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笑堂記
1)白雲之山 自瑞石發祖歷康順 爲掛笠回轉 餘氣至于潺澤 中開別區 可藏萬家. 區外山會 水聚緣溪. 攀岩補石通途 車不可方軌 膝不可成列者 數里. 三溪合流 白石磷磷 沿溪上下 百戶成村. 人跡罕到 眞人世間 別區勝境也. 自非脫俗 謝絶名利 隱居窮理 養性自修者 不得入是名區 而吾畏友張君天授氏 癖好山水 性喜安定 掉頭名利 深厭末路 棄雙岩繁華之村 卜居于此深隱之谷 不但山水之酷好 其志盖有所在也.
●自瑞石發祖歷康順
<東溟先生集.聞見雜錄>: “ 蓋日本地勢來自北漠無疑。國中諸山發祖於東北。中峙爲富士。”
歷: 發出; 流露. 드러내다. 표출하다. 보이다. <楚辭>: “ 兹歷情以陳辭兮, 蓀詳聾而不聞。”
康: 1)安樂, 安定. <漢書.宣帝紀>: “ 上下和洽, 海內康平。”2)健康.
順: 和順(mild). <詩.鄭風.女曰鷄鳴>: “ 知子之順之, 雜佩以問之; 知子之好之, 雜佩以報之。”
●爲掛笠回轉
爲: 如同; 好像. <呂氏春秋.愼人>: “ 道得於此, 則窮達一也, 爲寒暑風雨之序矣.”
●餘氣至于潺澤
餘氣: 1)殘餘未盡的邪舊之氣。<管子·侈靡>:“餘氣之潜然而動,愛氣之潜然而哀,胡得而治動?” 尹知章注:“ 災之餘氣,潜然發動。”
2)氣的非主體部分。 <晋書·天文志上>:“ 又案<河> <洛>之文,皆雲水火者,隂陽之餘氣也。夫言餘氣,則不能生日月可知也。”
潺澤: 섬진강. 筆者 <昇平霅峙村學契序>: “ 白雲之山 自光之瑞石發祖 歷同和綾寶順光止於海 始終 有光石爲瑞也. 山北潺澤 源自鎭之中臺發出.”
●攀岩補石通途
補: 원문에는 秿이다. 補의 잘못이다.
●車不可方軌
方: 幷行的兩船; 泛指幷列; 幷行. <資治通鑒>: “ 操軍方連戰艦, 首尾相接。”
●膝不可成列者
列: 排列有序的行列(竪排稱‘行’, 横排稱‘列’).
<史記.淮隂侯列傳>: “ 今井阱之道, 車不得方軌, 騎不得成列。”
●人跡罕到
罕: 稀; 少. <公羊傳.桓公六年>: “ 蓋以罕書也。” <廣欽老和尚事略>: “ 板橋信眾在北縣土城火山購地供師,即今承天寺所在,該地原係一片竹林,人跡罕到。
●眞人世間
世間: 人世間; 世界上。 晋陶潜 <飮酒>詩之三: “ 有飮不肯飮,但顧世間名。”
●別區勝境也
別區: 異域。
漢班固 <東都賦>:“西盪河源,東澹海漘,北動幽崖,南燿朱垠。殊方別區,界絶而不鄰。”
勝境: 佳境。風景優美的地方。 <南史.蕭暎傳>:“ 勝境名山,多所尋履。”
●自非脫俗
自非: 倘若不是。<左傳.成公十六年>: “ 唯聖人能外內無憂;自非聖人,外寧必有內憂。”
倘若: 만약 …한다면. 만일 …한다면. 가령 …한다면.
●而吾畏友張君天授氏
畏友: 在道義上 德行上 學問上互相規勸砥礪,令人敬重的朋友。
宋陸游 <病起雜言>詩: “ 起居飮食每自省,常若嚴師畏友在我傍。”
●癖好山水
癖好: 對某種事物的特別愛好。 清蒲松齡 <聊齋志異.葛巾>:“ 常大用,洛人,癖好牡丹,聞 曹州 牡丹甲齊魯,心向往之。”
●性喜安定
喜: 喜愛; 愛好. <史記.滑稽列傳>: " 齊威王之時喜隱。"
安定: 平靜穩定。<史記.留侯世家>: “ 諸侯安定,河渭漕輓天下,西給京師;諸侯有度,順流而下, 足以委輸。”
●掉頭名利
掉頭: 轉過頭。多表示不顧而去。
唐杜甫 <送孔巢父謝病歸游江東>詩: “ 巢父掉頭不肯住,東將入海隨煙(烟)霧。”
●深厭末路
末路: 路途的終點, 比喻衰亡沒落的境地.
