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동 가문 시 모음/풍고 김조순의 시 모음

楓臯 金祖淳 풍고 김조순의 수선화--- 서간문--- 두실에게

백촌거사 2011. 3. 31. 15:49

 

필자의 序言-----------------------------------------------------

필자가 80 년대부터 소장해온 楓臯 金祖淳 조상님의 서간문이다. 초서로 된 글이라 완전하게 읽을 수 없어 <굴어당 카페>를 운영하시는

淸溪 趙冕熙 선생님께 부탁을 드렸더니

몇 년 전에 脫草와 함께 번역까지 하여 보내주셨다. <풍고집>에는 없는 시 한 편이 기록되기도 하였다. 水仙花라는 제목으로 된 시를 조사하다가 두실(斗室),심상규(沈象奎) 선생님의 문집에 풍고 조상님과 서로 화답하였다는 시 한 편이 있었다.

바로 필자가 소장한 서간문 속에 斗室 어르신이 화답한 시의 원본이 되는 내용이 실려 있지 않은가. 풍고집에는 없는 참으로 귀중한 원본의 내용이었다. 쓰신 연대를 알 수가 없었는데 두실 선생님의 시를 통해서 서간문의 연대도 알 수 있었음에 큰 기쁨으로 여기에 필자 나름대로의 해석과 감상을 넣어 옮겨본다. 그리고 이 글은 분명히 玉壺別墅에 머무실 때의 기록임도 알 수 있었다. 趙冕熙 선생님, 그리고 한국 고전번역원의 도움을 많이 받았음에 깊은 고마움을 전해드린다.

-----------------------------------------------------------------------------------

 

 

                  水仙花 分植

                                 수선화 나누어 심다

                                                                김 조순(金祖淳)

                                                                1765년(영조 41)

                                                                1832년(순조 32)

                                                                               초명 낙순(洛淳)

                                                                  자 사원(士源) 호 풍고(楓皐)

                                                                봉호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시호 충문(忠文)

                                                              연대: 순조 13년 (1813년)

                                                          수신인 두실(斗室)심상규(沈象奎)

-------------------------

余得水仙花種, 與斗室分植, 斗室疑余植法與花經所載不同, 謂難活, 朝起視盆, 碧芽競抽, 遂信筆書近體一首奉寄, 非爲詩也, 聊以瀉彼此悁鬱之懷而已,

 

 

名仍雅蒜 (南人稱水仙爲雅蒜也)

風情喚又水仙

八千里外來何遠

十二月中種太

夜燭潛看斑顆濕

朝窓宛覺碧尖

敎君認我春消息

花史如膠柱動

 

 

旣雪又寒, 寒欲剜骨, 豈衰相耶 病情耶. 抑天不欲孑遺斯民, 眞正栗烈之甚耶 計故人此時亦如我想之, 閉戶悄坐, 忽見水仙抽芽如往年, 如往年則看花定無可疑, 未知那邊盆, 信亦如此否 渾身如潑水, 無意動撣, 未敢徑造一晤, 漫吟一篇以代面敍, 如賜報瓊, 足以慰呻吟凌兢之懷也.

                          臘月 二日 眷弟

                       楓皐 祖淳 再拜

 

                           斗室文兄足下

 

국역-----------------------------------------

내가 수선화 씨를 얻어서 두실 斗室(심상규沈象奎 : 1765-1838 )과 더불어 나누어 심었는데 두실은 ‘내가 그 씨를 심는 방법이 화경花經 <宋의 장익(張翊)의 책. 꽃의 분류>

에 실린 것과 달라서 아마도 살리기 힘들 것이야’하고 의심하였다.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 화분을 보니 푸른 싹이 다투듯이 솟아 올라왔다. 그래서 나는 붓 가는 대로 근체시(近體詩) 한 수를 써서 보내었는데

시라고 할 수가 없고 그저 피차간에 근심스럽고 답답한 회포를 썼을 뿐이다.

 

 

모양은 이름대로 아산 닮아 특이하고,

풍치로는 수선이라 부름도 마땅하네.

 

 

팔 천리 밖 먼 곳에서 어찌해 왔으며.

섣달 중에 너무 늦게 구근을 심는구나.

 

 

밤 촛불에 살펴보니 알뿌리 젖어 있고

아침 창가 또렷이 푸른 잎에 꽃 솟았네.

 

 

그대에게 내 봄소식 알게 하려 했는데

<花史>의 책 내용은 융통성이 너무 없소.

 

 

눈 내린 후 또 날씨가 추워져 추위가 뼈를 깎는 듯하니, 쇠약해져 가고, 병들어 감을 어찌하랴, 하늘이 나 같은 외로운 백성을 남겨두지 않으려고 하니, 정말로 매서운 추위가 심하구나.

 

옛사람들도 이때쯤 되면 역시 나의 생각과 같으리라고 헤아려 보면서 문을 닫고 근심스러운 마음으로 앉아 있었는데 갑자기 수선화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싹이 돋아나 있었다.

 

싹이 지난해와 같아서 꽃을 볼 수 있는 것도 진정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저쪽의 화분도 이것과 같이 이렇게 신의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모르겠네. 온몸이 물을 뿌린 듯이 식은땀이 나고 움직일 기력이 없어 감히 직접 한번 만나러 갈 수가 없어, 되는 대로 한 편의 시를 읊어서 얼굴을 마주 보는 것을 대신하니 만일 좋은 시로 회답해 준다면 병중에 신음하고 두려워하는 회포를 위로하는 데 만족할 것이오.

 

                                  섣달 이튿날 권제인 풍고 조순은 재배함

 

                                                              두실 문형 족하

이 글의 번역은 淸溪 趙冕熙 선생님의 해석을 많이 참고 했음

 

 

 

 

 

 

 

50cm x 26cm 8줄 총 109자

8 줄 총 91 자

8 줄 총 53자

 

                                           풍고 글씨

                          수신인 두실 심상규---- 청송 심씨

                               서간문의 맨 앞 글씨 余得水仙花種-------

--------------------------------------------------

【 흰 마을 분석노트】------------ 문곡의 12 대 후손 金 彰顯

 

<풍고1> 두실과 함께 수선화 심다-----------------

余得水仙花種, 與斗室分植, 斗室疑余植法, 與花經所載不同, 謂難活,

한자 읽기

여득수선화종, 여두실분식, 두실의여식법, 여화경소재불동, 위난활,

------------------------------------------------------------

국역

내가 수선화 씨를 얻어서 두실斗室(심상규沈象奎 : 1765-1838 )과 더불어 나누어 심었는데 두실은 ‘내가 그 씨를 심는 방법이 화경花經 <식물도감인 듯>에 실린 것과 달라서 아마도 살리기 힘들 것이야’하고 의심하였다.

내용 함께 수선화 씨를 심다. 심상규의 의아심

-------------------------------------------------------------------------------------------

이해노트

水仙花, 학명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수선화과(水仙花科 Amaryll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别名:凌波仙子、金銀台、玉玲珑、、姚女花、女史花、

天葱、雅蒜、天蒜、俪兰、女星配玄(水仙菖金盞銀臺)

유럽과 동북아시아가 원산지.

