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교수님 교실/정민 교수 漢詩의 멋 19

홍우원(洪宇遠)의 后洞寓居雜詠(후동우거잡영) 샘물 소리 - 정민 교수 해설

홍우원(洪宇遠)의 后洞寓居雜詠(후동우거잡영) 후동의 거처에서 노래하다 샘물 소리 홍 우원(洪宇遠) 1605년(선조 38)- 1687년(숙종 13) 자 君徵 호 南坡 본관 南陽 시호 文簡 특기사항 李觀徵, 鄭之虎, 鄭時羽 등과 교유 태백 오현(太白五賢: 杜谷 洪宇定, 覺今堂 沈長世, 潛隱 姜恰, 遜..

林 仁榮 의 仁王山偶吟 <인왕산 우음>------------- 정민교수 한시 감상

----------------------------------------------------------------------------- 林 仁榮 의 仁王山偶吟 &lt;인왕산 우음&gt;------------- 바위 꽃 임 인영 (林 仁榮) 인왕산 기슭이라 찾아오는 사람 없어 두건을 젖혀 쓰고 이끼 앉아 읊조리네. 저물녘 동풍 불고 봄날은 적적한데 바위꽃 수도 없이 보는 중에 ..

김 득신(金得臣 의 旅館夜吟 긴밤. 정민 교수 시 해설

旅館夜吟 여관야음〈여관에서 밤중에 읊다〉------- 긴 밤 김 득신(金得臣 1604-1648) 자 子公 호 柏谷, 龜石山人 본관 安東 긴 밤 앉아서 잠 못 이루니 서리 기운이 갈옷을 뚫네. 종 재촉하여 안장을 얹자 달은 떠지고 별빛 희미해. 永夜坐不寐 霜威透褐衣 영야좌불매 상위투갈의 呼僮..

오 상렴(吳尙濂)의 訪 仲剛 <방 중강>< 산 아래 마을 > 정민 교수

-------------------------------------------------------- 6. 訪 仲剛 &lt;방 중강&gt; -------〈중강을 방문하고〉 오 상렴(吳尙濂 1680-1707) 자 유청(幼淸) 무숙(茂叔) 호 연초재(燕超齋) 택남(澤南) 제월(霽月) 본관 동복(同福) 산 아래 마을 시냇가 길로 해는 저물고 산 아래 마을 외로운 연기. 주인은 ..

장 일(張鎰)의 제 승평연자루(題昇平燕子樓)--- 정민 교수

5.서리 달&lt;승평 연자루에 쓰다(題昇平燕子樓)〉------------------------------------------- 장 일(張鎰, 1207-1276) 본관 昌寧. 자 弛之. 초명 민(敏). 시호 章簡 창녕군리(昌寧郡吏) 승평판관(昇平判官) 연자루 다락 위엔 서리 달 처량한데 한번 떠난 낭관은 꿈길마저 아득해라. 그때의 좌중 손..

김약수의 題任實郡公館 임실 공관 벽에 쓰다

4.題任實郡公館 -제 임실군 공관--------- 임실 공관 벽에 쓰다 김 약수 (金 若水) 노목이 우거진 옛 시내에 와 보니 집집마다 푸성귀로 배조차 못 불리네. 산새는 근심 겨운 백성 맘도 모른 채 다만 그저 숲 속 향해 마음껏 노래하네. 老木荒榛來古溪 家家猶未飽蔬藜 노목황진래고계 가가유미포소려 山禽..

신 숙(申淑)의 棄官歸鄕〈벼슬을 버리고 고향을 돌아가며〉

3. 棄官歸鄕〈벼슬을 버리고 고향을 돌아가며〉 -고향에서- 신 숙(申淑) &lt;?∼1160(의종 14)&gt; 고려 의종시대. 高靈人 明經과 합격.御史雜端 右諫議 知樞密院事 知門下省事 參知政事 耕田消白日 採藥過靑春 경전소백일 채약과청춘 有山有水處 無榮無辱身 유산유수처 무영무욕신 밭 갈다 흰 날 보내고 ..

눈 위에 쓴 편지(雪中訪友人不遇)--이 규보

2. 눈 위에 쓴 편지(雪中訪友人不遇)--------------------------- -----눈 속에 벗을 찾아갔다가 만나지 못하고-- 이 규보(李奎報, 1168-1241), 雪色白於紙 擧鞭書姓字 설색백어지 거편서성자 莫敎風掃地 好待主人至 막교풍소지 호대주인지 눈빛이 /종이보다/ 더욱 희길래 채찍 들어 /내 이름을/ 그 위에 썼지. 바람아..

지족(知足)---을지문덕(乙支文德)의與隋將于仲文시

♣ 정민 교수님이 쓴 글....------------------------------- *이왕 시작하는 김에 한시 300수 시리즈도 시작합니다. 앞서 백촌 선생 말씀도 있고 해서 시작합니다. 이제부터 올리는 한시들은 기억하실 지 모르겠습니다만, 지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매일 올렸던 한시들을 다시 정리한 것입니다. 모두 600수입니다. ..