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실 마을에 외로이 서 있는 陶山石室閭 陶山石室閭 너 외롭구나! 陶山石室閭 그 하나는 어디서 숨 쉬고 있을까. 선조의 혼이 담긴 비석인데. 오! 우리 안동 가문의 孤松五柳門 아 빗금이 간 네 아픔 그 언제 우리에게 돌아올까. 청음의 여음/석실 2015.09.03
김 수항(金壽恒)의 石室幽興 석실유흥<석실의 고요> -------------------------------------------------------------------------------------------------------------------- 石室幽興 석실유흥 <석실의 고요> 김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 1689년(숙종 15) 자 久之 호 文谷 시호 文忠 특기사항 己巳換局 때 賜死 ------------------------------------------------------------------------------.. 청음의 여음/석실 2015.01.15
김 영수(金永壽)의 石室書院舊址有感 <석실서원구지유감> 석실서원 옛터에서 石室書院舊址有感 석실서원구지유감 석실서원 옛터에서 김 영수(金永壽) 1829년(순조 29) - 1899년(고종 36) 자 복여(福汝) 호 하정(荷亭) 본관 광산(光山) 시호 문헌(文獻) 문집 荷亭集 金在源 判官-金宇鉉 <僉正南陽洪氏 洪集圭의 女> 金永壽 <豐壤趙氏 趙揆永의 女> 광성부원군 .. 청음의 여음/석실 2014.09.24
수석동에 있는 석실 서원지 < 터>-- 김창흡의 석실서원 石室書院 (석실 서원)-------- 김 창흡(金昌翕) 1653년(효종 4) - 1722년(경종 2) 자 子益 호 洛誦子, 三淵 시호 文康 雲雪渾江漲。孤淸石室峰。 눈보라에 뒤섞여 강물 넘치고 석실의 산봉우리 홀로 맑구나. 庭留碑突兀。席有講從容。 뜨락에 남은 비각 우뚝 솟았고, 말없이 강의 듣던 자리만 있네. 夜氣存山.. 청음의 여음/석실 2011.03.14
[스크랩] 석실서원(글) 윤종일 교수의 '남양주 역사기행(21)' - 석실서원(石室書院) ▲ 석실서원(겸재 정선) 글. 윤종일 교수(서일대 민족문화과) 석실서원은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도덕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서원으로, 이후 김상용(金尙容), 김수항(金壽恒), 민정중(閔鼎重), 이단상(李端相), 김창집(金昌集), 김.. 청음의 여음/석실 2011.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