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산黃山김유근(金逌根)』<1785(정조 9)∼1840(헌종 6)>
선조 님의
寧越 (영월) 기행 글
▶필자의 변 ---------------------------------------------------------------
❰안동김씨 문정공파(文正公派) 기증유물 2009 친환경농업박물관❱ 책자 속에 담긴 【황산유고<黃山遺稿>】<『黃山 김유근(金逌根)』1785(정조 9)∼1840(헌종 6)>
문집 속에는 담겨 있지 않은 <初稿本>의 글들이다. 황산을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한 글들이 있어 여기에 담아본다. 우선 이 글은 1814 년 <순조14 30세> 가을에 충주, 제천, 영월, 단양 등지를 여행하시면서 쓰신 기행시의 일종이다. 초고본에 담겨 있는 글의 순서대로 따라가 보려고 한다.
〞靈泉〟< 寧越 莊陵안>이라는 산문의 글 속에 賤臣 於甲戌(황산 1814순조14 30세)秋自忠州入寧越及至라는 표현이 있어 연대를 추정할 수 있겠다.
---------------------------------------------------------------------------
❖ 寧越 과 관련되는 글❖❰11편❱
1.❰호치 망 영월 好歭望寧越❱
2.❰영월 도중 망 장릉 감회 공부 寧越途中望莊陵感懷恭賦❱
3.❰자규루 子規樓❱ 4.❰지알 장릉祗謁莊陵❱5.❰배견정拜鵑亭❱
6.❰영천 靈泉❱7. ❰창절사 彰節祠❱ 8.❰금몽암 禁夢菴❱
9.❰금강정錦江亭❱ 10.❰청령포淸泠浦❱11.❰촉백행蜀魄行❱
---------------------------------------------------------------------------
【황산유고<黃山遺稿>】에 담긴 글들은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면
됩니다.
http://blog.daum.net/0113508344/4719434
http://blog.daum.net/0113508344/4719885
------------------------------------------------------------------------
-------------------------------------------------
영월 청령포에서 바라보이는 산
----------------------------------------------------------------------
1. 好歭 望 寧越 (호치 망 영월)
好歭(호치)에서 寧越(영월)을 바라보며
국역 --------------------------------------------- -------------------
갈수록 저녁 빛은 돌아갈 줄 모르고
고개 위 가을바람 한가한 나 보내네,
눈 가득 동쪽하늘 구름 끊어 지려하고,
말 머리에 처음으로 월중산이 나타나네.
✶ 월중산 粤中山: 영월 莊陵이 있는 산
----------------------
行行斜日不知還 嶺上秋風送客閒
행행사일부지환 령상추풍송객한
極目東天雲欲斷 馬頭初出粤中山
극목동천운욕단 마두초출월중산
(平)平(平)仄仄平平 (仄)仄平平仄仄平
(仄)仄(平)平平仄仄 (仄)平(平)仄仄平平
✦ 평기식 7언절구 上平성十五删운
-------------------------------------------------------------------
❖【내용 이해 노트】
충주.제천을 거치고 다음 여행지 영월로 향하는 석양의 가을 산 마루 한가롭고 여유 있는 마음의 심정이 묻어 있다. 고갯길의 가을바람 맞으며 가는 말의 걸음도 가벼워 보인다, 갈수록 석양은 깊어지고 동쪽 하늘 덮었던 구름도 사라져 간다. 호치라는 고갯길 넘어 가는 말머리 앞으로는 단종의 능이 있는 월중산이 눈에 다가선다. 목적지가 보여 지는 반가움의 서정도 묻어있다.
-------------------------------------------------------------------------------
▼ 윗글은 황산께서 갑술년 가을에 충주/ 제천/ 영월/ 단양의 네 지역을 기 행하시면서 쓰신 글이다. 황산께서는 충주 제천을 거치신 다음 말을 타시고
석양 길에 호치 고개를 지나 영월로 향하고 있다.