여러해살이 풀이다. 비늘줄기는 둥근 달걀 모양이고, 그 아래에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줄꼴. 10월에 정식하면 1월이나 2월에 꽃을 피운다. 꽃빛깔은 백색, 황색, 등홍색이다 비늘줄기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껍질은 검은색이다. 높이는 20∼40cm이며, 잎은 좁고 길며 끝이 뭉툭하고 늦가을에 자라기 시작한다. 비늘줄기로 번식한다.

①꽃의 종류(種類) ②꽃의 종자(種子)

[명] 【생물】 종(種). [생물 분류의 기초 단위].

[동] (식물을) 심다. 가꾸다. 재배(栽培)하다.

 

✱ 듬성듬성한 학사의 머리 어떡할거나 / 學士其如種種

✱ 뽕나무며 가래나무 집 둘러 심었도다 /得桑楡遍遶廬

✱ 서책 뒤적이며 나무 심는 법 배웠겠지 / 樹按方書

斗室 썩 작은 방이나 집. = 斗屋 =蝸室=蝸廬

數間斗屋 몇 칸 안 되는 작은 집. 斗室蝸屋 매우 작은 집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이다.

이글에서는 인명으로 沈象奎 ( 1766-1838 )본관은 청송(靑松). 초명은 상여(象輿). 자는 가권(可權)·치교(穉敎), 호는 두실(斗室)·이하(彛下)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이조·호조·형조의 참판과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1809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1811년 병조판서로 있을 때 평안도농민전쟁을 수습했으며, 1821년 대제학이 되었다. 그 뒤 이조판서를 거쳐, 1825년 우의정에 순조가 죽자 원상(院相)으로 헌종대 초기의 정사를 관장했다.

 

花經- 宋의 장익(張翊)이 지은 책. 꽃의 경전. 꽃을 여러 가지 등급으로 순서를 매겨 적음.水仙花를 五品으로 정함.

疑余 나는 의아하게 생각함. 나는 심상규.

謂 難活 살아나기 힘 들 것이라고 이르다.

✱ 멋들어진 놈일수록 살기 더욱 힘들더군 / 美者尤難活

✱ 부처도 굶주린 사람은 살리기 어려우리 / 佛猶難活已飢人

✱ 어린 대는 옮겨서 살리기 어렵나니 / 穉竹移難活

-------------------------------------------------------------------------------------

<풍고 2> 싹이 올라 근체시 한편 쓰다------------------

 朝起視盆, 碧芽競抽,

遂信筆書近體一首奉寄,

非爲詩也. 聊以寫彼此悁鬱之懷而已.

한자 읽기

조기시분, 벽아경추,

수신필서근체일수봉기,

비위시야. 료이사피차연울지회이이.

---------------------------------------------------------------

국역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 화분을 보니 푸른 싹이 다투듯이 솟아 올라왔다. 그래서 나는 붓 가는 대로 근체시(近體詩) 한 수를 써서 보내었는데

시라고 할 수가 없고 그저 피차간에 근심스럽고 답답한 회포를 썼을 뿐이다.

내용 푸른 싹이 돋아남. 근체시 한편을 쓰다- 회포를 풀다.

-------------------------------------------------------------------------------------------

이해노트

碧芽 푸른 싹

競抽 다투듯이 솟아나다.

다투어 서책 뽑아 어지럽고요 / 競抽書帙亂

다투어 퍼런 칼을 뽑아들고 / 競抽白刃露鋒鋩

✱ 뭇 초목은 뒤질세라 줄기가 뻗어나지 / 羣卉競抽

信筆 붓 가는 대로

✱ 붓 가는 대로이지 마음 쓰지도 않네 / 信筆何曾用意爲

✱ 붓 가는 대로 한 편 써서 변방에 부치노라 / 信筆寄關山

✱ 붓 가는 대로 시 짓고는 혼자서 보노매라 / 信筆詩成獨自看

✱ 푸른 벼랑 홀로 대해 붓 가는 대로 쓰네 / 獨對蒼崖信筆

近體 한시의 형식인 근체시. 이글에서는 칠언 율시의 형식.

奉寄 삼가 부치다

✱ 이것을 부치는 뜻 어디에 있는가 / 奉寄意如何

✱ 동정에게 받들어 부치다[奉寄東亭]

✱ 몇 줄 안부의 글 받들어 부칩니다 / 奉寄數行書

聊以 애오라지(부족하나마 그대로) 그저

✱ 그런대로 한번 웃자는 것이다 /聊以博笑

✱ 애오라지 어버이를 받들려고 했었는데 / 聊以奉親

✱ 잠시나마 세속 잡념 털어낼 수 있었다오 / 聊以抒夫偪塞

✱ 한가로이 말고삐 늦춰 잡는다 / 聊以緩長轡

✱ 그저 즐거울 뿐이었네 / 聊以樂且

悁鬱之懷 근심스럽고 답답한 회포. 막힌 마음.

일찍부터 답답함이 풀리지 않네/ 悁鬱不曾開

답답함을 위로해 근심을 풀어주다/慰釋悁鬱

꽉 막힌 마음이 확 틔어/ 殊覺悁鬱開豁. 意致悠然

悁急- 성을 잘내고 성미가 급함. 悁想 - 수심에 잠김

悁悁- 근심하는 모양 悁憂- 성내고 근심함= 悁邑= 悁悒

悁悶 근심하고 번민함.

而已 語氣詞로 한정됨을 나타냄. 而已矣. 耳와 같음.

~할 따름. ~뿐임, ~일 따름임

----------------------------------------------------------------------

 

<풍고 3.> 근체시 한 편 水仙花 칠언 율시----------

名仍雅蒜 風情喚又水仙.

八千里外來何遠 十二月中種太.

夜燭潛看斑顆濕 朝窓宛覺碧尖.

敎君認我春消息 花史如膠柱動.

한자 읽기

형사명잉아산기 풍정환우수선.

팔천리외래하원 십이월중종태.

야촉잠간반과습 조창완각벽첨.

교군인아춘소식 화사여교주동.

한자

인할 잉맑을 아 달래 산 부를 환 잠길 잠 얼룩 반 낟알 과

축축할 습 뾰족할 첨 불을 자아교 교 기둥 주

한시의 형식: 칠언 율시. 仄起式으로

上平聲인 支자 韻운임.(奇宜遲滋絲)

---------------------------------------------------------------------

필자의 해석

모양은 이름대로 아산 닮아 특이하고,

풍치로는 수선이라 부름도 마땅하네.

 

 

팔 천리 밖 먼 곳에서 어찌해 왔으며.

섣달 중에 너무 늦게 구근을 심는구나.

 

 

밤 촛불에 살펴보니 알뿌리 젖어 있고

아침 창가 또렷이 푸른 잎에 꽃 솟았네.

 

 

그대에게 내 봄소식 알게 하려 했는데

<花史>의 책 내용은 융통성이 너무 없소.

------------------------------------------

趙冕熙 선생님의 해석------------------------------

모양 따라 아산(마늘)이라 부르는 것도 기이한데

풍기는 멋은 수선이라고 부르는 것도 또한 마땅하군.

 

 

팔 천리나 되는 먼 길을 어찌 왔는가?

