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寒日雪 대한일 설-------------
이 민구(李敏求)
1589년(선조 22)--1670년(현종 11)
風威向曉轉乘凌。 풍위향효전승릉
紙帳霜凝布被稜。 지장상응포피릉
白屋寒埋連夜雪。 백옥한매연야설
窮泉凍合積年氷。 궁천동합적년빙
徒看厚地千尋坼。 도간후지천심탁
未信幽陽一氣升。 미신유양일기승
憑仗濁醪排凜冽。 빙장탁료배늠렬
暫時頹枕睡瞢騰。 잠시퇴침수몽등
< 鐵城錄 四 東州先生 詩集 卷之四에서 >
한자
曉 새벽 효. 凌 침범할 릉 帳 휘장 장 凝 엉길 응 稜 모서리 릉 埋 묻을 매 坼 터질 탁
升 오를 승 憑 기댈 빙 醪 막걸리 료 澟 서늘할 름 冽 찰 렬暫 잠시 잠 頹 무너질 퇴
枕 베개 침 瞢 어두울 몽 騰 오를 등
풀이 ------------------------------------------------------------------------------------
대한 날에 눈 내리고
새벽녘 거센 바람 얼음으로 바뀌고
종이 장막의 서리 무명 이불 가에 엉기네.
썰렁한 오막 집 늘 밤눈에 묻히고.
깊은 샘 얼고 얼음 쌓여 합치는구나.
보이는 것이라곤 두터운 땅 깊게 갈라진 것뿐
막걸리 한 잔 기울이니 추위가 물러나네.
못 믿을레라. 유양의 한 기운이 오르는 것을
잠시 잠에 빠져 몽롱하게 취했도다.
----------------------------------------------------------
◂風威풍위: 매섭게 부는 바람의 위세 ◂向曉 향효: 새벽이 다가옴.
◂轉乘凌 전승릉: 얼음으로 바뀌어짐. ◂布被포피 : 베이불. 무명 이불
◂白屋 백옥 : 흰 띠 풀로 지붕을 인 집이라는 뜻으로 오두막 집.
◂窮泉 궁천 : 샘 밑. 샘 아래. 궁음 <窮陰>이라는 말이 있는데 음기가 성한 겨울의 막바지가 됨을 말함. 대한이 지나면 차차로 양기의 기운이 일어난다고 함.
◂未信 미신 : 믿지 못함. ◂幽陽 유양 : 달의 이칭을 말하기도 하나, 여기에선 그윽한 양의 기운을 말함. ◂濁醪 탁료 : 막걸리. 탁 백이. ◂ 凜冽 늠렬 : 서늘하고 차갑게 됨.
◂ 瞢騰 몽등 : 몽롱해지는 것.
------------------------------------------------------------------
감상이해 --------------------------------------------------------------
대한 <大寒> 날에 눈이 내린 자연의 경치를 그리면서 음 기운이 가득 차 있는 겨울 속
막걸리 한 잔으로 따뜻한 양 기운이 솟아오르고 있다는 자연의 순연한 이치에 경이감을
느끼고 있다. 음과 양의 순환하는 만물의 철리를 몸소 체득하고 있는 경지를 그린 시다.
새벽녘 차가운 바람 불어오고, 오두막집 무명 이불에 찬 이슬까지 덮쳐 오는 눈 내리고 있는 대한 날에 온몸이 훈훈해지는 막걸리 한 잔을 통해서 삶의 온화함을 그리고 있다.
내용분석
<1-2행>----겨울바람. 찬 서리 내리는 겨울 풍경
<3-4행>----눈 속에 묻힌 오두막 집 ------------- 겨울 풍경 ( 서경 )
<5-6행>----막걸리 한 잔을 마심
<7-8행>--- 깊은 취기에 빠짐 ----------------- 양기를 느낌 ( 서정 )
24절기의 마지막 절후(節候)인 대한 날에 눈이 내려 궁음 속에 빠지고 있다. 그러나
이 대한이 지나면 음기가 사라지면서 점차로 양기인 봄기운이 찾아올 것을 희망하고 있는
기대감 같은 것에 막걸리 한 잔에 지은이의 넉넉하고 온화해지는 서정을 볼 수가 있다.
----------------------------------------------------------------
지은이 소개
이 민구(李敏求)
1589년(선조 22) --1670년(현종 11)
자: 자시(子時) 아호: 동주(東州), 관해(觀海) 본관 :전주 (全州)
광해군 시대 21 세에 진사시(進士試)에 장원하였고, 예조 좌랑, 병조 좌랑이 되었다.
인조 시대엔
임숙영 (任叔英), 오숙(吳䎘), 이명한(李明漢), 장유(張維), 이식(李植), 정홍명 (鄭弘溟)
이경여 (李敬輿), 이경석(李景奭) 등과 같이 사가독서 인원에 뽑혀 활동하였고, 대사간.
이조 참의, 좌부승지, 부호군, 대사성 부제학 .도승지. 병조참판, 대사간, 이조 참판
대사헌, 강원도(江原道) 관찰사(觀察使) 등의 요직을 거쳤다. 실학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한 이수광(李睟光)<吏曹判書 지봉집(芝峯集>의 아들로 이 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장만(張
晩)의 종사관으로 활동했고,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도검찰부사(江都檢察副使)가 되
어 빈궁의 행차를 호위하였는데,
청 나라 군사가 강도(江都)를 공격할 때 방어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영흥(永興) 철옹성 (鐵甕
城)에 유배되어 이후 7 년간 유배지에서 보냈다.
효종과 현종 시대에 여러 번의 서용이 대간의 반대로 보류, 취소되었다.
문집에〈동주집〉저서에·〈독사수필 讀史隨筆〉·〈간언귀감 諫言龜鑑〉·〈당률광선 唐律廣
選〉 등이 있다.
'다른 가문 한시 모음 > 한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매월당 ‘探梅’의 서사적 解釋 (0) | 2008.03.20 |
---|---|
김시습의 탐매 14 수 연시 (0) | 2008.03.18 |
신 익상(申翼相)의 소한( 小寒 ) 전날에 (0) | 2008.01.07 |
홍세태의 수어장대에서의 감회 (0) | 2008.01.05 |
조 태채(趙泰采)의 立冬日 (입동일) (0) | 2007.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