❙내용 이해❙
❮기련❯ : 시간적 배경 제시- 석양
❮승련❯ : 공간, 계절 배경- 길손의 한가로움
❮전련❯ : 시간적 배경의 구체화- 구름의 모습
❮결련❯ : 영월 도착의 암시- 월중산- 莊陵
----------------------------------------------------------------------------
❖【시어 이해 노트】--------------------------------
▶ 好歭(호치): <황산> 글에만 보이고 고전 번역원에는 없다.
호치 好峙 <좋은 고개>는 보인다. 좋은 고개에 마침 비파를 가지고 / 好峙方携瑟
제천에서 영월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 아니었을까.好峙 와 동일한 의미로 쓰인 단어가 아닐까.嶺上이라는 단어를 연결해보면 好峙가 어울린다.
충북 제천군에 있는 고개 이름인 好歭<머뭇거릴 치>로 好峙<우뚝솟을 치. 언덕 치>로 쓸 글자가 아니었을까.
✶ 好歭:好峙 별도 연구 <好歭X 好峙> <望峙 望歭X>
<德峙 德歭X><待月峙 待月歭X>
<艮峙 艮歭 > <烏歭 烏峙>
----------------------------------------------------------------------
歭 止 +土 +寸 ▸ 止부 6획止-06-총획수10 유니코드U+6B6D 머뭇거릴 치. 跱쌓을 치 峙 ▸1. 머뭇거리다 =跱 2. 주저하다(躊躇--) 3. 갖추다 4. 비축하다=峙 5. 망설이다< 네이버 사전 인용> ▸歭: 峙:具也,又 준치<峻峙>峻峙屹立 峻峙1.높이 솟다<高耸> 2. 우뚝 (높이) 솟다 곧추 솟다 <指耸立> 。두초<陡峭>=① (지세·산세가) 험준하다 ② 가파르다 ③ 깎아지르다 흘립 <屹立> 高耸挺立。정립挺立: 우뚝 높이 솟음 -------------------------------------------------- ▸好峙는 있어도 好歭라는 단어는 황산 문집에만 나와 있어 好峙라고 같은 뜻으로 해석을 하신 것인지. 실제로 제천에서 영월로 가는 길에 이런 고개가 있는지는 밝히지 못하였다. 그 다음에 나오는 嶺上<산마루의 고개 >이라는 단어와 연결해 보면 분명히 好歭치는 好峙와 같은 뜻으로 고개의 이름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산 고갯길 오르기에 힘이 들고 숨이 차 <머뭇거릴 치>로 쓰신 것이 아닐까. --------------------------------------------------------------- ▶ 비슷한 치 자들 㣥偫기다릴 치 峙 우뚝솟을 치 崻산 우둑 솟은 모양치 痔치질 치 秲벼이름치 畤재터 치 跱 머뭇거릴 치 洔 섬 치 <亻+峙> <土+寺> ----------------------------------------------------------------- ▶ 중국어 사전을 통해 본 歭 歭躇 치저< 歭躇머뭇거릴 치 머뭇거릴 저 >: 배회하며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모양.「歭,躇也。」 段玉裁.注:歭躇為雙聲字,此以躇釋歭者,雙聲互訓也 쌍성자(雙聲字): 성모<첫머리에 오는 음(자음)>가 같은 글자 躇釋歭 躇를 갖고 歭를 풀이하고 있고, 歭를 가지고 躇를 풀이하고 있어 쌍성자의 관계에 있는 글자들이 상호의 풀이互訓를 함. 