십이월에 씨를 심은 것도 너무 늦었는데.

 

 

밤에 촛불 켜고 몰래 보니 아롱진 씨가 젖었더니

아침 창가에서 물기 먹은 푸른 싹이 뾰족 솟아났네.

 

 

그대 때문에 내가 봄소식을 알게 되었는데

식물책의 융통성 없기는 아교거문고를 타는 것 같군.

--------------------------------------------------------

이해노트

-------------------------------------------------------

<풍고 3-1.> 두련:名仍雅蒜 風情喚又水仙

모양은 이름대로 아산 닮아 특이하고,

풍치로는 수선이라 부름도 마땅하네.

註釋- 南人稱水仙謂雅蒜也

--------------------------------------------------------------

모양 따라 아산(마늘)이라 부르는 것도 기이한데

풍기는 멋은 수선이라고 부르는 것도 또한 마땅하군.< 趙冕熙 선생님 해석>

 

내용: 수선화의 특징과 이름-- 아산과 수선화

아산이란 이름은 기이하고 수선화라는 이름은 알맞다.

註釋- 남쪽 사람들은 수선을 아산이라고 부른다.

---------------------------------------------------

형체(形體)가 서로 비슷함. 눈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옮겨 놓은 그림을 말 하기도 한다.

…와 같다. 비슷하다.

명사(名詞), 대명사(代名詞), 동사(動詞) 뒤에 쓰여 어떤 종류의 사물이나 상황과 서로 비슷함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앞에 ‘像’、‘跟’ 등을 사용하여 씀.

 

✱ 어찌나 비슷한지 그 이름 얻고도 남겠고녀 / 形似居然强得名

✱ 흰 베 한 필 긴 무지개 모두 모양 흡사한데 / 匹練長虹摠形似

✱ 나무를 깎아 모양을 만들고 / 剡木爲形似

✱ 형체는 가마솥과 같고 / 形似釜也

-------------------------------------------------

名仍 이름대로. 이름을 따라

✱ 험난한 곤경 겪으면서 그대로 명성 드러냈고 / 歷險名仍

✱ 국가의 원로로 중망(重望)이 여전하고 / 耆宿名仍

✱ 해괴한 일이라 그 이름 알려졌네 / 事怪名仍

✱ 이름 숨기고 아울러 몸까지 숨기려 하네 / 藏名仍欲更藏身

✱ 자취 숨겨 이름 이에 안 드러나고 / 迹隱名仍

1. 부사- 곧, 즉, 그래서- 두 가지 일을 서로 잇거나 서로 원인을 나타냄

2. 부사- 늘 누차- 중복이나 빈번한 것을 나타냄

3. 부사- 변함없이, 여전히, 역시, 본시대로- 상황이 계속이 됨.

雅蒜 (아산)-- 수선화의 딴 이름. 칼처럼 뾰족하고 긴 잎사귀 때문이다.

蒜은 달래와 마늘이다. 수선화의 잎사귀가 마늘이나 달래의 잎과 닮았다고 하여

天蔥 天蒜 등의 명칭이 있다.

風情 풍치(風致)가 있는 정회(情懷) 1 정서와 회포를 자아내는 풍치나 경치.

2 같은 말: 물정(物情).

✱ 통쾌하게 술 마셔 풍채 보이니 / 痛飮見風情

✱ 늙고 나니 좋던 풍류 날 버리고 다 떠나고 / 老去風情渾謝我

✱ 동파 늙은이 풍치 많음은 일찍이 알거니와 / 夙知坡老風情

✱ 산집의 송별하는 풍치가 후하기도 해라 / 山家送別風情

水仙 ①물 속에 산다는 신선(神仙) ②수선화(水仙花)

✱신선의 풍채나 도인의 골격 같은 수선화가 / 仙風道骨水仙

✱물결을 타며 수선을 배우네 / 凌波學水仙

✱풍미가 맑기도 한 장한의 수선일세 / 張翰水仙風味淸

✱수선꽃은 천 송이에 또 다시 만 가질세 / 水仙千朶復萬枝

---------------------------------------------------------

<풍고 3-2.>함련: 八千里外來何遠 十二月中種太遲.

팔 천리 밖 먼 곳에서 어찌해 왔으며.

섣달 중에 너무 늦게 구근을 심는구나.

팔천 리나 되는 먼 길을 어찌 왔는가?

십이월에 씨를 심은 것도 너무 늦었는데. < 趙冕熙 선생님 해석>

내용 수선화의 원산지와 수선화 심기

-------------------------------------------------------------------------------------------------------------------

八千里 팔천 리나 되는 먼 길.

수선화의 원산지는 일반적으로 지중해 연안으로 특히 스페인·포르투갈에 많으며, 북아프리카에도 분포한다고 한다. 심는 시기는 10 ~ 12월이며 수선화는 추위에 강한 봄 꽃으로 구근은 10~11월경에 심고 꽃피는 시기는 2~5월 이라고 한다.

--------------------------------------------------------------------------------

何遠 어찌하여 먼가.

✱ 어째서 그렇게 먼 곳으로 가셔야만 했던가/何遠爲些

✱ 돌고 돌아 길은 어이 그리 멀어 / 回互路何遠

✱ 봄풀 향기는 왜 그리 멀리 풍기나 / 春草香何遠

✱ 천 년의 세월인들 멀다 하리오 / 千載何遠

✱ 화락한 정은 어이 그리 심원한고 / 樂易情何遠

✱ 생각을 하지 않아서이지 어찌 멂이 있겠는가./未之思爾夫何遠之有

太遲 너무 늦다. 太는 부사.

✱ 나이 예순에 산 찾다니 너무도 늦은 계책 / 六十遊山計太遲

✱ 화기로운 태평 시대 어찌 이리도 더디어서 / 玉燭元和何太遲

✱ 바다에 나는 붕새 길이 너무 더디구나 / 溟海鵬搏路太遲

 

-----------------------------------------------------------------------------

<풍고 3-3.> 경련: 夜燭潛看斑顆濕, 朝窓宛覺碧尖滋.

밤 촛불에 살펴보니 알뿌리 젖어 있고

아침 창가 또렷이 푸른 잎에 꽃 솟았네.

밤에 촛불 켜고 몰래 보니 아롱진 씨가 젖었더니

아침 창가에서 물기 먹은 푸른 싹이 뾰족 솟아났네.< 趙冕熙 선생님 해석>

----------------------------------------------------------------------------------------------------------------------------

내용

수선화의 개화---- 너무 늦게 심어 꽃이 피어날까 걱정했으나

아침에 꽃이 핀 것에서 오는 반가운 마음.

초조한 마음으로 기다리는 심정의 반영. 조마조마한 심정을 가라앉히고

차분하게 바라보고 있는 마음이 담겨 있다.

기다림과 경탄감의 감정이 담겨 있다.

----------------------------------------------------------------------------------

潛看 마음을 가라앉히고 차분히 바라보는 마음. 잠심으로 바라봄.

斑顆 얼룩진 둥근 알뿌리

수선화는 작은 양파 모양의 짙은 흙빛으로 둘러싸인 구근을 심는 것으로 보아

물속에 담겨 있는 둥근 알뿌리가 아닐까.

