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풍류/봄

김시습(金時習) 시인의 입춘 立春-----

백촌거사 2016. 2. 4. 23:38

영암에서 봄 숨결을 맞으며---- 입춘이 지나고

---------------------------------------------

김시습(金時習) 시인의 입춘 立春

--------------------------------------------

✲ 글쓴이:김시습(金時習)

1435년(세종 17)-✭ 1493년(성종 24)

법명 雪岑 자 悅卿 호 梅月堂, 東峯, 淸寒子

본관 江陵 시호 淸簡

특기사항 南孝溫ㆍ安應世ㆍ洪裕孫 등과 교유

 

---------------------------------------------

입춘 立春1.

 

----------------------------------------------------------

절기 차례 스스로 옮겨 바뀌니.

깊은 산도 오늘에 봄이 섰다네.

 

늙어 가면 나이든 게 싫어지나니

경신 날에 긴 밤을 지켜간다네.

 

겨울 눈빛 창에 스며 환하여지고

자연모습 버들 날려 새롭게 되네.

 

누가 알겠나. 깊숙한 이곳에도

얽매지 않는 사람 또한 있음을.

節序自移換。窮山今立春。절서자이환 궁산금입춘

老年嫌甲子。遙夜守庚申。노년혐갑자 요야수경신

雪色薰窓白。風光拚柳新。설색훈창백 풍광변류신

誰知幽寂境。亦有不羈人。수지유적경 역유불기인

梅月堂詩集卷之三과 梅月堂詩集卷之十四에

똑같은 작품이 실림. 薰이卷之十四에는熏으로 기록.

--------------------------------

【 흰마을 노트】

節序:절기의 차례 移換: 바꾸다 /교환하다

窮山:=穷山 .심산(深山) 깊은 산。 荒山황폐한 산

"穷山恶水"=① 불모의 땅 ② 황량한 경치 ③ 척박한 땅。

막막궁산(寞寞窮山)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甲子:육십갑자(六十甲子) /갑자 /춘추/ 세월

遙夜:遥夜 긴 밤.長夜 庚申:섣달 중의 경신일- 잠 안 자고 밤을 지킨다 그래야 복을 얻는다는 풍습

경신을 지킨다(守庚申) :수신(守申).수세(守歲) : 섣달그믐 밤에 잠을 자지 않고 집 안 곳곳에 불을 밝혀 밤을 지키는 풍속으로, ‘해지킴’이라고도 한다.

薰窓:=熏窓 창에 스밈. 薰은“熏”과 같음

幽寂: (장소가)깊숙하고 고요하다/쓸쓸하고 적막하다

不羈人: 길이 얽매이지 않는 사람

羁人.=羇人 .旅客。여행을 하는 사람. 여행자

귀양 사는 몸

================================================

삼시신(三尸神) : 도교에서 사람의 몸 안에 있으면서 수명ㆍ질병ㆍ욕망 따위를 좌우한다고 하는 세 신으로, 삼시(三尸)ㆍ삼팽(三彭)ㆍ삼시충(三尸蟲)이라고도 한다. 경신일(庚申日) 밤에 사람이 잠을 자면 삼시가 몸 밖으로 나와 하늘로 올라가서 하느님에게 그 사람의 잘못을 고한다 하여 ‘섣달 경신일에는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지켜야 복을 얻는다는 풍속〔庚申守歲〕’이 있었는데, 섣달그믐의 수세(守歲)는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경신일(庚申日) : 60일 만에 한 번씩 돌아오는 경신일이 되면, 형체도 없이 사람의 몸에 기생하고 있다는 삼시충(三尸蟲)이 사람의 잠든 틈을 타고 몸 밖으로 빠져 나가 상제에게 그 사람이 저지른 그동안의 죄과(罪過)를 낱낱이 고해 바쳐서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하여, 이 때문에 도가에서는 이를 막아서 천수를 다하기 위한 장생법(長生法)으로 경신일이 되면 밤을 꼬박 세워서 이 삼시충이 몸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고 한다.

\\\\\\\\\\\\\\---------------------------------------

입춘 立春 2.

--------------------------------------------------------

입춘 와도 그대로 섣달 기후라.

나그네의 생각은 정히 산란해.

 

뉘 집에서 花勝을 보낼 것이며,

어디서 나물 소반 얻을 것이냐.

 

북동풍 불어와서 나무가 울고

산속 눈 창에 비쳐 차갑게 하네.

 

띳집 처마 햇볕이 있기 때문에

훈훈하게 늙은 얼굴 기쁘게 하네.