歭 ◎ 儲備<储备>:(물자를) 비축하다.저장하다 康熙字典 䠧<머무를 저>也,歭䠧不前也。通作踟? 歭䠧=踟?< 앞으로 나가지 못함. 歭躇不前머뭇거릴 ○儲備져츅할(저축할)[書] 歭乃糗糧(紙) 峙跱通 歭躇:徘徊不前的樣子。說文解字:「歭,躇也。」段玉 裁.注:「歭躇為雙聲字,此以躇釋歭者,雙聲互訓也。 」說文】【說文】康熙字典䠧也,歭䠧不前也。通作踟? ------------------------------------------------------------------- ▶ 歭 의 사용 용례 1.牛耳諸山,峻拔雄偉,歭若虎踞,走若龍翔, 우이산(牛耳山) 등 여러 산들이 마치 높이 솟은 것은 범이 쭈그리고 있는 듯하고 뻗어 내달리는 것은 용이 날아오르는 듯하여 2 大抵海中。有山對歭。其間有水道。 대체로 바다 가운데 산이 대치하고 있고 그 사이에 물길이 있어, 3.沙土之所凝。山石之所歭 則又各有其形勢 모래와 흙이 엉기는 것, 산과 돌이 치솟는 것으로 말하면 또 각각 그 형세가 있다. -------------------------------------------------------------------- --------------------------------------------------- ▶ 행행(行行): 점점 나아가는 모양. 쉬지 읺고 가는 모양. < 不停地前行= 멈추지 않고 앞으로 감> 강건한 모양. 어떤 상황이나 계절의 순환.行旅<길손> ▼ 行行의 용례--- 안동가문의 문집에서 行行仗忠信。談笑靜妖氛 行行仗忠信。談笑靜妖氛 行行須努力。勳業畫麒麟 歷歷群仙府。行行幾時到 <선원> 我愛榮期予。行行獨自歌<청음 > 行行重回首。巖花空自落 <수흥> 客路穿荒峽。行行秋日斜 行行山路險。崖硤勢相迫<문곡> 行行騁驌驦。惟當懷靡及 <몽와집>大麓少人行。行行見麋鹿 行行入谷口。短景迫濛汜 謠俗行行變。農功處處同<농암> 行行不歸武溪南。思我駑馬泣數行 行行少復前。乃造窟下廬 行行桑土出。中有數廛氓 我東何多事。相國重行行。行行將萬里。飛蓋在炎程 城闕去去遠。行行山路長 城闕去去遠。行行山路長 行行帶笑語。降野忽復登 歷野行行盡。登橋望望歌 林豹對穴熊。行行欲何抵。熟處生生處熟。言顧行行顧言 <삼연> 佳節思親南路遠。卧聽鳴鴈去行行 <양근> 逐水行行春可愛。想應遐趣在漁磯 逖矣扶風縣。行行道路長 /石磴無窮極。行行上碧岑<모주집> 石磴無窮極。行行上碧岑 行行且到松林坐。好聽蟬聲滿樹喧 行行向此去。借問幾時還<영행> 悄悄眷倚閭。行行願早還 行行度石棧。投宿郡南坰 行行路已遠。爲君且延跂。 <김시보> 行行投暮店。林暝已棲鴉。<김광현> 行行不盡投孤店。較殺盤山十里增 <김중청> 蹈地無遺掄。行行入坎窞。進退頗逡巡 鴨水窮荒北。行行已到頭 김매순 眼前尋出如繩路。只顧行行莫少嘗 行行漸近仙岑界。回首紅塵一念灰 在在松栢栗。行行列籬下 高山仰止。景行行止。< 풍고집> 行行送盡南飛鴈。愁殺磨雲上嶺遲 行行愼坎巽。歸楫趁春鴻 行行閱幽賞。稍喜去人羣。碧海行行見。澄湖處處逢 行行盤石坐復吟。百鳥寥寥靑楓陰 轉過 泰陵邊。行行問樵客 行行採杜若。遊袂異香飄。二子俱願從。行行近谷口 二子俱願從。行行近谷口 行行送盡南飛鴈。愁殺磨雲上嶺遲。<노가재> ------------------------------------------------------- ▶사일(斜日):저녁때의 햇볕. 황혼.<傍晚時西斜的太陽> ▶부지환(不知還) : 돌아감을 알지 못함. 이러한 표현이 참 많다. 깊은 산길을 가는 지루함의 표현. 