수선화의 비늘줄기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껍질은 검은색이라고 한다. 비늘줄기 [鱗莖]에서 5∼7 개의 잎이 나오고 그 끝에 꽃이 피어난다고 함.

아롱지거나 얼룩진 무늬를 말하고, 는 덩어리로 된 것을 세는 단위의 쓰임이다. 둥글게 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이다.

수선화를 잘 아시는 원예를 하시는 분의 좋은 가르침이 있었으면 합니다.

---------------------------------------------------------------------------

宛覺 뚜렷하게 드러내다.

宛然히: 눈에 보이는 것처럼 아주 뚜렷하다. 모양이 서로 비슷하다.

宛丘- 중앙이 높은 언덕 宛似- 흡사함 宛延- 꼬불꼬불한 모양 宛輭- 순하고 부드러운 모양 宛宛- 굴신하는 모양 .유약한 모양.

---------------------------------------------------------

尖滋 뾰족하게 자라나 있음

붇다, 증가하다(增加--) ㉡늘다, 많아지다 ㉢번식하다(繁殖ㆍ蕃殖ㆍ蕃息--) ㉣자라다, 생장하다

滋多- 더욱 많음. 滋繁- 우거짐 滋漫- 널리 퍼짐 滋蔓- 무성히 퍼짐 滋碩- 초목이 자라서 커짐 滋榮- 번성함 滋雨- 초목을 알맞게 적셔 무성히 내리는 비

㉠뾰족하다 ㉡날카롭다 ㉢작다 ㉣거칠다, 격렬하다(激烈--) ㉤꼭대기, 정상(頂上) ㉥봉우리

尖利-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움 尖纖- 뾰족하고 가늚 尖尖- 끝이 뾰족한 모양

삼각산 가을 모습이 뾰족하게 드러나누나 / 三角秋容露碧

첩첩이 높은 산이 푸른빛으로 솟았구나 / 重疊雲山露碧

아름다운 채소들이 비 뒤에 자라나네 / 嘉蔬雨後

향하는 마음은 비에 자란 이끼를 본 듯하네 / 神遊如見雨

 

-------------------------------------------------------------

<풍고 3-4>미련: 敎君認我春消息, 花史如膠柱動絲.

그대에게 내 봄소식 알게 하려 했는데

< 花史>의 책 내용은 융통성이 너무 없소.

그대 때문에 내가 봄소식을 알게 되었는데

식물책의 융통성 없기는 아교 거문고를 타는 것 같군.< 趙冕熙 선생님 해석>

---------------------------------------------------------------------------------------------------------------------

내용 화자의 변명- 개화에 대한 기쁨. 융통성 없는 화경 책의 비판.

화경에 나온 대로 심지 않았는데 꽃이 피었음을 전하면서

은근히 화경의 책 내용이 너무 규칙에만 매여 있는 것 같아 융통성이 없음을 전하고 있다. 어찌 되었거나 꽃이 핀 수선화를 통하여 봄소식을 전하고 있다.

두실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씨를 심는 방법이 화경에 실린 내용과 달라 살리기가 힘들 것이라고 의아해 하였다. 그러나 책의 방법대로 심지 않았어도 꽃이 핀 기쁨을 전하고 있다.

--------------------------------------------------------------------------------

敎君 그대로 하여금 教 자는 사역의 의미로써 ‘~로 하여금’의 뜻

膠柱動絲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아교로 붙여서 고정시켜 놓고 거문고 줄(絲)을 뜯는다(動)는 말로 융통성 없는 것을 비유함.

기러기발 거문고, 가야금, 아쟁 따위의 줄을 고르는 기구.

단단한 나무로 기러기의 발 모양과 비슷하게 만들어서 줄의 밑에 괴고, 이것을 위아래로 움직여 줄의 소리를 고른다. 금휘(琴徽)기괘(岐棵)·안족(雁足)·안주(雁柱).

< 다음 사이트 인용>

-------------------------------------------------------------------------

서문에 보면, 두실공이 나의 수선화 심는 방법을 보고는 《화경》에 나오는 내용과 달라서 수선화가 살아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한 내용이 있다.

‘내 방법으로도 수선화가 살아났으니 《花經》속에 나오는 내용은 융통성이 없는 것이다’라는 의미이다.

교주고슬(膠柱鼓瑟) : 비파나 거문고의 기둥을 아교로 붙여놓으면 음조(音調)를 바꾸지 못하므로 한 가지 소리밖에 나지 아니하듯이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이 꽉 막힌 소견을 비유하는 말. 변통할 줄을 모른 채 고지식하게 옛것을 답습하기만 하는 구태의연(舊態依然)한 모습의 비유. 규칙만 고집하여 융통성이 없으면 결국은 일을 그르친다는 말. 《사기(史記) 염파 인상여 열전(廉頗藺相如列傳)》에 나옴.

 

 

화사(花史) 화훼에 관한 기록이란 뜻으로 花經이란 제목의 책을 말한다.

---------------------------------------------------------------------------

------------------------------------------------------------------------------

<풍고 4.> 매서운 추위 속에서도 꽃이 피다.--------------

旣雪又寒, 寒欲剜骨, 豈 衰相耶 病情耶

抑天不欲孑遺斯民, 眞正栗烈之甚耶

計故人此時亦如我想, 閉戶悄坐, 忽見水仙抽芽如往年,

如往年則看花定無可疑,

한자 읽기

기설우한, 한욕완골, 기쇠상야 병정야

억천불욕혈유사민, 진정율렬지심야

계고인차시역여아상, 폐호초좌, 홀견수선추아여왕년,

여왕년칙간화정무가의,

한자

깎을 완 쇠할 쇠 이 사 근심할 초뺄 추 싹 아

----------------------------------------------------------------------------------------------------------------------------

국역

눈 내린 후 또 날씨가 추워져 추위가 뼈를 깎는 듯하니, 쇠약해져 가고, 병들어 감을 어찌하랴, 하늘이 나 같은 외로운 백성을 남겨두지 않으려고 하니, 정말로 매서운 추위가 심하구나.

옛사람들도 이때쯤 되면 역시 나의 생각과 같으리라고 헤아려 보면서 문을 닫고 근심스러운 마음으로 앉아 있었는데 갑자기 수선화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싹이 돋아나 있었다.

싹이 지난해와 같아서 꽃을 볼 수 있는 것도 진정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내용 수선화의 개화- 추위 속에서도 싹이 돋아나 있었다.

경 책에 나온 대로 심지 않아 과연 싹이 나올까 걱정을 해주던 두실 친구를 생각하며 병고 속에서도 근심에 젖어 싹이 돋아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매서운 추위 속에서도 싹이 돋았다. 가슴에 스며오는 기쁨이 넘친다. 싹이 돋았으니 분명히 꽃도 피어나리라. 추운 겨울 속에서도 꼭 피어나리라는 굳은 신념의 기다림이다.

근심스러운 마음-- 수선화가 꽃이 피어나기를 걱정하는 마음.

----------------------------------------------------------------------------------------------

寒欲 剜骨 뼈를 깎는 듯한 겨울 추위. 매우 춥다.

