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 유고 초고본 70

김 유근 (金逌根) 秋晴(추청) 갠 가을--- 황산유고 초고본에서

------------------------------------------ 秋晴(추청) 갠 가을 ✻김 유근 (金逌根)) 1785년(정조 9) - 1840년(헌종 6) 자 경선(景先), 호 황산(黃山), 시호 문정(文貞) -------------------------------------- ▶1820년(순조20 년)-1830년 (순조 30 년)사이의 경력 좌부빈객/ 홍문관 부제학/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제..

김유근(金逌根)의 淸冷浦(청냉포)----- 영월 기행시

============================================================================================ 淸冷浦(청냉포) 김유근(金逌根) 1785년(정조 9) - 1840년(헌종 6) <자>경선(景先), <호>황산(黃山), <시호>문정(文貞) <작품/저서> 오주고목도, 괴석도, 연산도 ==========================================================..

김 유근(金逌根) 의 絶句 절구 자재심 -- 황산유고 초고본에서

絶句 절구 ---------------------------------- 자재심 김 유근(金逌根) 1785년(정조 9)∼1840년(헌종 6). <자>경선(景先), <호>황산(黃山), <시호>문정(文貞) 판돈녕부사 유작으로 「오주고목도(五株枯木圖)」「괴석도(怪石圖)」 「연산도(硏山圖)」 등이 있다. 갈필(渴筆: 붓에 먹물을 묻..

김 유근(金逌根)의 蕉葉 (초엽)--파초 잎 < 황산유고 >초고본에서

蕉葉 (초엽)---------------------------- 파초 잎 김 유근(金&#36876;根) 1785년(정조 9)∼1840년(헌종 6). 蕉葉軟於錦 파초 잎은 비단보다 부드러워 초엽연어금 迎風舞自輕 바람맞아 가벼이 춤을 추네. 영풍무자경 苦心抽未已 심혈 다해 싹 트지 않다가 고심추미이 抽盡竟何成 싹 다 튼 후 마침내 이루..

김 유근(金逌根)의 早秋 江行 조추 강행------가을 강 지나며

---------------------------------------------------------------------------------------------- 早秋 江行 조추 강행 가을 강 지나며 김 유근(金&#36876;根) 1785년~1840년 자(字)는 경선(景先), 호(號)는 황산(黃山), 시호는 문정(文貞) 안개 같은 강물이고 강물은 안개 같고 강달은 희미하게 한낮을 지나가네. 서리 덮인..

김 유근(金逌根)의 送仲嫂淑人喪二首 송중수숙인상 이수-- 동생부인을 떠나 보내며

------------------------ 送仲嫂淑人喪二首 송중수숙인상이수 둘째 동생 부인을 떠나보내며 김 유근(金&#36876;根) 1785년(정조 9) - 1840년(헌종 6) 자 경선(景先), 호 황산(黃山). 부친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조순(祖淳) 유작 「오주고목도(五株枯木圖)」「괴석도(怪石圖)」, 「연산도(硏山圖)」 등..

김 유근(金逌根)의 殘花잔화 남은 꽃 ------------------無題 무제 시

無題 무제 ------------------------------------ 殘花잔화 남은 꽃 김 유근(金&#36876;根) 1785년(정조 9)- 1840년(헌종 6) 본관 안동(安東). 자 경선(景先), 호 황산(黃山). 아침 해에 왁자지껄 벌 소리 끝이 나고 꾀꼬리 잠시 쉬고 제비는 비껴나네. 병석에서 일어나 숲 동산 걸어보니 잎 아래 꽃이 있어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