가도 가도 석양은 넘어가지 않았음. ▴발 닿는 곳곳마다 돌아갈 줄 모르누나 / 隨處不知還 <미호> ▴一自仕宦顯 累世不知還<픙고> ▴사흘 밤을 자고 나도 돌아갈 줄 모르겠네 / 三宿不知還 ▴이틀 밤 묵으면서도 돌아갈 줄 모르네 / 信宿不知還 ▴흐르는 물 돌아올 줄 알지 못하고 / 流水不知還 ---------------------------------------------- ▶ 영상<嶺上>: 영은 산등성이와 봉우리 사이. 양쪽은 골짜기. 嶺과 연결시켜 보면 望歭의 歭는 峙의 의미와 통한다고 볼 수가 있다. ▶ 객한(客閒): 쉬엄쉬엄 가을의 산길을 가는 길손의 한가로움 ▶ 한객(閒客):=闲客 清閑的人 청한(清閑): 조용하고 한적한 사람. ▶ 극목(極目): 시력이 미치는 데까지 바라봄. 눈에 가득히 보이는 모든 것. ▶ 운욕단(雲欲斷): 구름이 다 끊어지려함. 석양이 지고 동쪽 하늘에 구름이 다 사라진 모습. ▶ 월중산(粤中山): 딘종의 능인 장릉이 있는 영월의 뒷산. 동을지산(冬乙旨山) 이라고도 한다. ▴【능침】 장릉(莊陵) 북쪽으로 5리인 동을지(冬乙旨)에 있다. 본래 노산군(魯山君) 묘인데, 중종 12년에 승지(承旨)를 보내 치제(致祭)하고 수호하는 사람을 두었으며, 숙종 24년에 장릉이라 추봉(追封)하였다. 단종(端宗) 공의 대왕(恭懿大王)의 기일은 10월 24일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6권 / 강원도(江原道) > ▴장릉(莊陵)이다. 영월 북쪽 동을지(冬乙旨) 신좌(辛坐)에 있고 표석(表石)이 섰다. 《선원보략(璿源譜略)》 ▴○ 호장(戶長) 엄흥도(嚴興道)가 옥거리[獄街]에 왕래하며 통곡하면서 관(棺)을 갖추어 이튿날 아전과 백성들을 거느리고 군 북쪽 5리 되는 동을지(冬乙旨)에 무덤을 만들어서 장사지냈다 한다. 이때 흥도의 족당들이 화가 있을까 두려워서 다투어 말리매 흥도가 말하기를, “옳은 일을 하고 해를 당하는 것은 내가 달게 생각하는 바라.” 하였다. 《영남야언》 《병자록》 ▴노산주(魯山主 단종(端宗)이 노산군으로 강봉되었을 때를 일컬음)의 무덤은 영월군에서 북쪽으로 5리쯤 되는 동을지(冬乙旨)에 있었다. 중종(中宗) 병자년(1516)에 상(上)이 이르기를, “노산묘(魯山墓)의 제향(祭享)에 대한 의절(儀節)을 예조(禮曹)에서 의논하여 정하라.”<송시열>< 번역원 인용> --------------------------------------------------------------------------------------
'황산 유고 초고본 > 황산의 충청 사군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5.拜鵑亭 ( 배견정 )두견새 절하는 정자 . 황산의 영월 기행 (0) | 2018.01.04 |
---|---|
4.<祗 謁 莊陵지갈장릉 --- 삼가 장릉을 알현하고 (0) | 2018.01.04 |
3-1 子規樓(자규루) 〔시서詩序〕: 시의 서문. - 황산의 영월 기행 (0) | 2018.01.02 |
2. 寧越途中 望 莊陵 感懷 恭賦 영월도중 망 장릉 감회 공부.-황산의 영월 기행 (0) | 2018.01.01 |
김유근(金逌根)의 淸冷浦(청냉포)----- 영월 기행시 (0) | 2015.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