剜은 깎다 도려내다 의 뜻.

剜肉作瘡- 일부러 살을 깎아 부스럼을 만듦.

도를 탐구하여 도리어 미혹이 생김의 비유.

병을 만나게 되니 추위가 더욱 심하게 느껴짐.

--------------------------------------------

먹줄을 따라 흙을 깎아 놓은 듯 / 土循繩矩

나의 폐장 깎아냈네 / 我肺膓

백성들은 살을 깎이는 것괴로운데 / 民苦心肉

심장의 살을 다 깎아낸다고 한들 / 盡心頭肉

--------------------------------------------------------------

孑遺斯民 하나 남은 이 백성. 곧 외로운 백성.

孑遺 1 약간의 나머지.2 단 하나 남아 있는 것. 또는 그런 신세.

斯民 이 백성(百姓)이 백성. 또는 일반 백성.

--------------------------------

✱ 겨우 버틴 생령들이 소생될 것입니다 / 尙孑遺之可蘇

✱ 백성 하나 안 남으면 / 民靡孑遺

✱ 살아남은 백성들 가엾어라 / 哀哀孑遺盡赤立

✱ 죽기 전 남은 백성들을 구함직도 하건만 / 未死孑遺猶可救

✱ 백성의 종자를 모조리 없애고야 말겠구나 / 民靡孑遺而後止

✱ 만세토록 이 백성 깨우침이여 / 牗斯民於萬代兮

✱ 이 백성에 혜택 주며 / 斯民是庇

✱ 이 백성들 이 길로 불행해졌고 / 斯民自不幸

-----------------------------------------------------------------------

栗烈 추위가 맵고 심(甚)함 율렬은 기후가 찬 것이다 은 춥다

몸이 떨리도록 대단히 추운 모양.

栗栗- 많은 모양. 두려워하는 모양 전전긍긍하는 모양. 栗房- 밤송이

栗鼠- 다람쥐 栗園 밤나무 동산.

-------------------------------------

✱ 혹한이라 섣달 추위 / 方窮冬之栗烈

✱ 한기(寒氣) 사무치는 눈 위의 달빛 / 栗烈雪月徹

✱ 추운 기운 매섭기가 그지없다네 / 寒氣正栗烈

----------------------------------------------------------------------------

悄坐 悄는 근심하다, 근심 걱정에 잠기다의 뜻이다.

悄然- 고용한 모양 쓸쓸한 모양 낙심하여 근심하는 모양

悄切 - 대단히 근심하는 모양 悄愴- 상심하는 모양 쓸쓸한 모양

悄悄- 근심이 되어 기운이 없는 모양 悄乎- 태도가 엄한 모양.

초초 -------------------------------

草草 간략(簡略)한 모양(模樣). 바빠서 거친 모양(模樣)

焦憔 애를 태우며 근심을 함 稍稍 조금씩 더하거나 덜하여지는 모양.

楚楚 차림새나 모양이 말쑥하고 깨끗하다.

-----------------------------------------------------

✱ 시름 속에 임 그리워 잠 이루지 못하는데 / 悄坐懷君仍不寐

✱ 시름에 잠긴 채 쓸쓸히 앉았으니 / 悄悄坐窮愁

✱ 쓸쓸한 모습으로 객관에 앉았노라니 / 悄悄坐賓館

✱ 찬 밤에 쓸쓸히 앉아 감개가 일어나누나 / 悄坐寒宵感慨生

✱ 근심스러운 얼굴로 지는 해 보며 앉았노라 / 悄悄坐落日

---------------------------------------------------------------

抽芽 싹이 돋아나다.

✱ 봄볕에 초목은 싹을 트지만/靑陽草木抽芽

✱ 온화한 기운을 타고서 새싹을 틔우고 / 乘和煦而抽芽

✱ 얕은 풀밭엔 비가 새싹을 틔우네 / 草淺雨抽芽

✱ 새로 움튼 벼의 싹들 제대로나 부지할지 / 新稻抽芽恐未敷

✱ 따스한 봄 양지쪽 언덕엔 풀싹이 돋아나고 / 陽岡春暖草抽芽

---------------------------------------------------------------------------------

----------------------------------------------------------------------------

<풍고 5.> 두실에게 화답시를 부탁하며---------------

未知那邊盆, 信亦如此否

渾身如潑水, 無意動撣, 未敢徑造一晤,

漫吟一篇以代面敍, 如賜報瓊, 足以慰呻吟凌兢之懷也,

臘月二日 眷弟 楓皐 祖淳 再拜 斗室文兄足下

한자 읽기

미지나변분, 신역여차부

혼신발수, 무의동휘, 미감경조일오,

만음일편이대면서, 여사보경, 족이위신음능긍지회야,

납월이일 권제 풍고 조순 재배 두실문형족하

밝을 오 질펀할 만 옥 경 능가할 릉 삼갈 긍납향 랍 돌아볼 권

----------------------------------------------------------------------------------------------

국역

저쪽의 화분도 이것과 같이 이렇게 신의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모르겠네. 온몸이 물을 뿌린 듯이 식은땀이 나고 움직일 기력이 없어 감히 직접 한번 만나러 갈 수가 없어, 되는 대로 한 편의 시를 읊어서 얼굴을 마주 보는 것을 대신하니 만일 좋은 시로 회답해 준다면 병중에 신음하고 두려워하는 회포를 위로하는 데 만족할 것이오.

                                             섣달 이튿날 권제인 풍고 조순은 재배함

                                                                                                                    두실 문형 족하

내용: 좋은 화답시를 부탁함.

상대방의 수선화에 대한 걱정. 병고에 시달림. 화답시를 부탁.

-----------------------------------------------------

那邊 어느 근방. 어디. 어느 곳. 1 어느 곳 또는 어디 .2 그곳 또는 거기

 

✱ 수많은 집 수양버들 속에, 그대의 집이 어디에 있나/萬戶垂楊裡 君家阿那邊

✱ 어느 때나 풀려나서 그곳으로 달려가서 / 何時放赦那邊

✱ 어디로 날아가나 / 飄落阿那邊

✱ 왕업은 어디에서 정해지려나 / 王業定那邊

✱ 갈매기는 저런 데서 잠을 자겠군 / 定宿沙鷗阿那邊

-----------------------------------------------------------------

此否 이 같은 것인지 아닌지

✱ 이와 같은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없습니다/不知是如此否

✱ 대사는 이 뜻을 아는가 모르는가 / 師乎會此否

✱ 묻노니 상수 중에 토란이 있었더냐 / 爲問湘中無此否

------------------------------------------------------------------------

信亦如此否: 이쪽의 수선화는 싹이 돋아나고 꽃이 피었는데 두실에게 보낸 5개의 덩어리에서는 수선화가 싹이 돋아나 믿음을 주었는지 하는가 하는 걱정이다.

내가 심은 수선화 뿌리 덩어리는 두실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싹이 나고 꽃이 피어 믿음을 주었는데 두실의 수선화에서는 나와 같은 신의를 지켜 주었는지 매우 걱정이 되고 궁금하다는 뜻이다.

이 편지글에는 余得水仙花種, 與斗室分植이라는 내용만이 나온다.

