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 숨결/휴암공파 종중

김 광욱(金光煜) 題 新搆 江榭 제 신구 강사 杏湖 歸來亭 행호 귀래정

백촌거사 2019. 9. 10. 19:12



                                                                                    < 겸재 미술관에서 인용>

----------------------------------------------------------

               題 新搆 江榭 제 신구 강사

                  杏湖 歸來亭 행호 귀래정

新搆: 새로 지음. 江榭: 강사 강의 정자

杏湖: 양천에서 행주까지의 유역

----------------------------------------------------------------------------------------------------------------------------

김 광욱(金光煜)

1580년(선조 13) -1656년(효종 7) 향년 77세

자 회이(晦而) 호 죽소(竹所)

본관 안동(安東) 서윤공파, 휴암공파

시호 문정(文貞)

❋ 諱尙寯-1光煜-壽一 - 1盛最- 時佐-春行

3盛後- 時敏

2光煒- 壽翼 -盛大- 時敍- 3謹行

--------------------------------------------------------------------------------

국역문정공파 金彰顯 옮김

작은 정자 겨우 새로 이루어졌고,

남은 목숨 휴식하기 적당하구나.

 

푸른 산< 덕양산>이 마루 뒤로 우뚝 솟았고,

맑은 강물< 漢江> 베개 가에 흐르고 있네.

 

모래에 비친 달은 낮처럼 밝고,

솔바람 가을 짓듯 시원하구나.

 

이제부터 다리 펴고 잠자리 드니

이 밖에 무엇을 다시 바라랴.

 

才新就。殘生也合측측평평측 평평측측

재신취 잔생야합

靑鬟軒後聳。碧玉枕邊평평평측측 측측측평

청환헌후용 벽옥침변

沙月明如晝。松風爽作평측평평측 평평측측

사월명여주 송풍상작

從今伸睡脚。此外更何평평평측측 측측측평

종금신수각 차외경하

▶ 측기식 5언 율시 下平성十一尤운休流秋

-------------------------------------------------------

작품이해 노트

✶ 이 작품의 제목은 題 新搆 江榭<제 신구 강사>인데 필자가 제목을 <杏湖 歸來亭>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歸來亭이라는 정자가 곳곳에 있기 때문이다. 필자가 아직 구체적으로 얼마나 되는지는 조사를 못했다. 중국시인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따 왔다. 도연명을 흠모하는 정서가 담겨 있다.

그런데 竹所公 선조님의 이 작품이 일부의 글자만이 바뀌었을 뿐 나머지는 똑같은 작품 하나가 있어 놀라움을 가지게 되었다.< 단 두 글자만 다름>

靑鬟< 歸來亭 귀래정> 죽소집

김광욱(金光煜,1580-1656) 본 안동 자 회이(晦而) 호 죽소(竹所)

靑鬟軒外揷 <鷗洲亭 구주정> 구주문집

강대적(姜大適, 1594-1678)선생 본 진주 자 학중(學仲)호 구주(鷗洲)

죽소공 선조님의 위 작품에 대하여 和韻한 시도 있었다.

<下平성十一尤운休流秋>을 바탕으로 쓰여진 다음과 같은 작품이 있었다.

1.강대수(姜大遂) 1591-1658 次金承旨小樹韻。自叙歸思。寒沙集

2.김시민(金時敏) 1681-1747 歸來亭。敬次曾王考題板韻。東圃集

3.조원기(趙遠期) 1630-1680 次 歸來亭韻。寄金仲裕 九峯集

4.신민일(申敏一)1576- 1650 次 歸來亭韻 化堂先生集

5.윤신지(尹新之) 1582-1657 次金判書幸州別墅韻 二首 玄洲集

6.홍주국(洪柱國) 1623-1680 次主人題板韻 泛翁集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의 <귀래정(歸來亭)> 그림에서만 볼 수 있음이 크게 안타까울 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