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청 문에 붙인 입춘첩--- <시민다경>이 이채롭다.
-------------------------------------- -----------------------------------------
題立春帖戶
제입춘첩호
-문 앞 입춘 글귀-
김 구(金絿)
物色知生意。陽和布至仁。
물색지생의。양화포지인。
惟新開萬化。餘澤及流人。
유신개만화。여택급류인。
만물의 빛깔들에 생기가 나고
따뜻한 봄기운은 어짊 펼치네.
만물 열어 새롭게 변화 시키니,
남은 혜택 인간에 흘러 넘치네.
------------------------------------------
✤ 【시어 의미】----------------------------------
✤ 物色:어떤 기준을 가지고 그에 알맞은 사람이나 물건을 찾거나 고름. /물건의 빛깔./ 일의 까닭이나 형편./ 자연의 경치.
風物.- 산이나 강 따위의,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
景物.-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경치
萬象.-형상이 있는 온갖 물건
✤중국어 사전의 해설 참고
①形状:衢巷栋宇,物色惟旧。 ②景色;景象:新安道中物色佳。
③用品;物品:所贡物色,尽取之民。
④有目的或按标准寻找、挑选:物色人才|物色衣料
✤生意: 하늘과 땅이 만물을 낳아 기르는 기상. 생기
《근사록(近思錄)》 권1 도체류(道體類)에 “천지가 만물을 내놓는 기상을 관찰한다.[觀天地生物氣象]”는 정명도(程明道)의 말이 실려 있는데, 그 주(註)에 “주염계(周濂溪)가 창 앞의 풀이 무성해도 베지 않으면서[窓前草不除去], 저 풀 역시 내 속의 생각과 같을 것이다[與自家意思一般]고 말한 것도 바로 이 뜻이다.”라고 하였다.
✤ 陽和: =阳和 따뜻한 봄기운. 봄기운이 화창함. 따뜻하고 온화함. 양기와 화기
1.春天的暖气。 2.借指春天。 3.温暖﹔和暖。 4.喻指和悦的脸色。
5.阳气。 6.祥和的气氛。 7.借指佳音。
✤至仁: 지극한 인덕을 자비롭게 덮어준다. 우주의 삼라만상을 따뜻한 기운으로 덮어주다. 자연의 자비로움이다.
입춘-- 곧 봄이 되면 우주의 삼라만상 모두에게 신비스러운 듯한 생기로 베풀어 주는 것이니 마치 성인의 인자한 덕이 이르는 지극한 경지 와 같다.
✤惟新: 새롭게 함.
文王在上 於昭於天 周雖舊邦 其命維新《시경(詩經) · 대아(大雅) 〈문왕(文王)〉》
“문왕(文王)께서 위에 계시는데 아아, 하늘에서 밝게 빛나도다 .
주나라가 비록 오래되긴 하였지만, 하늘의 명이 다시 새롭게 되었도다.”
✤萬化: 끝없이 변화함 삼라만상의 변화 모든 만물의 변화
✤餘澤: 끼치고 남은 혜택 ✤及流人: 사람 (= 곧 인간세상)에도 흘러와 미치게 함.
--------------------------------------------
【시 내용 이해 】
기: 만물- 생기 넘침 승: 따뜻한 기운
전: 만물의 새로운 변화 결: 인간 세계 도 미침
입춘= 곧 봄이 시작되면 아직도 남은 겨울 속에서 만물의 빛깔들이 초목에 깃드는 듯 따뜻하고 부드러운 봄기운이 새롭게 삼라만상에 넘쳐난다. 그 봄기운이 인간세계에도 넘쳐나기를 소망하고 있다. 그야말로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이다.
------------------------------------------------
✲ 다음처럼 시를 해석한 것이 인터넷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아마도 국역이 된 문집의 내용을 옮긴 듯하다.
✲ 사물 때깔은 생생한 뜻 알아
조화로운 봄기운은 지극히 어진 마음 펼친다.
새롭게 삼라만상 열치고
남은 은혜 흘러서 사람들에게 미치기를
---------------------------------------------------------------------------------
글쓴이: 김 구(金絿)
1488년(성종 19)- 1534년(중종 29)
자 大柔 호 自菴, 栗谷病叟 본관 光州 시호 文懿
저서:「自菴集」「自菴詩帖」
중종 2 1507 20 司馬兩試에 장원하다.
--------------------------------------------------------------------------
✤ 입춘방(立春榜), 춘첩(春帖), 춘축(春祝), 입춘서(立春書), 춘방(春榜)
입춘을 맞아 액운을 막고 다복과 경사를 기원하는 내용.
입춘에는 봄의 희망을 담아 한 해 동안 길한 운과 경사스러움이 가득하기를 기원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여러 세시풍속이 전한다.
입춘첩 내용으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이 있다.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따뜻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많다'는 뜻이다.
-------------------------------------------------------------------------------------------
'계절의 풍류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食 淸明(한식 청명) 이서우(李瑞雨) (0) | 2021.04.05 |
---|---|
김 종정(金鍾正) 梅花 매화 (0) | 2020.03.12 |
유 의건(柳宜健) 立春日 입춘일 (0) | 2019.02.03 |
김시습(金時習) 시인의 입춘 立春----- (0) | 2016.02.04 |
이웃 꽃--- 김 수흥(金壽興) 의 隣人折送杏花一枝 (0) | 201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