그러나 두실의 문집에는 楓臯送水仙五顆使種之。余曾在燕中<풍고 선생께서 수선화 5 개의 뿌리덩어리를 보내어 심으라고 하였다. 나는 일찍이 중국 연경에 있었다.>

풍고가 수선화 5 뿌리를 보냈을 때에 두실은 연경에 나가 있었다. 그 시기는 순조 13년(1813년)이었다. 이때쯤 풍고는 삼청동 옥호별서에 있었음도 판단을 할 수 있었다.

-------------------------------------------------------------------------

渾身如潑水, 無意動撣, 未敢徑造一晤

온몸이 물을 뿌린 듯이 식은땀이 나고 움직일 기력이 없어 감히 직접 한번 만나러 갈 수는 없다.

신병을 앓고 있는 모습. 이 서한문만으로는 알 수는 없지만 두실이 중국 연경에 가 있다는 사실을 모른 것 같다. 옥호정에서 기거하면서 신병을 앓고 있는 모습이다. 문밖의 소식을 듣지 못하고 수선화 알뿌리를 보내신 것 같다. 두실의 문집에 보이는 두 편의 화답시를 통해서 그 당시의 상황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병고에 시달리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식은땀이 나고 움직일 기력이 없는 상황이다.

------------------------------------------------------------------------

渾身 온몸. 온몸으로 열정(熱情)을 쏟거나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는 상태

✱ 온 몸에는 고통이 뒤따르나 / 渾身帶蒺蔾

✱ 퇴정하는 온 몸에 어향이 풍기누나 / 朝退渾身帶御香

✱ 온 몸이 가을 기분 느껴지네 / 已覺渾身

✱ 온 몸이 시원해지는구나 / 已覺渾身

✱ 전신이 상쾌하기 얼음을 담은 듯했네 / 渾身爽若寒氷貯

✱ 온몸엔 붉은 땀띠가 일어나고 / 渾身起赤纇

-----------------------------------------------------------------------------

潑水 물을 뿌리다 여기서는 몸에 식은땀이 나는 상태.

✱ 거들먹거리며 물 끼얹고 있노라고 / 潑水恣驕婪

✱ 털모자 여우 갖옷은 물을 뿌린 듯하고 / 毳帽狐裘如潑水

無意動撣 의지대로 움직일 수가 없음. 기력이 없어진 몸의 상태

無意 무의지

動撣 운동, 활동

徑造 급히 가서 곧장 찾아가서 지름길로 나아가서 곧장 향하는

건너다, 건너서 가다/가다, 길을 가다/지나다, 지나가다 의 의미.

---------------------------------------------------

빠른 길을 지름길로 삼지 말라 하며 / 母捷逕以徑造

개울 가 오솔길 지나 날마다 너를 찿는다/ 徑造磎間日日尋

본원이 곧장 정미한 곳에 나가야 하니/ 本源徑造精微處

솔평상을 얽어서 저녁 바람 쏘이네 / 徑造松棚納晩涼

막상 와 사립문을 두드렸더니 / 徑造扣荊門

국사는 급히 가서 참례(參禮)하고/師徑造參禮

공이 지름길로 나아가서 무릎꿇고 아뢰기를/,公徑造跪曰

-----------------------------------------------------------------

一晤 한 번 만나다. 는 만나다 의미.

晤-밝다/ 만나다

晤歌- 마주 대하고 노래함 晤語- 마주 대하고 이야기 함.

-------------------------------------------------------

✱ 한 번의 상봉이 천재일우 같거늘 / 一晤當千載

✱ 한 번 만나매 술 살 돈 아끼지 않네 / 一晤能捐買酒金

✱ 지난봄에 한 번 만나 / 前春一晤

-------------------------------------------------

漫吟 글제가 없이 생각나는 대로 시나 시조(詩調) 따위를 지어서 읊음

✱ 속절없이 읊다/謾吟

✱ 그냥 한번 소회(所懷)를 읊었던 것뿐이로세 / 漫吟寄所思

✱ 생각나는 대로 읊다/謾吟

✱ 마음 가는 대로/漫吟

----------------------------------------------------------------------------

如賜報瓊 만일 아름다운 시문으로 회답해준다고 하면

은 구슬. 옥을 뜻하는 말로 여기서는 좋은 시문에 대한 미화법. 은유법의 표현.

화답시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의 표현.

賜報 회답해주다.

凌兢능긍 몹시 무섭거나 두려워 몸이 벌벌 떨림= 전율(戰慄) 추위에 떪

凌遽-전율 능교- 높은 곳 凌亂- 순서가 어지러움 뒤죽박죽임 凌蔑- 업신여김

凌霄之志- 웅비하려는 뜻 높은 뜻 凌雨- 억수같이 내리는 비 =猛雨

凌波- 미인의 걸음이 가볍고 우아함의 비유. 凌雲- 구름을 뚫고 하늘로 올라감 뭇사람보다 뛰어남. 속세를 떠남

---------------------------------------------------

✱ 한 필의 말로 눈 내린 길 조심조심 밟고 가며 / 匹馬凌兢雪上行

✱ 말이 벌벌 떨며 나아가려 않는도다 / 馬凌兢而不前

✱ 시월 달에 들이닥친 매서운 추위 / 孟冬之月大凌兢

✱ 큰 골짝을 엿보자 부들부들 떨리는 가슴 / 窺巨壑兮凌兢

✱ 한 번 뜨면 여우 토끼 모두가 떨겠지만 / 一燭狐兎皆凌兢

臘月 음력(陰曆) 섣달을 달리 이르는 말. 곧 납향달(臘享-)

眷弟 인척사이에 동년배에 대한 자신의 겸칭.

인척 인아척당(姻婭戚黨)의 줄임말로서, 인족(姻族)·혼척(婚戚)이라고도 한다.

외척(外戚)·처가(妻家)·사가(査家) 등 외가와 처가의 혈족을 모두 포함한다

-----------------------------------

眷弟를 쓴 이유는

眷弟를 사용하고 있는 용례가 거의 안 보임.

두실 심상규(沈象奎)의 부친이 되시는 沈念祖의 남양 홍씨 부인의 소생인 沈承奎의 둘째 부인이 안동 가문의 문충공파인 金元淳의 따님이다.( 안동 가문 족보에는 奎를 圭로 표기)심상규(沈象奎)의 이복동생이다. 심상규는 심념조(沈念祖)의 安東權氏의 소생으로 沈正愚와 沈正魯의 두 아들을 두었다. 둘째아들은 요절하였다.

심상규의 이복동생인 심승규는 부인이 모두 세 명이다. 이러한 가문의 관계로 친근감을 표현하기 위해 풍고는 두실을 眷弟라는 호칭으로 부른 것 같다. 이러한 관계로 옥호정에서 오고간 많은 시문들이 두실문집에 기록이 되어 있다.

두실과 풍고의 시문을 연구한 학술 논문들이 거의 없는 실정이라 매우 안타까움을 가졌다. 풍고의 옥호정을 연구하시는 분들은 아울러 두실의 문집도 연구 대상이 되어야 할 것 같다.

---------------------------------------------------------------------------

文兄 같은 배움의 길을 가는 사람에 대한 존칭으로 겸사.