下場,結局。 郭沫若 <落葉>: “ 哥哥,我前天晩上目擊了一個悲慘的人生末路。”
●不但山水之酷好
酷好: 非常愛好。 唐韓愈 <潮州刺史謝上表>: “ 臣受性愚陋,人事多所不通,惟酷好學問文章,未嘗一日暫廢。”
獨笑堂 이야기
1) 백운산(白雲山)은 서석산(瑞石山)으로부터 뻗어 나와 굳세고 양순함을 내보이며 매단 삿갓처럼 회전하다가, 남은 기운이 섬진강에 이르면 가운데에 별천지를 펼쳐 놓는데 10,000 가구를 품을 만하다. 이 구역을 벗어나면 산들이 모이고 강은 연결된 시내들을 모은다. 암반에 의지하여 돌을 쌓아 길을 뚫었는데 수레가 나란히 지나갈 수 없고 사람들이 열 지어 지나갈 수 없는 상황이 몇 리에 이른다. 개천 셋이 합류하는데 하얀 돌들이 반짝 반짝 빛을 내며 개천 가 위 아래로 백 가구가 마을을 이루고 있다. 인적 드문 진인(眞人)의 세상은 별천지처럼 경치 좋은 곳이다.
만약 속세를 떠나 명리(名利)를 마다하고 은거하여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고 품성을 길러 자신을 닦는 자가 아니라면 이 별천지에 들어올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내가 존경하는 친구 장천수(張天授) 군(君)은, 산수(山水)를 너무 좋아하고 성격이 낙천적인데다 명리를 마다하고 말세에 염증을 느껴, 번화한 마을 쌍암(雙岩)을 떠나 이 깊은 골짜기를 골라 살 곳으로 정했다. 그 것은 산수를 너무 좋아한 뿐만이 아니고 그가 뜻한 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서석산: 광주 무등산의 옛 이름.
●진인(眞人): 참된 도를 체득한 사람.
●쌍암(雙岩): 현재 광주광역시시 광산구 쌍암동. 현재 첨단산업단지가 입지해 있다.
2)於是立三間精舍 于二水之濱 爲房者二 爲軒者一 四壁圖書 滿案經典 庭梅盆栢 以寓. 其興太極八卦畵 畵于房之天 望見圖書 臥看太極 察陰陽消長之理 審寒暑進退之度 大有自得 則時時獨笑. 盖笑有偶 而不偶而獨. 此宜其堂之額也. 噫. 消長進退之道 世鮮知者 欲偶而無 不偶而獨 此其勢也. 俯仰中識 獨有所得笑. 其無偶. 吾知其笑 笑其獨也. 信乎額其堂曰 獨笑 笑矣乎 笑矣乎. 看今宇內 得其化兒之工 笑其無偶. 張也獨. 庚午元月上澣 可笑客 含笑而記. 覽者笑之.
●於是立三間精舍
精舍: 學捨;書齋。
<後漢書.黨錮傳.劉淑>: “ 淑少學明<五經>,遂隱居,立精捨講授,諸生常數百人。”
●其興太極八卦畵
興: <康熙字典>: “ <集韻> 象也。” 象: 모방하다. 본뜨다.
●望見圖書
望見: 從高處 遠處看到。
<左傳.定公三年>:“ 邾子在門臺,臨廷。閽以缾水沃廷。 邾子望見之,怒。”
圖書: 指河圖洛書。 語出 <易.繫辭上>: “ 河出圖,洛出書,聖人則之。”
河圖洛書: 古代儒家關于<周易> 卦形來源及<尚書.洪範> ‘九畴’ 創作過程的傳説。<易.繫辭上>:“ 河 出圖, 洛 出書,聖人則之。” 河, 黄河 。 洛,洛水 。據漢儒 孔安國 劉歆 等解説: 伏羲時有龍馬出于黄河,馬背有旋毛如星點,稱作龍圖。 伏羲取法以畫八卦生蓍法。 夏禹治水時有神龜出于洛水,背上有裂紋,紋如文字,禹取法而作 <尚書.洪範>‘九畴’。見 <書.顧命>、<洪範>之孔傳、<漢書.五行志上>。古代認爲出現‘河圖洛書’是帝王聖者受命之祥瑞。
●大有自得
大有: 卦名。即乾下離上。象徵大,多。 高亨注: “ 大有,所有者大,所有者多也。”
●盖笑有偶
有: 只有. 오직 …해야만. 유일한 조건을 표시함.
