. 2005년 어문연구 48집에 <潛齋 金益謙의 詩文學硏究>라는 학술논문을 발표해주신 배재대 朴贊洙교수 님께 고마움을 전하며, 그리고 충주가 고향이신 인문 한학자이신 불이당이라는 분이 2016 년에 잠재고 라는 문집을 구입해 필자에게 중요한 글 하나와 <가의> 그리고< 잠재고 서>를 보내주신 고마움도 여기에 전하며. 국문학을 전공한 필자가 파란 하늘의 숨결을 볼 때까지 만이라도 내 선조님의 혼심을 여기에 담으려 한다.潛齋 선조님의 최초 연구자이신 朴贊洙교수 님의 학술논문도 필자의 블로그에 담으려고 한다.
|
'선조문집 숨결 > <潛齋稿> 日進 金益謙'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沁州 拄笏堂 주홀당 趙正而韻-- 김익겸. 잠재고 (0) | 2019.05.25 |
---|---|
김익겸의 楓溪池榭 抽 老杜共賦 <청풍계 못가 누각> (0) | 2019.02.15 |
潛齋詩稿序 잠재시고서 1.홍낙인(洪樂仁) 2. 김익겸 (金益謙) 국역. 여량 선생. (0) | 2019.02.03 |
일진 김익겸 寒食雨 한식우- 청음후손. 곡운 손자. <잠재고> (0) | 2019.02.02 |
潛齋稿에 실린 시의 목록 (0) | 2017.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