우리 나라 사전이나 중국어 사전에는 표제어로 실리지 않았다.

나이는 풍고가 두실보다는 한 살 위인데도 존경의 의미로 호칭한 말. 學兄과 의미가 유사하다. 두실은 풍고를 풍옹이라고 부르며 풍고선생이라고 호칭한 것이 문집에 다량으로 나온다. 규장각에 근무할 때 두실은 原任提學, 풍고는 檢校提學이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

--------------------------------------------------------------------------

들어간 단어들--------------------------------------------------

學兄 학우 끼리 서로 높이어 부르는 말 나이가 비슷하거나 더 많은 학우를 존대하 여 이르는 말. < 중국어 사전=對学友的敬稱>

家兄 남에게 자기(自己) 형을 일컫는 말 사백(舍伯).

貴兄 상대자(相對者)를 친근(親近)하게 높이어 일컫는 말 주로 편지 글에서, 상대 편을 친근하게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老兄 동배 사이에 나이를 더 먹은 사람을 높여서 부르는 말. 그다지 가깝지 못한 사이에 대접(待接)하여 부르는 말

大兄 대종교에서, 사교(司敎)·정교(正敎)의 교직(敎職)을 가진 사람을 높여 이르 는 말. 편지 글에서, 친구 사이에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母兄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동모형(同母兄)'의 준말 동복형.

 

伯兄 맏형. 백씨(伯氏), 장형, 맏형

 

父兄 1 아버지와 형을 아울러 이르는 말.2 같은 말: 학부형.

詞兄 벗으로 가깝게 사귀는 학자(學者)나 문인(文人)끼리 서로 존경(尊敬)하여 부르는 말

舍兄 형이 아우를 상대하여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사백(舍伯).

師兄 ①학문(學問)과 덕행(德行) 또는 나아가 자기(自己)보다 높은 사람을 높이어 일컫는 말 ②한 스승으로부터 불법(佛法)을 받은 형

[불교]한 스승의 제자로서, 자기보다 먼저 그 스승의 제자가 된 사람.

 

雅兄 남자(男子) 친구(親舊)끼리 상대자(相對者)를 높여 부르는 말

阿兄 주로 글에서, ‘형’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 중국(中國)에서 쓰임.

女兄 손위의 누이

吾兄 '나의 형'이라는 뜻으로, 정다운 벗 사이의 편지(便紙)에서 쓰는 말

外兄 손위 처남. 이종(姨從) 형(兄) 이종형.

 

畏兄 친구(親舊)끼리 상대편(相對便)을 극(極)히 대접(待接)하여 부르는 말.

존경하는 형이란 뜻으로, 친구를 대접하여 이르는 말.

 

義兄 의로 맺은 형 아버지나 어머니가 서로 다른 형.

仁兄 벗에 대(對)한 높임말, 친구(親舊)끼리 상대편(相對便)을 대접(待接)하여 부르는 인칭(人稱) 대명사(代名詞) 편지 글에서, 친구 사이에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姻兄 매형(妹兄) 편지 글 에서, 매제가 손위 처남을 높여 이르는 말.

長兄 큰형, 맏형

尊兄 같은 또래의 친구(親舊) 사이에서 상대자(相對者)를 높여 부르는 말.

인형(仁兄). 대형(大兄)

從兄 사촌(四寸) 형

-----------------------------------------------------------------------------

足下 동료(同僚)에 대(對)한 존칭(尊稱)

발아래라는 뜻으로 서신(書信) 중의 존칭(尊稱)으로 쓰이는 말

같은 또래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말. 흔히 편지를 받아 보는 사람의 이름 아래에 쓴다.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존칭하거나 혹은 동년배 사이에 존칭할 때 많이 사용되는 칭호가 중국에서는 족하(足下)일본에서는 귀하(貴下)를 사용한다.

전국시대 후 이 단어의 쓰임이 점차 넓어져 단지 신하가 군주를 존칭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년배나 비슷한 지위의 사람 간에도 통용되기 시작했다.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존칭하거나 혹은 동년배사이에 서로 칭할 때 사용된 ‘足下’에는 존경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삼국사기에서는 견훤과 왕건이 서로를 '족하'라고 칭한 기록이 있다.

한편 집안의 아랫사람에게 붙이던 용어로 활용되다가 조선 멸망 이후 자주 쓰이지 않게 되었으며, 일부 편지문에서 활용된다. 이 단어가 굳어져서 된 단어가 한국어 조카이다. 조카는 자신의 형제, 자매, 사촌, 육촌 등 비슷한 세대의 자녀들에게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足下의 어원 -송(宋) 유경숙(劉慶叔)의 이원(異苑)에 기록

진(晉) 문공(文公) 중이(重耳)와 개자추(介子推) 사이에 있던 고사. 산 속에 숨어 지내던 개자추가 불에 타 죽은 후 문공이 그의 은공을 생각하며 나무를 베어 신발을 만들어 신고는 신발을 신을 때마다 지난 일을 떠 올리며 <슬프도다 足下여>라고 탄식함.

족하(足下)라는 단어는 어떤 물건을 볼 때마다 그 사람을 떠올리며 옛 은혜를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사용되었고, 그 후에. 친구에 대한 존칭의 의미가 파생되어 사용되고 있다.

 

----------------------------------------------------------------------

다음과 같은 용어들도 있다.

座下 귀하(貴下)보다 높임말로 마땅히 공경(恭敬)해야 할 어른 조부모(祖父母), 부모(父母), 선배(先輩), 선생(先生)에게 쓰는 말

貴下 ①상대방(相對方)을 높여 부르는 말 ②편지(便紙) 따위에서 상대방(相對方) 이름 밑에 붙여 쓰는 말 . 듣는 이를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貴中 편지나 물품 따위를 받을 단체나 기관의 이름 아래에 쓰는 높임말.

 

우리나라 고전이나 簡札(간찰)에 貴下라는 문자는 없다. 일제 강점기부터 貴下라는 문자를 쓰기 시작했다. 옛날에는 우리민족이 편지을 쓸 때 가장 널리 쓰는 존칭은 座下(좌하)이다.

 

 

閣下 누각 아래.

전각 아래에서 뵙는다'는 뜻이며, 귀족이나 고위 관리, 고위 장성 등 고위 관직 에 있는 사람들에게 붙여진 2 인칭 말이다.Mr. President

대통령과 부통령, 국무총리, 부총리, 장관과 심지어는 군대의 장성들에게도 붙인 존칭이었다.

중국에서는 신분(身分)이 높은 사람을 높이어 이르는 말, 일정(一定)한 고급(高級) 공무원(公務員)에 대(對)한 경칭(敬稱)의 한 가지

硯北/硏北옆에’라는 뜻으로, 편지 봉투에 받는 사람의 이름 밑에다

붙이는 경어.

 

陛下 황제·황후·태황제·황태후·태황태후에 대한 존칭이다 Your, Majesty

殿下 왕이나 왕비 또는 왕족을 높여 부르는 말. 추기경’을 높여 이르는 말. Your, Highness

邸下 왕세자(王世子)를 높이어 이르는 말, 조선 시대에, 왕세자를 높여 이르던 말.