●而不偶而獨
偶: 匹對; 配偶(mate; spouse).
獨: 無子孫的老人. <孟子.梁惠王下>: “ 老而無子曰獨。"
●此宜其堂之額也
宜: 合適; 適宜. <吕氏春秋·察今>: “ 世易時移, 變法宜矣。" 宜矣, 是適宜的了,是應該的了。
●俯仰中識
俯仰: 形容沉思默想。 宋歐陽修 <歸田錄.序>: “ 而乃裴回俯仰,久之不決。”
●其無偶
無偶: 沒有同伴。 <南史·袁粲傳>:“ 昨飮酒無偶,聊相要耳。”
●笑矣乎
矣乎: 語氣詞連用。‘矣’表示已然或將然, ‘乎’表示疑問或感嘆, 可譯爲 ‘了嗎’ ‘了吧’等.
晋陶淵明 <歸去來兮辭>: “ 已矣乎。”
●信乎額其堂曰
信: 果眞, 的確(certainly). <史記.華佗傳>: “ 若妻信病, 賜小豆四十斛, 寛假限日。”
<世宗實錄>: “ 登焉四顧, 則大江回塘, 縈紆縯洋, 而連峯疊嶂, 秩見層出, 環丘來朝, 勢若星拱, 信乎天作之勝地矣。”
●看今宇內
宇內: 天下. 漢賈誼 <過秦論>: “ 包舉宇內。”
●化兒之工:
化兒: 造化小兒的省稱。戲指創造萬物之神。 宋範成大 <病中絶句>之三: “ 化兒幻我知何用,祇與人間試藥方。” <魯西先生遺稿.巴東紀行>: “ 因其自然之理而形之也。化兒之功。亦若是也。”
工: 通‘功’.
●含笑而記
含笑: 面帶笑容(have a smile on one’s face)。 南朝 宋 劉義慶 <世説新語·言語>:“ 周僕射雍容好儀形,詣王公,初下車,隱數人, 王公含笑看之。”
2)그래서 친구는 두 시내가 만나는 물가에 세 칸 학사(學舍)를 짓고 방 두 칸과 마루 한 칸을 냈다. 사방 벽은 하도낙서(河圖洛書)로 채우고, 책상에는 경전을 가득히 쌓아두고, 정원에는 매화를 화분에는 잣나무를 키우며 산다.
그는 태극팔괘화(太極八卦畵)를 본떠 방 천장에 그려 넣었다. 그리고 하도낙서(河圖洛書)를 바라보고 누워서 태극(太極)을 보면서 음양 성쇠의 이치를 살피고 계절 변화의 이치를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그리고는 스스로 크게 깨달으면 간혹 혼자서 웃었다.
대체로 웃음에는 짝이 있어야 하지만 짝을 짓지 못하면 혼자 웃어야 한다. 이는 친구 집 당호(堂號)를 그럴듯하게 한다. 아, 음양 성쇠와 진퇴의 이치는 세상에 아는 자가 드물어 짝을 짓고자 하지만 짝이 없고, 짝을 짓지 못하면 자식 없는 홀아비다. 이 것이 세상의 이치이다.
이 생각 저 생각 하던 중에 홀아비는 조소받을 데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아내가 없다. 나는 그 조소가 자식 없음을 조소한다는 걸 알고 있다. 과연 그의 집에 걸린 현판은 “홀로 웃는다. 비웃는가, 비웃는가?”라고 쓰여 있다. 요즘 보자니 온 천하가 조물주(造物主)의 공덕(功德)을 입고는 배필이 없다고 조소한다. 장(張) 군(君)은 자식 없는 홀아비다.
경오(庚午,1690)년 1월 10일.
조소(嘲笑)받아야 할 자가 미소를 머금고 쓰다. 이 글을 보는 자, 비웃으라.
2002.11.8.
2003.3.11.1차 수정.
2006.12.23. 2차 수정.
2009.8.22. 3차 수정.
저자 二憂堂 趙柳祥
번역 微幽堂 趙英輝
'다른 가문 한시 모음 > 현주 조찬한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 찬한(趙纘韓)의 新婦 (신부)= 며느리 (0) | 2011.01.15 |
---|---|
조 찬한(趙纘韓) 의 古卉 고훼. 枯木< 시든 나무> (0) | 2011.01.03 |
조 찬한의 花鴨 (화 압) <비 오 리> (0) | 2009.07.26 |
현주 조찬한 님의 파사성 (0) | 2009.05.16 |
조찬한의 祭亡室文祭文 제 망실 문제문 (0) | 2008.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