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正宗大王 御賜歙硯銘 (정종대왕 어사 흡연 명)
정조임금이 내려주신 벼루에
새긴 글
김 조순(金祖淳)
1765년(영조 41)- 1832년(순조 32)
초명: 낙순(洛淳) 자: 사원(士源) 호: 풍고(楓皐)
봉호 :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시호: 충문(忠文)
특기사항 : 순조(純祖 1790~1834, 재위1800∼1834)의 왕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1789∼1857)의 아버지이며, 김유근(金逌根1785∼1840) 김원근(金元根1786~1832)
김좌근(金左根 1797~1869)의 아버지
김려(金鑢1766∼1822) 이만수(李晩秀1752-1820 ), 심상규(沈象奎1766∼1836) 등과 교유
정조 9 1785 21세/ 正祖가 ‘文正肖孫’이라 칭찬하고 初名인 ‘洛淳’을 ‘祖淳’으로 改名
정조 23 1799 35세 / 정조가 迎春軒에서 召對하고 元子의 輔導를 부탁하다.
순조 2 1802 38세 /純元王后의 大禮 후에 永安府院君에 봉해지다.
철종 8 1857 /楊州의 石室書院에 追配되다.
-------------------------------------------------------------------------------------------------------------------------------
磨不磷。質之堅。
產歙州。來朝鮮。
君子韞櫝比於玉。聖人攸錫壽萬年。
한자읽기:
마불린。질지견。
산흡주。내조선。
군자운독비어옥。성인유사수만년。
한자: 磨 숫돌에 갈 마磷돌틈을 물이 흐르는 모양 린歙줄일 흡
韞 감출 운櫝함 독攸바 유(所) 錫 줄 사(하사함)
-------------------------------------
국역:
갈아도 얇아지지 않으며, 본바탕은 견고하다.
磨不磷。質之堅。〔벼루의 본성〕
중국 강서성 흡주에서 난 돌이며, 우리나라에 들어오다.
產歙州。來朝鮮。〔벼루 산지와 유입〕
군자가 깊이 감추어 둔 옥에 비유되고,
정조 임금께서 내려 주신 바이니, 만년을 누리리라.
君子韞櫝比於玉。聖人攸錫壽萬年。
〔 벼루의 가치와 성은 〕
------------------------------------------------------------------------------------
【흰마을 노트】
논어 陽貨 7 장
佛肸이 召어늘 子 欲往이러시니
子路 曰 昔者에 由也 聞諸夫子하니 曰 親於其身에 爲不善者어든 君子 不入也라 하시니 佛肸이 以中牟畔이어늘 子之往也는 如之何잇고
子 曰 然하다 有是言也어니와 不曰 堅乎아 磨而不磷이니라. 不曰 白乎아
涅而不緇니라.吾 豈匏瓜也哉라 焉能繫而不食이리오.
------------------------------------------------------------
(磷은 薄也라 涅은 染皁物이라 言人之不善이 不能浼己라.
楊氏曰 磨不磷, 涅不緇而後에 無可無不可라. 堅白不足而欲自試於磨涅이면 其不磷緇也者幾希니라)
磷은 얇은 것이다. 涅은 검은 물을 들이는 것이다. 남의 不善함이 나를 더럽힐 수 없음을 말씀한 것이다. 楊氏가 말하였다. "갈아도 얇아지지 않고 검은 물을 들여도 검어지지 않은 다음에야 可함도 不可함도 없게 되는 것이니, 만약 단단하기와 희기가 부족한데도 스스로 갈려지고 물들여지는 데에 시험하려고 한다면 얇아지고 검어지지 않는 자가 거의 드물 것이다."
歙州: 흡주연(歙州硯)을 말하는데, 중국 안휘성(安徽省) 흡주 지방에서 나는 돌로 만든 벼루를 말한다.
중국 江西省 婺源縣 歙溪에서 생산되는 돌로 만든 벼루 龍尾硯. 婺源硯
단계연(端溪硯)중국 광동성(廣東省) 단계 지방에서 나는 돌인 단계석(端溪石)으로 만든 벼루
韞櫝 온독 /운독: 감출 온.운/ 함 독
함에 넣어 깊이 둠, 재주가 있으면서 쓰이지 않음의 비유.
• 독에 넣어둔 보배로 / 韞櫝之寶
• 보옥이 궤 속에서 끝내 나오지 않으랴 / 美玉何終韞櫝藏
• 오직 깊이 재주를 감추도다 / 維其韞櫝
韞價: 재주가 있으면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음
韫 收藏,蕴藏,包含:韫椟。韫蠢(愚蠢)。石韫玉而山辉。
韫椟.=韞櫝
1.亦作"韫椟"。
2.藏在柜子里;珍藏, 珍藏 소장하고 있는 진귀한 물건 소중히 보존하다 收藏 거두어서 깊이 간직함柜子里궤. 옷장.
3.比喻懷才珍藏,待價而沽。
4.懷藏;包藏。
韫藏 =收藏. 韫匮 : 藏在柜子里
怀珠韫玉 用以比喻怀藏才德
논어:子罕篇12장:
子貢曰:“有美玉於斯,韞匵=櫝而藏諸, 求善賈而沽諸?”子曰:“沽之哉, 沽之哉!我待賈者也。”. 韞은 藏也 匵는 匱라.공자의 제자 자공이 “여기에 아름다운 옥이 있다고 할 때, 이것을 상자 속에 그냥 보관해 두어야 합니까, 아니면 좋은 값을 받고 팔아야 합니까?〔有美玉於斯 韞櫝而藏諸 求善賈而沽諸〕” 하고 묻자, 공자가 “팔아야지, 팔아야 되고말고. 나 역시 제값을 주고 살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沽之哉 沽之哉 我待賈者也〕”고 대답하였다. 《論語 子罕》
攸錫 유사: 내려 준 바. 攸,所也。——《尔雅》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不利有攸往
실로 하늘이 주신 것이었네 / 寔天攸錫
태조대왕(太祖大王)께서 하사하신 바인데 / 聖祖攸錫
성주(聖主)께서 주신 바였으니 / 聖人攸錫
표암의 문방구도에서---- 화제 속에 용미연이 보임.
'신안동 가문 시 모음 > 풍고 김조순의 시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 조순(金祖淳) 의 西郊서교 (0) | 2014.01.09 |
---|---|
김 조순(金祖淳) 의 階下竹 계하죽 섬돌 아래 대나무 (0) | 2014.01.05 |
풍고 김조순의 驪州路中 (여주노중)------- -고향 곁 지나며 (0) | 2013.04.07 |
江外望趍揖山(강외망추읍산) 강 건너서 추읍산을 바라 보며--------- (0) | 2013.04.04 |
題 東寧都尉 西軒 ---東寧都尉 贒根(동녕도위 현근)을 생각하며--- 김조순 (0) | 201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