閤下 정일품 벼슬아치를 높여 부르던 말.

尊下 상대편(相對便)을 높여서 그가 있는 장소(場所)를 이르는 말 , 귀하

案下 책상 아래라는 뜻으로, 편지에서 상대편의 이름 밑에 붙여 쓰는 말.

 

梧下 편지를 받는 사람의 이름 뒤에 써서 존경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오우(梧右).

机下 ①책상(冊床) 아래 ②편지(便紙) 겉봉에 상대편(相對便)의 이름 밑에 붙여 쓰는 경칭(敬稱) 책상의 아래. =机右. 일본에서 사용함.

----------------------------------------------------------------------------

 

 

              楓臯와 斗室

 

 

 

 

두실

풍고

비고

심 상규(沈象奎)

김 조순(金祖淳)

풍고는

순원왕후(純元王后)의 아버지

두실은 함께 북학을 공부한 한 살 차이의 친구에게 선생이란 칭호를 사용하여 극진한 존경을 하였음. 두실의 시집 속에는 楓翁 이란 명칭이 많이 나옴.

생 1766년(영조 42)

1765년(영조 41)

몰 1838년(헌종 4)

1832년(순조 32)

초명 상여(象輿)

낙순(洛淳)

치교(穉敎),

가권(可權)

사원(士源)

두실(斗室),

이하(彛下)

풍고(楓皐)

본관 청송(靑松)

안동(安東)

시호 문숙(文肅)

충문(忠文)

봉호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교유조인영(趙寅永),

서유구(徐有榘)

김려(金鑢), 이만수(李晩秀), 심상규(沈象奎)

문집 두실존고

풍고집

규장각 原任提學

檢校提學

자녀: 2 남( 둘째 요절)

3 남 5 녀

 

정조24 년 (1800년)

이조 참의

兼輔德摠戎使, 홍문관 부제학.병조 판서.규장각 제학

풍고

딸이 世子嬪에 간택 ○ 6월, 정조가 昇遐하고 承旨

순조1년 (1801년)

洪原縣에 유배

형조 판서.

총융사.예조 판서 이조 판서

선혜청 제조(宣惠廳提調

 

 

순조2년 (1802년)

檢校 복직.南原府 유배. 병조 참의

文衡. 判義禁府事, 御營大將 訓鍊大將, 扈衛大將. 홍문관 대제학·예문관 대제학

純元王后의 大禮 후에 永安府院君에 봉해짐

순조3년 (1803년)

이조 참의. 대사간

훈련대장.宣惠廳 提調

 

순조4년 (1804 년)

예조 참의, 호조 참의, 春秋館 編修官.正祖實錄 편수 당상관.형조 참의.備邊司 有司堂上, 同知中樞府事 兼 都摠府副摠管

檢校提學

갑자년 1804 년 옥호정 구 입 (장생으로부터)

순조5년(1805 년)

 

전라도 관찰사

 

 

순조 6 년 (1806년)

 

 

이조 참판, 예조 참판

 

 

 

 

 

 

순조 7년 (1807년)

호조 참판이 되다. 冬至副使

 

영돈녕부사

 

순조 8년 (1808년)

부제학徐榮輔와 「萬機要覽」 撰進. 이조 참판. 도승지

 

훈련대장

 

순조 9년 (1809년)

正卿 , 예조 판서

문형(文衡) 회권5점(點)

문형(文衡) 회권(會圈)4점(點)

 

순조10 년 (1810년)

형조 판서 공조 판서

규장각 제학.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순조 11년 (1811년)

대제학. 이조 판서 병조 판서

 

禁衛大將

 

금위 대장 김조순(金祖淳)이 누차 상소하여 이득제(李得濟)로 대신

순조 12년 (1812년)

판의금부사 호조 판서

 

 

 

순조13 년(1813년)

年貢正使로 燕京에 가다. 판돈녕부사 한성부 판윤, 판의금부사, 좌빈객. 병조 판서가 되다.

 

1813년-1814년 <東省校餘集>을 통해 시문 교유. 옥호별서 시가 다량 나옴. 옥호정도 관심의 대상

옥호정도 그림 속에 을해

의 글자가 나옴< 1815 년>

심상규 경력

 

진사시에 합격 謁聖 文科. 講製文臣에 규장각대교 겸 교서관정자. 義盈庫 直長이 정조로부터 象奎라는 이름을 하사받다.

홍문관 수찬, 검교대교

熊川 縣監. 규장각 검교 持平, 掌令, 南學 敎授.사간원 헌납, 규장각 직각이 되다. 형조 참의, 동부승지. 檢校直閣.이조 참의. 병조 참의. 대사간

예조 참의, 호조 참의, 春秋館 編修官.「正祖實錄」 편수 당상관.

형조 참의. 備邊司 有司堂上, 同知中樞府事 兼 都摠府副摠管.

전라도 관찰사. 이조 참판, 예조 참판, 호조 참판 .冬至副使.

부제학, 도승지. 예조 판서. 형조 판서. 공조 판서. 舟橋堂上 通信使의 行釐正堂上, 규장각 제학.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대제학, 이조 판서, 병조 판서, 판의금부사, 호조 판서,

年貢正使로 燕京에 가다. 판돈녕부사. 한성부 판윤 .

廣州府 留守 평안도 관찰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 遠接使, . 檢校提學

한성부 판윤 우의정.判中樞府事, 좌의정.영의정, 院相.耆老所에 들다. 영중추부사, 宗廟增修都監 都提調

김조순 경력

 

文科에 합격. 正祖가 ‘文正肖孫’이라 칭찬하고 初名인 ‘洛淳’을

祖淳’으로 改名.藝文館 檢閱. 奎章閣 待敎 .冬至兼謝恩使의 書狀官

奎章閣 直閣. 이조 참의.兼輔德承旨 摠戎使, 홍문관 부제학, 병조 판서가 예문관 제학. 규장각 제학. 형조 판서, 총융사가 되다. 예조 판서 이조 판서.文衡, 判義禁府事, 御營大將 永安府院君

훈련대장. 宣惠廳 提調.檢校提學 禁衛大將.

 

 

수선화 시인이라고 불려질 만큼 풍고의 시 속에는 여러 편의 시가 나온다. 아들에게도 영향을 준 듯. 황산. 하옥의 시문 속에도 수선화에 관련이 되는 시문이 있다.

필자가 소장하고 있는 이 서간문은 규장각에서 일을 하고 있는 동안 함께참여하였던 한 살 아래의 친구인 두실과 함께 수선화를 심고 서로 시문으로 시정을 나누었던 글이다. 풍고집에는 들어가 있지 않다. 다만 두실존고라는 시집을 통해서 시문의 원운이 바로 이 서간문 속에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서간문은 두실이 중국 연경에 머물고 있을 때인 순조

13 년 ( 1813 년) 이다. 이 서간문에 담긴 시의 운을 통해 두실은 두 편의 화답시를 쓰고 있다. 화답시의 원운이 생생하게 살아 있음에 무한한 기쁨이다. 더구나 풍고의 옥호정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반가운 자료이다.

두실 선생님의 화답시 2 편은 다음 기회에 다루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