爲有茅簷日。燻烘悅老顏。

立春臘候。羈思政闌珊。

입춘잉납후。기사정난산

誰家送花勝。何處得蔬盤。

수가송화승。하처득소반

條風吹樹響。山雪照窓寒。

조풍취수향。산설조창한。

爲有茅簷日。燻烘悅老顏。

위유모첨일。훈홍열노안。

☎: 梅月堂詩集卷之十四에 나옴.

----------------------------

【흰마을 노트】

仍 잉: 인하다. 그대로 따름 거듭되다. 거듭. 자주. 이에.

오히려. 여전히.

① 부사 곧 즉 그래서( 乃) 원인 제시- 결과

② 누차. 늘. ③ 여전히 변함없이(依然.仍然) 본시 역시

臘候:臘은 납향(臘享) . 섣달 을 말함. 섣달 기후

납향(臘享):납일(臘日)에, 그 한 해 동안 지은 농사 형편과 그 밖의 일들에 대해서 여러 신에게 알리는 제사

羈思: 나그네 근심. 나그네 시름. 나그네 생각

굴레 기 =羁=羇(기)=䩭(기)

굴레. 말고삐. 나그네. 얽매이다. 매다

객지(客地)살이 .타관살이

외롭다 구속(拘束)받다 견제(牽制)하다 단속(團束)하다

束缚,拘束:羁押。羁绊。羁缚。羁囚。放荡不羁。

停留,使停留:羁旅(长久寄居他乡)。羁留。羁泊。羁滞。

 

政闌珊=阑珊

政: 정히. 정말로. 진정으로. 참으로< 부사>

闌珊 세력이 점차로 줄어지다 /쇠(잔)하다/ 조락(凋落)하다=衰落하다 / 시들다 /어지럽게 무르녹다. 약해지다. 끝나가다

• 海山秋興闌珊 • 一年春事政闌珊

花勝: 채단(綵緞)을 오려서 만든 것으로 머리를 장식하는 물건. 《荊楚歲時記》에 의하면, 정월(正月)에 화승을 만들어 꽂는다고 하였다.花胜 =古代妇女的一种首饰。以剪彩为之。

옛날, 오색 비단을 잘라 만든 부인의 머리 장식

[주D-002]화승(花勝) : 정월 7일 일곱 가지 채소국을 먹고 전채(翦綵)로 머리 장식[花勝]을 만들어 꽂고 다니며 높은 언덕에 올라가 시를 읊는 풍속이 있었다. 《荊楚歲時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이르기를, “인일(人日)에는 채색 비단을 잘라서 화승을 만들어 서로 선사하기도 하였다. 후세 사람들은 이를 머리에 달아서 머리 장식으로 삼았다.” 하였는데, 《한서(漢書)》 권57상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의 주에 “승(勝)이라는 것은 부인네들의 머리 장식이다. 한나라 때에는 화승(華勝)이라고 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채단(綵緞)을 오려서 만든 것으로 머리를 장식하는 물건. 《荊楚歲時記》에 의하면, 정월(正月)에 화승을 만들어 꽂는다고 하였다.

蔬盤: 나물 담은 소반 蔬는 푸성귀. 채소.

蔬菜소채= 심어서 가꾸어 먹는 나물。菜蔬:식용(食用)으로 재배하는 니물.

條風=条风: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①북동풍(北東風) ②입춘의 바람 ③동풍의 별칭

 

茅簷:초가지붕의 처마 燻烘: 燻은 그스르다 / 연기가 끼다 /. 혼혼하다.= 훈기를 느낄 만큼 따뜻함.

烘 횃불,熏烘=用烟火烘逼。연기로 후끈함.

烟火 뜻① 연기와 불 ② (특히 도교에서의) 화식(火食) ③ 인연(人煙) ④ 봉화(烽火) ⑤ 옛날,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

-----------------------------------------------

 

 

----------------------

立春

2016년 丙申秊 2월 4일 목요일

< 양력은 2015.12.26 일 丙辰>은 立春으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서곡 같은 절후이다.

태양이 황경 315도의 위치에 있을 때를 말한다.

봄의 절후로는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등의 절기가 있다.

농촌에서는 보리뿌리로 한해의 점을 치기도 하였으며.

立春帖(+입춘방(立春榜)) 을 써서 액운을 쫓아내는 풍습도 있었다.

입춘첩 이란 입춘을 송축(頌祝)하는 글귀로서

대문이나 들보, 기둥, 천장 등에 써 붙였고

대궐에서는 설날에 문신들이 지어 올린 신년축시 중에서 좋은 글귀를 선정하여 대궐의 기둥과 대문 또는 난간에 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